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분야 전체
크레마클럽 허브

한국어 동사 사전

아름다운 한국어의 산, 동사로 넘다

송철의,권재일,김현권,박만규 | 베가북스 | 2022년 5월 31일 한줄평 총점 0.0 (0건)정보 더 보기/감추기
  •  종이책 리뷰 (0건)
  •  eBook 리뷰 (0건)
  •  한줄평 (0건)
분야
국어 외국어 > 국어
파일정보
PDF(DRM) 46.54MB
지원기기
iOS Android PC Mac E-INK

이 상품의 태그

책 소개

‘동사구문사전’을 편찬한 나라, 세계에서 10개도 채 안 된다!
이제 한국도 자랑스러운 ‘동사구문사전’ 국가의 반열에 들다!


문장이란 인간이 자신의 생각을 담아 표현하는 가장 기본적인 단위이다. 그런데 그 문장은 동사가 꾸미는 틀로 이루어져 있다. 예컨대 ‘그는 그녀에게 선물을 주었다.’라는 문장은 ‘그’, ‘그녀’, ‘선물’보다는 ‘주었다’라는 동사에 의해 구성된 것이다. 왜냐하면 ‘주다’가 주어지는 순간 ‘누가’, ‘누구에게’, ‘무엇을’이 필요해지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동사는 우리 생각의 틀이다. 이렇게 동사가 다른 품사들에 비해 특권적인 지위를 가지고 있으므로 거기에 대해 더 많은 지식을 얻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는 것은 당연하다._머릿말 에서
  •  책의 일부 내용을 미리 읽어보실 수 있습니다. 미리보기

목차

상세 이미지

상세 이미지

저자 소개 (4명)

저 : 송철의 (宋喆義)
서울대학교, 동 대학원 졸업. 단국대학교 교수 역임.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문학과 교수. 저서로는 『한국 근대 초기의 어휘(서울대출판부, 2008.12.25)』, 『일제 식민지 시기의 어휘(서울대출판부, 2008.10.10)』, 『일제 식민지 시기 한국의 언어와 문학(서울대출판부, 2008.10.10)』, 『한국 근대 초기의 언어와 문학(서울대출판부, 2005.12.20)』, 『역주 증수무원록언해(서울대출판부, 2006.09.20)』, 『국어의 파생어 형성 연구(1992) 』, 『국어음운론연구 1세기』, 『한국 근대 초기의 어문운동과 어문정책』외 다수가 있다. 서울대학교, 동 대학원 졸업. 단국대학교 교수 역임.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문학과 교수.

