모종린 저
박선웅 저
소형 저
투에고 저
몽돌 저
박요철 저
사춘기 책에 관심을 가질 줄 몰랐다.
내 아이가 180도 달라질 줄 몰랐다.
감정 싸움의 연속..심신이 피곤해지는 사춘기...
질풍노도의 시기
수많은 타이틀과 수식어가 붙는 이 나이를 당췌 머라고 얘기해줘야할지....
이명랑 작가님의 사춘기라서 그래?라는 책도 서점에 들려 사게 되었다.
그 책에서도 아이 마음. 부모 마음 , 부모 잔소리가 고스란히 담겨져 있어서 사춘기를 조금이라도 이해할 수 있지 않을까 싶어서이다.
기분이 좋았다.
나빴다.
하루에도 수시로 변하는 갱년기 부모나
문을 쾅 닫고 스마트폰만 하는 아이나....
감싸주고 뒤에서 응원해주는 부모이기를 바랐건만..참 쉽지가 않은 사춘기 . 질풍노도의 시기...
생각이 많을땐 절대로 예쁠 리가 없잖아!처럼 청소년 소설을 읽는것도 좋은 한 방법인 것 같다.
나무 중학교 여름방학 후 연극을 시작하기로 한다.
명랑이가 각본 써 온 물의 요정 온딘이라는 주제로 1학년 1반 담임은 너무나 즐겁고 흥분된 나머지 마음이 하늘을 치솟겠다며 감격한다.
그러다 잘 생긴 남주, 이쁜 여주에 대해 아이들이 외모에 대해 열띤 토론을 벌인다.
외모?
마음이 이쁜 아이?
얼굴이 잘 생기고, 이쁜 아이?
키가 큰 아이? 등등
의견이 분분해진 사춘기 아이들의 당연한 이론.
그러던 중 사회 수업중에 태양이라는 남자 아이가 쪽지를 돌리기 시작한다.
이쁜 아이 1위에서 3위까지 투표하라고??
너무 화가 난 현정이는 지들이 뭔데 우리한테 순위를 매겨? 라며 불끈 두 주먹에 힘이 들어갔다.
살면서 남 의식하지 않고, 남 눈치 보지 않고
나만의 매력을 발산할 수 있는 사람들을 보면 자존감이 대단하다 느껴진다.
순수하게 나를 사랑해서 행동하는 일은 몇 되지 않을 것 같단 생각도 들고, 우리 아이들을 보아도 남 눈치 슬슬 살피면서 지내는 걸 보면
외국인들의 자유분방한 문화가 부럽기도 했다.
명랑이의 연극을 통해 나만을 연극을 위해, 나만의 극을 준비하는 친구들의 모습에 박수를 쳐 주고 싶다!
남들이 뭐라해도 절대로 예쁠리가 없잖아!라고 속상해하고고 있다면 현정이와 친구들을 만나보기를 추천합니다!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것에 대해 나쁘다고 말할 수는 없지만 그러함도 예의가 존재한다.
우리사회 곳곳에 깊숙이 자리한 외모지상주의는 심각한 병폐로 사회적 암덩어리로 모든 사람들의 의식을 알게 모르게 물들이고 있다.
나는 아니라고 자신있게 말할 수 있는 사람이 과연 얼마나 될지는 미지수이나 한 번쯤이라도 농담이든 진담이든 취중이든 그러한 의식을 가졌음을 부인하지는 못할 것이다.
이는 나이의 많고 적음이 분별의 대상이 될수 없고 어른들의 행태를 고스란히 보고 배운 청소년들 사이에서도 그 심각성은 도를 넘어 개인과 사회적 문제를 일으키는 온상이 된다.
그러한 외모지상주의의 불편한 생각을 청소년들의 시선으로 보고 바꾸어 진정한 자기 모습, 자기만의 매력있는 존재감을 갖출수 있도록 제시하는 책을 만나본다.
이 책 "절대로 예쁠리가 없잖아" 는 청소년들 사이에서도 외모지상주의가 모든 수혜의 대상이 되는 현실의 부적절함을 나무중학교 1학년 1반의 학교 축제인 뿌리제에 연극을 올리자고 제의한 담임 선생님과 학생들의 이야기를 담아내고 있는 책이다.
나무중학교에서 가장 에쁜 미애와 밝고 명랑하지만 누가 보아도 못생긴 봉화, 그리고 화자인 현정 외 학급 인물들이 연극과 연극의 여주인공을 둘러싸고 보여주는 심리적 모습들이 마치 어른들의 그것을 고스란히 보여주듯 기시감있게 드러나지만 3명 지원해 물의 요정 온딘의 공주를 뽑기위한 미애와 봉화의 치열한 접전은 불꽃을 튀긴다.
가진자의 여유 또는 농간과도 같은 일이 우리사회 불편한 시선의 끈질긴 생명력을 가진것 처럼 청소년들의 사회인 학교에서도 버젓이 벌어지고 있는 현실이 안타깝기도 하지만 진실은 항상 세상을 바꾸는 힘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한다.
아이든 어른이든 누구나 자신의 외모를 두고 고민하거나 불만을 가져보지 않은 사람들은 없지 않을까 싶다.
하지만 세상이 외모로만 모든것을 결정하는 법칙이 있는것도 아니지만 사람들의 의식속에 자리한 '이왕이면' 식의 불요불급한 의식을 이제는 벗어나 진정 나, 우리만의 매력으로 존재를 어필하는 사회가 되도록 의식을 바꾸어야 한다.
많은 이들이 못생겼다 말하던 봉화의 매력 발산은 반전이라기 보다 자연스러워야할 존재감의 표현이지만 소설 속에서는 반전으로 드러나고 스스로의 매력을 깨닫고 사람들에게 자신의 존재감을 어필하는 노력을 게을리 하지 않는 나, 우리가 되도록 채근하는 의미를 담아 전하고 있다.
'난 못난이지만 내 삶은 못생기지 않았어!' 라고 말할 수 있는 우리 모두의 삶이 매력으로 거듭나는 삶, 인생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을 가져본다.
**네이버 카페 컬처블룸의 서평으로 제공받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