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을 정리하는 것은 일의 효율성을 높여주며, 산출물의 결과 또한 좋게 만들어준다.
생각을 정리하는 방법 첫번째는 이미지화하는 것이다. 이미지화를 통해 기억하기 쉽게 만들어주고, 도식화하여 생각의 흐름을 파악한다. 문제 해결의 전략도 구체화한다.
두 번째는 제로 베이스에서 생각하는 것이다.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이유를 묻고, 무엇을 해야 하는지, 어떻게 해야하는지 물음으로써 새로운 시각을 갖는 것이다.
지금까지의 생각 정리 스킬을 얻음으로써 고민하고 있던 문제의 실마리를 찾았다. 내가 붙들고 있던 문제는 '외국인 투표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였다. 근데 이 문제에 대해 다시 제로 베이스에서 접근해 보았다. 왜 이 문제를 다루는가? 외국인 투표율을 높이기 위해서이다. 무엇을 해야 하는가? 외국인 투표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파악한다. 어떻게 해야 하는가? 외국인 투표율에 대한 자료를... 여기에서 막혔다. 생각해보니 자료가 없는 것이 문제였다. 유권자의 소득, 학력수준, 인종 별 투표율을 파악할 수 있는가? -> 없다. 기존 자료에서는 어떻게 파악하는가? -> 설문조사를 통한 직접 조사 / 구시군 별 자료를 통한 간접 조사 외국인에 대한 구시군 별 자료가 있는가? -> 없다. --> 외국인의 투표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알 수 없다. 따라서 외국인 투표율에 대한 구시군별 자료에 대하여 정보 공개를 요청했다. 그러나 전화해보니 10일 정도가 걸린다고 하였다. --> 기존 자료를 사용해야 한다. -> 도농간 분석자료를 통해 외국인 유권자 내에서의 소득 수준별 투표율을 알 수있다. -> 연령별 분석자료를 통해 외국인 유권자 내에서의 연령별 투표율을 알 수 있다. -> 시도별 분석자료를 통해 외국인 규모에 따른 투표율을 알 수 있다. |
우리는 모두 동등한 하루의 시간을 보내고 있다.
그러나 같은 시간을 쓰고도 과정과 결과는 천차만별인 모습을 보게 되는 경우도 많다.
왜 그런 결과가 발생하는지에 대한 생각을 해보지만 딱히 뭐가 다른지를 꼬집어 낼 수 없는 경우가 많다고 하겠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생각하는 대로의 삶을 사는것이 아닌 사는대로 생각하는 삶을 살고 있다 판단할 수 있다.
생각하는 대로의 삶을 사는 사람들은 자신의 생각을 정리하고 그것을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의 힘이 결과로 얻어지기 까지 지속가능함을 노력속에 포함 시키고 있다.
그러하기에 같은 시간을 쓰면서도 누구는 시간에 쫒기는가 하면 누구는 여유를 부리며 하루를 보내는 일이 발생한다.
그러한 여유있는 하루를 위한 생각 정리의 힘에 대해 이야기 하는 책을 만나 읽어본다.
이 책 "생각 정리의 힘" 은 머릿속의 복잡함을 정리하는 생각 정리의 힘이야 말로 진정 일을 빨리 끝낼 수 있는 방법이라는 사실을 실감할 수 있고 타자와의 다양한 관계에 있어서도 도움을 줄 수 있어 활용 할 수 있는 방법임을 깨닫게 해주는 책이다.
개인이든 직장인이든 혹은 자영업자이든 누구나 자신이 처한 자리에서 얽혀 있는 다양한 문제들이 존재하기 마련이다.
그러한 얽히고 섥힌 문제들을 생각없이 한다면 문제가 해결 되지도 않을 것이며 설령 해결된다고 해도 또다른 문제로 연결될 가능성을 담고 있을 수 있다.
생각을 정리하면 문제의 핵심이 무엇이고 어떻게 해야 해결할 수 있을지를 명확히 할 수 있다.
그런 명확함이 일처리의 기본이자 사람들이 바라마지 않는 결과라는 사실을 생각하면 생각정리의 힘이 우리의 일상과 삶에 미치는 영향력은 지대하다 할 수 있기에 결과적으로는 우리의 삶을 더 풍요롭게 만들 수 있는 방법이 된다고 생각할 수 있다.
6장으로 구성된 목차에서 나이에 따라 그 중요성이 많이 달라질 듯 하지만 나로서는 6장의 인생 전반를 위한 생각 정리에 더욱 관심이 끌린다고 하겠다.
노년을 바라보고 있는 시기라 지금까지 해왔던 습관을 쉽게 버리지는 못하겠지만 새로운 습관을 들여 변화하고자 하는 노력은 할 수 있기에 목표를 시각화 해 목표달성을 확실하게 하고 구체적이고 측정 가능한 목표, 부정적으로 표현하자 않는 목표, 장기적인 목표 설정으로 그 중요성을 인지하고 진정으로 내가 원하는것이 무엇인지를 Gap 분석을 통해 현실과 이상의 차이를 최대한 줄여 보라는 의미를 충실히 실행해 보고 싶다.
무엇보다 생각 정리를 위한 힘을 기르기 위해서는 조금씩 꾸준하게 변화를 시도해야 한다는 주장을 잊지 말아야 하겠다는 생각을 가져본다.
**네이버카페 북뉴스의 서평으로 제공받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