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시 쿡 저/조은영 역
가와무라 야스후미 기획/송경원 역/김범준 감수
시라이시 다쿠 저/이인호 역/한치환 감수
해리 클리프 저/박병철 역
김성근 저
윌리엄 바이넘 저/고유경 역
“어제까지 몰랐던 세상이 오늘 밤, ‘쏙’ 들어온다!”
대한민국 최고의 과학 스토리텔러 임두원이 들려주는
생각의 그릇을 키우는 42가지 과학 이야기
★tvN <유퀴즈 온 더 블럭> 화제의 인물★
과학자의 눈으로 세상을 볼 수 있다면 어떨까? 과학 시험을 칠 때 말고는 딱히 쓸모없을 것 같다고 생각한다면 크나큰 오해다. 과학은 교실이나 실험실에 틀어박혀 있는 학문이 아니라, 일상 곳곳에서 우리의 세계를 확장해주는 하나의 관점이기 때문이다. 때로는 그 관점이 별에 사는 어린 왕자가 ‘핵융합’ 때문에 타 죽지 않을까 하는 엉뚱한 상상으로 뻗어 나가기도 하고, 완벽해야 한다는 압박감이나 지난날에 대한 후회를 ‘인과율’이나 ‘DNA의 복제 방식’으로 이해하고 풀어낼 수도 있다. 또한, 노랗고 뾰족한 줄만 알았던 별이 과학적으로 봤을 때 표면 온도에 따라 빨주노초파남보 여러 가지 색을 띠는 ‘구형’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면 매일 똑같이 보였던 밤하늘도 달라 보일 수도 있다. 이처럼 과학자의 눈으로 세상을 이해하는 것은 우리의 갇혀 있는 상상력을 뚫고, 더 넓은 세계로 한 걸음 나아가는 일과 같다.
『과학으로 생각하기』의 저자 임두원은 국립과천과학원의 연구원으로 TV 프로그램 〈유퀴즈 온 더 블록〉 ‘문과vs이과’ 특집에서 “눈이 녹으면?”이라는 질문에 “(당연히) 물이 되죠”라고 답하는 이과형 인간의 대표주자로 출연해, 탕수육은 과학적으로 부먹이 맞다고 주장하며 ‘부먹 vs. 찍먹’ 논쟁을 종결시킨 화제의 인물이다. 과학적 논리를 일상의 호기심과 연결해 무한한 이야깃거리를 만들어내는, 타고난 스토리텔러인 그는 이 책을 통해 “끼리끼리는 정말 과학인가요?”처럼 엉뚱한 질문부터, “눈은 왜 3개가 아니라 2개인가요?”처럼 익숙한 일상에 딴지를 거는 질문, “영원한 삶은 축복일까요?”, “사람은 왜 겸손해야 하나요?” 등 일상의 태도를 넘어 인생을 고찰하는 철학적 질문까지 총 42가지 궁금증을 탁월한 입담으로 풀어가며 과학의 본질에 한층 다가갈 수 있도록 돕는다.
임두원의 글이 특별한 이유는 또 있다. 과학적 답을 찾아가는 여정 속에서 철학, 문학, 미학 등 다양한 지식을 유기적으로 연결해 글을 읽는 재미를 높였을 뿐만 아니라 보는 이로 하여금 창의력, 사고력, 응용력이 저절로 확장될 수 있도록 이끈다는 점이다. 알쏭달쏭 복잡한 세상을 조금 더 정확하게 이해하고 사랑하고 싶다면 이 책을 읽어보자. 똑같은 일상과 질문에 과학을 더했을 뿐인데 어제보다 다채롭고 재밌는 세상을 만나게 될 것이다.
|
2022년 05월 19일
초등학교 3학년에 올라가면 과학을 처음 배우는데
3학년 1학기 첫 단원이 '과학자는 어떻게 탐구 할까요?'이다.
바로 이 단원 때문에 과학자가 세상을 바라보는 시각이 궁금해져서
여러 책을 구매했다. 내 아이가 자라서 무엇이 될지 모르겠지만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주고 싶어서 과학자는 세상을 어떻게 바라보는지
알려주고 싶었으니까.
과학자의 시야를 알려주는 다른 책은 어른이 읽기 좋은 책이라면
이 책은 아이와 같이 보기 참 좋은 책이다.
아이들이 궁금해할만한 질문과 함께 생활에 연계된 과학 지식도 알려주기 때문이다.
초등 자녀를 키우는 부모라면 한번쯤은 이책을 자녀와 함께 읽어보기는 추천한다.
이과적 식견이 없기에
과학과 철학은 다른 바구니라고 생각할 때가 있었다.
동양철학과 과학을 연계한 책들
그리고 과학으로 영성적 빛깔을 드러내는 저작들을 읽으며
그러한 편견이 사라져 갔다.
하지만 삶을 살아오며
겪었던 많은 인고의 순간이 사라졌던
그 편견들을 일깨웠다.
그러다 과학이 다시
들보가 들어선 눈에
빛깔을 더해주고 있다.
더 이상 철학도 영성도
제 혼자만 빛나지 않을 것이다.
삶의 의미가 과학을 통해 빛나는 순간을
마주할 수도 있다. 누구나가 말이다.
이 책을 읽으며 그런 빛을 볼 수 있으리라.
‘왜 그럴까?’에 대한 질문을 계속해서 던지고
그 해답을 찾기 위해 원리를 알아내고자 하는 것이 과학적 사고임을 다시 한번 상기시켰다.
과학은 우리의 일상과 동떨어진 어렵기만 한 것이 아님을 잊지 말아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과학을 공부한 사람으로서,
끊임없이 질문하고 그 질문에 답을 찾고자 하는
과학적 사고의 자세를 지니고 있어야겠다고 생각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