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분야 전체
크레마클럽 허브

한글의 탄생

인간에게 문자란 무엇인가

노마 히데키 저/김진아,김기연,박수진 | 돌베개 | 2022년 11월 28일 한줄평 총점 0.0 (8건)정보 더 보기/감추기
  •  종이책 리뷰 (8건)
  •  eBook 리뷰 (0건)
  •  한줄평 (0건)
분야
인문 > 인문학산책
파일정보
EPUB(DRM) 71.53MB
지원기기
크레마 PC(윈도우 - 4K 모니터 미지원) 아이폰 아이패드 안드로이드폰 안드로이드패드 전자책단말기(일부 기기 사용 불가)

이 상품의 태그

책 소개

문자의 탄생에서 〈지知의 혁명〉까지 한글이 만들어 낸 경이의 드라마!
우리는 ‘한글’을 얼마나 알고 있을까?

“한글은 세계문자사의 기적이다.”

다양한 언어권의 인터넷상에서 한글이라는 문자를 만나는 일이 어렵지 않게 되었다. 영상 속에서도, 그 영상 아래 달린 글에서도 도처에서 한글이 출몰한다. 스마트폰으로 상징되는 한국 IT산업의 발달, K-POP을 비롯한 한국 음악의 세계적인 인기, 영화, 드라마, 그리고 일본어권에서 보이는 K문학에 대한 공감 등 한국문화의 융성이 한글을 전 세계에 전파시켰다고 할 수 있다.

일본어권에서는 대학이나 고교 등에서의 한국어 수업을 비롯해 독학까지 포함하면 매년 만 명 이상이 한국어 공부를 새로 시작하고 있다. 대형 온라인 서점 사이트에서 ‘한국어 입문’으로는 1,000건 이상이, ‘한글 입문’으로도 200건 이상이 검색된다. 역 이름 표기 등에도 한글이 사용되고 있어 일본에서는 한글을 접한 경험이 없는 사람을 찾기가 어려울 것이다.

신서판이 출판되기 이전에는 한국이나 북한에 관심이 있는 일본인이더라도 언어를 배운 경험이 없다면 대체로 한글이 ‘가나와 비슷하지 않나?’라는 인식을 갖고 있었고, 지식인이나 학자들도 한글에 대해 황당한 발언을 하기 일쑤였다. 그러나 지금은 그런 일이 매우 감소했다. ‘한글은 함부로 단언하기 어려운 문자다, 좀 〈굉장한〉 문자다’. 적어도 이 정도로 한글의 존재감은 강해졌다고 할 수 있다. ―노마 히데키, 「헤이본샤 라이브러리 판 서문」 중에서

목차

한국어판 출간을 맞이하여[개정판 서문]
한국어판 출간을 맞이하여[초판 서문]
책머리에
서장 한글의 소묘
1. 한글의 구조
2. 『훈민정음』이라는 책
제1장 한글과 언어
1. 한글이라는 이름
2. 한국어의 세계
3. 말과 문자
4. 한국어는 어떠한 언어인가
제2장 〈정음〉 탄생의 자장
1. 문자를 〈만든다〉 ─ 한자의 자장 안에서
2. 자기 증식 장치로서의 한자
3. 〈한문훈독〉 시스템
4. 한국어의 〈한문훈독〉 ─ 〈구결〉의 구조
5. 〈질량을 가진 텍스트〉
6. 서방에서 온 길 〈알파벳로드=자음문잣길〉의 종언
제3장 〈정음〉의 원리
1. 문자를 〈만든다〉─ 공기의 떨림에서 음을 잘라 낸다
2. 〈음〉에서 〈게슈탈트〉로
3. 단음=음절문자 시스템의 창출
4. 사분법 시스템의 충격
5. 음의 변용을 〈형태화〉하다─ 형태음운론으로의 접근
제4장 〈정음〉 에크리튀르 혁명 ? 한글의 탄생
1. 〈정음〉 혁명파와 한자한문 원리주의의 투쟁
2. 〈용음합자〉 사상 ─ 〈지〉의 원자를 묻는다
3. 〈정음〉이여, 살아있는 것들의 소리를 들으라
4. 〈정음〉이여, 〈나랏:말ㅆㆍㅁ〉을 ─ 에크리튀르 혁명 선언
제5장 〈정음〉 에크리튀르의 창출
1. 〈정음〉이여, 음을 다스리라 ─ 『동국정운』
2. 〈정음〉이여, 삼천세계를 비추라 ─ 유불도의 길
3. 〈정음〉이여, 천지 우주를 배우라 ─ 『천자문』
4. 〈정음〉이여 우리의 가락을 ─ 『두시언해』와 시조
5. 〈정음〉이여, 이야기하라, 읊으라, 그리고 노래하라 ─ 〈정음〉 문예와 판소리
6. 고유어 혈맥과 한자한문 혈맥의 이중나선 구조
7. 〈정음〉 반혁명을 넘어서
제6장 〈정음〉 ? 게슈탈트의 변혁
1. 〈형태〉란 무엇인가?
2. 정음의 〈모양〉과 〈형태〉
3. 신체성을 얻은 정음의 아름다움 〈궁체〉
제7장 〈正音〉에서 〈한글〉로
1. 鬪爭하는 〈正音〉, 투쟁하는 〈한글〉
2. 다시 게슈탈트를 묻는다 ─ 근대에서 현대로
3. 비상하는 21세기 한글
종장 보편을 향한 계기 〈훈민정음〉
『훈민정음』을 읽는다는 일
문헌 안내
저자 후기 1 [한국어판]
저자 후기 2 [일본어판]
해설 ― 아폴로적 지성과 디오니소스적 감성의 결실
역자 해설 ― 『한글의 탄생』의 탄생
한글 자모표/반절표/일본어 50음표 한글로 쓰기/현대어의 초성자음 18종과 초성자모 19종/모음삼각형/한글 역사 연표/문헌 일람
찾아보기