저서로는 『한국 근대 초기의 어휘(서울대출판부, 2008.12.25)』, 『일제 식민지 시기의 어휘(서울대출판부, 2008.10.10)』, 『일제 식민지 시기 한국의 언어와 문학(서울대출판부, 2008.10.10)』, 『한국 근대 초기의 언어와 문학(서울대출판부, 2005.12.20)』, 『역주 증수무원록언해(서울대출판부, 2006.09.20)』, 『국어의 파생어 형성 연구(1992) 』, 『국어음운론연구 1세기』, 『한국 근대 초기의 어문운동과 어문정책』외 다수가 있다.
저 : 권재일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언어학과 및 대학원 언어학과 졸업(문학박사), 현재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언어학과 교수, 저서로는 '국어의 복합문 구성 연구', '한국어 통사론', '한국어 문법의 연구', '한국어 문법사', '언어학과 인문학', '국어지식탐구', '한반도와 중국 동북 3성의 역사 문화', '한반도와 만주의 역사 문화', '구어 한국어의 의향법 실현방법', '20세기 초기 국어의 문법'등이 있다.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언어학과 및 대학원 언어학과 졸업(문학박사), 현재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언어학과 교수, 저서로는 '국어의 복합문 구성 연구', '한국어 통사론', '한국어 문법의 연구', '한국어 문법사', '언어학과 인문학', '국어지식탐구', '한반도와 중국 동북 3성의 역사 문화', '한반도와 만주의 역사 문화', '구어 한국어의 의향법 실현방법', '20세기 초기 국어의 문법'등이 있다.
저 : 김현권
1975년에 서울대 문리대 언어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문학 석박사과정을 마쳤다. 파리7대학(DEA)에서 수학한 바 있으며 2002년에는 초빙교수로서 파리13대학 전산언어학연구소에서 연구했다. 한국언어학회장을 역임하기도 했으며 현재 한국방송통신대학 명예교수로 일하고 있다. 역서로는 소쉬르의 『일반언어학 강의』와 『일반언어학 노트』, 벵베니스트의 『일반언어학의 여러 문제 1, 2』와 『인도유럽사회의 제도·문화 어휘 연구 1, 2』, 『마지막 강의』, 바르트부르크의 『프랑스어 발달사』, 로지의 『프랑스어 사회언어학사』, 렌프류의 『언어고고학』 등이 있고, 「소쉬르와 역사언어학... 1975년에 서울대 문리대 언어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문학 석박사과정을 마쳤다. 파리7대학(DEA)에서 수학한 바 있으며 2002년에는 초빙교수로서 파리13대학 전산언어학연구소에서 연구했다. 한국언어학회장을 역임하기도 했으며 현재 한국방송통신대학 명예교수로 일하고 있다. 역서로는 소쉬르의 『일반언어학 강의』와 『일반언어학 노트』, 벵베니스트의 『일반언어학의 여러 문제 1, 2』와 『인도유럽사회의 제도·문화 어휘 연구 1, 2』, 『마지막 강의』, 바르트부르크의 『프랑스어 발달사』, 로지의 『프랑스어 사회언어학사』, 렌프류의 『언어고고학』 등이 있고, 「소쉬르와 역사언어학의 전통」, 「동사의 다의와 전자사전에서의 표상」, 「소쉬르의 『인도유럽어 원시 모음체계 논고』와 『일반언어학 강의』의 방법론적 비교」, 「소쉬르의 《일반언어학강의》와 《제3차 강의노트》의 비교」 등 다수의 논문들을 발표했다. 또한 방송대학 대학원(아프리카 불어권 언어문화학과)에 있으면서 『아프리카 지정학』, 『아프리카 아이덴티티: 2,000개의 언어를 둘러싼 발전과 통합의 과제』, 『한 권으로 읽는 아프리카』를 번역 출간했다.
저 : 박만규
현재 아주대학교 불어불문학과 교수로서 인문학아카데미아 원장, 한국사전학회 회장,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회장, 문화체육관광부 국어심의회 위원 등의 직책을 맡고 있다. 전국 사립대학교 인문대학장 협의회 초대 회장, 제18차 세계언어학자대회(CIL) 출판위원장, 프랑스 국립과학재단 및 캐나다 몬트리올대학 초빙연구원, 대학수학능력시험 출제위원 등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2015년 프랑스정부 학술공로훈장(Ordres des Palmes Academiques) 기사(Chevalier)장을 받았다. 저서로 영어식 사고 무작정 따라하기(2010), Mon francais est riche(201... 현재 아주대학교 불어불문학과 교수로서 인문학아카데미아 원장, 한국사전학회 회장,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회장, 문화체육관광부 국어심의회 위원 등의 직책을 맡고 있다. 전국 사립대학교 인문대학장 협의회 초대 회장, 제18차 세계언어학자대회(CIL) 출판위원장, 프랑스 국립과학재단 및 캐나다 몬트리올대학 초빙연구원, 대학수학능력시험 출제위원 등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2015년 프랑스정부 학술공로훈장(Ordres des Palmes Academiques) 기사(Chevalier)장을 받았다. 저서로 영어식 사고 무작정 따라하기(2010), Mon francais est riche(2011), Bonjour Paris(2013, 공저), 프랑스어 회화 핵심패턴 233(2015, 공저), 프랑스어 필수 단어 무작정 따라하기(2017, 공저) 등이 있다.

출판사 리뷰

대한민국 대표 언어학자 4인이 쏟아부은 노력,
7년 끝의 결실을 드디어 만나다!


국립국어원 8대 원장, 한글학회 회장 역임

문화적·경제적 영향력이 뒷받침된다면 한국어 열풍은 계속 이어질 것입니다. 이보다 앞서 우리 스스로가 먼저 한국어를 올바르게 쓸 수 있어야 합니다._ 권재일 교수

국립국어원 10대 원장, 국어학회 회장

바른말 사용은 우리 사회 전체와 관련한 문제입니다. 우리말을 품격 있는 언어로 가꾸는 것을 과제로 생각하고 노력하고 있습니다._송철의 교수

한국사전학회 9대 회장, 국어심의회 위원 역임

4차 산업혁명에서 인공지능에 필요한 언어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_박만규 교수

한국언어학회 회장

이 사전이 한국어를 연구하는 언어학자와 학습자들께 훌륭한 길잡이가 되어 한국어 연구와 교육의 수준을 높이 끌어올리는 데 크게 공헌하기를 기대합니다._김현권 교수

뜻풀이까지 갖춘 한민족 최초의 본격 동사구문사전 출간!
엄선한 표제어만 5,472개 - 한국어 동사, 이렇게 풍부하고 다양했던가!


