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당도서관에서 신간서적을 열권 정도 디스플레이를 하는데 이 책하고 또 한권을
대충 훌터보고 주문한건데 자세히 봤어야 했다. 이 책 하고 또 한권의책 공정하다고
하는 착각이라는 책인데 2권다 기대에 많이못미쳐 주문을 후회했다. 일단 두권 다 읽는 재미가 너무 없었다. 기간제한의불편이 있어도 빌려볼걸 그랬다. 우리말에 재능이라는 말이 있다.
선천적 또는 타고난 재능을 말한다. 책의 제목에 언급된 인사들은 제목처럼 언어에
타고난 사람들이다. 언어뿐만이 아니라 음악,미술,운동등 모든 분야가 타고나야 한다. 타고난 사람을 재능이 부족한 사람이 학습이나 노력으로 따라 가는데는 한계가 있다. 요즘은 과학과 기술의 발달로 선천적인 면을 유전자로 하나 하나까지 끄집어 내어 증명을 하는 시대다.인간의뇌와몸을 생물학적기능은 엄밀하게 말해서 그 작동방식이 컴퓨터와는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큰 그림의 관점으로 볼때 쉽게 이해를 하기 위해 컴퓨터에 자주 비유 되고는 한데 이런 비유는 일정부분 맞는 말일 때가 많다. 컴퓨터의 하드웨어 성능이 소프트웨어의 성능과 결과를 좌우 하는 것처럼 인간의 뇌도 몸도 유전자도 결국은 물리적 하드웨어 인데 다소 기계적 표현이지만 하드웨어 성능에 따라 소프트웨어의성능이 결정 되는 것처럼 인간의 재능도 육체의 하드웨어적 성능에 따라 재능을 결정하는것도 어쩔수 없는 세상의이치라고 본다. 뱁새가 황새 따라가다가 가랭이 찢어진다는 속담이 있는데 재능에 관한 속담은 아니지만 하드웨어적 한계치를 표현함에 적절한 속담이라고 생각한다. 책을 읽으며 말할때 마다 이렇게 다 깐깐하게 따져가며 말을 한다면 쉽게 말해 피곤한 스타일이 되겠다는 생각도 들었다. 비유로 잘 나가는 인기있는 개그맨들 재치와 유머와 순발력이 있다고 한다. 다 타고 났기 때문이다. 말을 잘 하는 사람들을 이야기꾼이라고 하는데 이는 단순 언어재능 뿐만이 아니라 공감능력도 뛰어나기 때문에 사람들을 재미있게 하고 몰입하게 하고 청중을 끌어 들이는 것이다. 다른사람들과의 비교가 아닌 자신의 능력을 좀 업그레이드 하는데에는 어느정도 학습은 도움은 된다고 본다. 독서도 호불호가 있겠지만 이 책은 일단 내게는 읽는 재미가 너무 없었다. 도서관에서 빌려 봤다면 모를까 구매한건 후회되는 책이었다.수사학이니 일정부분 언어사용에 대한 원리와 이론을 배우는데는 나쁘지는 않은 거 같다. 뭐든 몰랐던걸 아는 건 지식력을 업그레이드는 하니까.
누구나 말을 잘하고 싶은 욕망이 있을 것이다. 모임이나 강의를 들을 때 적절하게 말을 잘하는 사람들을 보면 정말 부럽다. 말 잘하는 방법을 이렇게 조목조목 분류하고 말 잘하는 작가와 유명한 정치인, 언론인들이 한 말을 예로 가져와 말 잘하는 구체적인 예를 들어가며 말 잘하는 연습을 해보게 하는 점이 재미있었다. 말을 잘하는 사람이 부럽기는 했지만 이렇게 방법을 연구하고 노력하면 말도 더 잘 할 수 있다고는 별로 생각하지 않고 살았고 사람들 앞에서 말하는 것을 즐겨하지도 않았는데 이제부터는 나의 내면에 숨겨진 끼를 발휘해 일상생활에서도 좀 더 유머러스하고 감동을 주는 말을 해보려고 노력하고 싶어진다.
나에게 와 닿은 말 잘하는 방법
1. 주장의 배후에는 이유가 있고 그 이유의 배후에는 가정이 있다. 숨어있는 가정을 끄집어내서 평가하는 능력이 훌륭한 커뮤니케이터의 자질이다.
2. 반론을 미리 반박해주면 주장의 설득력이 높아진다.
ex) 물론 다른 시각도 있을 겁니다. 잘 알고 있습니다.~~
3. 청중을 설득하려면 먼저 감정에 호소하는 방법이 있다. 논리적인 설명도 청중을 설득할 수 있다.
4. 아무리 허황된 주장에도 긍정해줄 만한 거리가 손톱만큼은 있게 마련이다, 그걸 찾아내서 긍정하고 존중해 주는 대화법이 가장 이상적이라고 할 수 있다.
5. 서둘러서 모든 걸 털어놓는 사람은 바보다. 핵심의 노출을 가능한 한 지연시켜야 서스펜스가 생겨 나의 말은 물론이고 무엇보다 나 자신까지 소중해진다.
6. 은근슬쩍 칭찬하는 기술이 말하는 능력을 높인다.
7. 뿌리가 같은 말을 반복한다. 예) 절대권력은 절대적으로 부패한다.
8. 더 비교급 표현을 쓴다.
9. 감각적으로 묘사한다.
10. 나의 진실한 감정을 고백한다. 예) 모딜리아니의 그림은 마음을 무척 따뜻하게 해요.
11. 파토스 전략, 감정을 흔든다.
12. 말을 바꿔서 교차한다.
13. 예시로 흥미를 높인다.
14. 안정감을 주는 3을 기억한다. 예) 사랑하고 존경하고 믿어요.
15. 다면적으로 표현한다. 예) 운동을 왜 하냐면 건강을 위해서도 하고 아름다운 체형을 갖거나 유지하기 위해서 한다.
16. 세상을 대조법으로 해명한다.
예) 대다수의 사람은 자신이 1년에 할 수 있는 일을 과대평가하고, 10년에 할 수 있는 일을 과소평가한다. (빌 게이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