(1) ‘동사구문사전’이라는 개념
* 인간이 자기 생각을 담아 표현하는 가장 기본적 단위인 문장. 그 문장은 동사가 꾸미는 틀로 이루어진다. ‘동사구문사전’은 이처럼 우리말의 뼈대인 동사들의 완벽한 ‘뜻풀이’와 함께, 그들이 각각 어떤 형태로 변하면서 응용되는지를 구체적인 사례와 함께 기록해놓은 전무후무한 사전이다.

(2) 이 ‘동사구문사전’에 어떤 의미가 담겨 있는가?
* 지구 위에는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언어가 있지만, ‘동사구문사전’을 갖추고 있는 언어는 영어-독어-불어-일어 등을 포함해 10개가 채 안 된다. 무엇보다 동사를 집대성하기부터 어려운 데다, 동사의 쓰임새 자체가 과학적이고 규칙적이어야 하기 때문이다.
* 한국어의 경우, 오래전 아주 작은 규모의 동사구문사전이 잠시 선을 보였다가 주목도 받지 못하고 자취를 감춘 적이 있을 뿐이다. 그러므로 이번에 4명의 언어학자가 6년이 넘도록 쏟아부은 노력과 집념과 정성으로 태어난 이 사전은 한국 최초의 본격 ‘동사구문사전’이라 할 수 있다.
* 이 사전으로 인해 한국도 마침내 제대로 된‘동사구문사전’을 가진 몇 안 되는 언어선진국의 대열에 합류할 수 있게 되었다. 그뿐이랴, 어휘문법과 의미텍스트 대응이론을 비롯한 어휘부 이론에 바탕을 두어, 세계 어느 언어의 동사문법사전과 비교해도 손색이 없고, 오히려 표제어 수나 미시구조 정보 수준에 있어서 세계 최고임을 자부해도 좋다.

(3) ‘알뜰꼼꼼 뜻풀이 한국어 동사사전’의 주된 특징은?
* 놀랍도록 풍부한 표제어, 한글 동사 5,472개! 보조동사와 기능동사까지 포함해, 실제 우리 생활에 쓰이는 동사를 100% 아울렀다.
* 세심한 동사 뜻풀이는 일찍이 보지 못했던 ‘한민족 최초’이며, 표기-어원-문법범주-형태-통사-의미-연어-숙어-용례 등, 거의 모든 언어정보가 담겨 있다.
* 사전의 가장 중요한 의미 정보라 할 수 있는, 유의어, 반의어, 상위어, 하위어와 같은 의미 관계도 제시하였다. 기존 사전에서 볼 수 없었던 동사 활용의 불완전성에 관한 기술, 시제와 양상 제약에 대한 정보도 풍부하게 실었다.
* 세계 전역에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어 교육자의 숫자가 믿을 수 없는 속도로 늘어나고 있으므로, 그들에게 ‘단비와도 같은’ 도움을 주기 위해 표제어와 그 쓰임새 본보기를 한글과 영어로 제시했다.
* 국내 저명한 국어학-사전학 전공 교수 4명이 정부의 지원 아래 4년의 연구 조사 끝에 완성한 내용을 토대로 이 사전의 CONTENT를 만들었으며, 이를 책으로 출간하기 위해 다시 3년간의 보정과 재검토와 편집 과정을 거쳤다.

(4) 구체적으로 어떤 형태의 사전인가?
* 총 1,358쪽의 종이사전은 우리가 흔히 만나게 되는 어학사전의 크기와 형태를 빌었으며, 효율적인 장기 보존을 위해 비싸지만 튼튼한 양장 제본을 택했다.
* 전자사전(eDictionary)은 종이사전과 6~12개월의 시차를 두고 출간할 예정이다.

(5) 어떤 사람들 혹은 어떤 조직/기관들이 이 동사사전을 반가워할까?
* 국내 대학 및 세종학당 같은 기관에서 한국어를 가르치는 교육자와 정규 한국어 학습자 (2021년 7월 현재 2만5천 명 내외로 추정)
* 전 세계 76개국 이상에서 가파르게 늘어나고 있는 한국어 학습자와 교육자 (2021년 7월 현재 9만 명 정도로 추정되며,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음)
* 한국 내 국-공립 및 사립도서관 일체 (전자도서관 포함)
* AI를 이용해서 다양한 소프트웨어나 서비스나 온라인 사전 등에 한국어를 포함하고자 하는 국내외 인터넷 포털 (네이버, 다음, 카카오, 구글, 아마존 등)

한국어 중요 동사 5,472개!
한국어 동사의 핵심 언어정보 총망라!
한국어 학습자 사전의 기능을 지향함!
외국인 교수 및 학습자 배려한 영어 뜻풀이와 예문!
인공지능 및 자연언어 처리의 기반 자료!
한국학 토대연구 지원 및 후속 연구의 결과물

한줄평 (0건)

0/50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