저자 소개 (4명)

저 : 노마 히데키 (野間秀樹)
도쿄외국어대학교 대학원 교수로 재직하였고 현재 아키타의 국제교양대학 객원교수로 있다. 1970년대에 현대일본미술전에서 입상한 바 있는 미술작가였던 그는 독학으로 공부하던 한글의 매력에 빠져, 1983년 서른의 나이에 다시 도쿄외국어대학교 조선어학과에 입학했고 연구의 깊이를 더하는 한국어학자가 되었다. 1996~1997년에는 서울대학교에서 한국문화연구소 특별연구원으로 있었다. 2005년 대한민국문화포장을 받았고 2010년에는 『한글의 탄생』에 쏟아진 호평과 인기 속에서 마이니치신문사에서 주관하는 제22회 아시아태평양상을 수상하였다. 도쿄외국어대학교 대학원 교수로 재직하였고 현재 아키타의 국제교양대학 객원교수로 있다. 1970년대에 현대일본미술전에서 입상한 바 있는 미술작가였던 그는 독학으로 공부하던 한글의 매력에 빠져, 1983년 서른의 나이에 다시 도쿄외국어대학교 조선어학과에 입학했고 연구의 깊이를 더하는 한국어학자가 되었다. 1996~1997년에는 서울대학교에서 한국문화연구소 특별연구원으로 있었다. 2005년 대한민국문화포장을 받았고 2010년에는 『한글의 탄생』에 쏟아진 호평과 인기 속에서 마이니치신문사에서 주관하는 제22회 아시아태평양상을 수상하였다.
역 : 김진아
현재 일본 메이지가쿠인대학교(明治學院大學校) 준교수이며 도쿄외국어대학교 학술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한일 대조언어학, 담화 연구, 한국어 교육을 전공했다. 2005년도 NHK 텔레비전 “한글” 강좌의 강사로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저서로 『담화론과 문법론』(근간), 공저서로 『프티 한국어』, 『Viva! 중급 한국어』, 『날개를 펼쳐라! 한국어』, 『반짝반짝 한국어』, 『뉴 익스프레스 한국어』 등이 있다. 현재 일본 메이지가쿠인대학교(明治學院大學校) 준교수이며 도쿄외국어대학교 학술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한일 대조언어학, 담화 연구, 한국어 교육을 전공했다. 2005년도 NHK 텔레비전 “한글” 강좌의 강사로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저서로 『담화론과 문법론』(근간), 공저서로 『프티 한국어』, 『Viva! 중급 한국어』, 『날개를 펼쳐라! 한국어』, 『반짝반짝 한국어』, 『뉴 익스프레스 한국어』 등이 있다.
역 : 김기연
한국외국어대학교 통역번역대학원에서 한일통·번역학 석사학위를 취득했고 한일·일한 국제회의통역사로 활동중이다. 한국외국어대학교 통역번역대학원에서 한일통·번역학 석사학위를 취득했고 한일·일한 국제회의통역사로 활동중이다.
역 : 박수진
한국외국어대학교 통역번역대학원에서 한일통·번역학 석사학위를 취득했고 한일·일한 국제회의통역사로 활동중이다. 한국외국어대학교 통역번역대학원에서 한일통·번역학 석사학위를 취득했고 한일·일한 국제회의통역사로 활동중이다.

출판사 리뷰

종이책 회원 리뷰 (8건)

구매 놀랍고 대단했다.
내용 평점5점   편집/디자인 평점5점 | YES마니아 : 플래티넘 스타블로거 : 블루스타 b*****7 | 2023.10.06

한글의 관심이 꾸준히 있어 어떤 책을 읽어 볼까? 우연히 알게 된 '한글의 탄생' 한국어를 사용하는 대한민국 사람으로써 단지 세종대왕이 창제 했구나 과학적으로 만들어 졌구나 정도로 아주 얇게 알고 있었다. 이 책을 읽고 놀랄 수 밖에 없었다. 도입 부분의 관심은 중반을 자연스럽게 넘어 가게 만들었다. 솔찍히 조금은 어려운 책인건 맞다. 한글의 관심이 있는 사람들이라면 한 번 쯤은 읽어 보라고 추천해 주고 싶다. 관심이 있는 만큼 꾸준하게 읽어야 마무리를 지을 수 있을 것이다. 세종대왕의 예민정신이 잘 나타나 있고, 과학적으로 만들어진 한글. 앞으로도 더욱 더 사랑하면서 지켜내야 하는 사명감이 생겼다. 

이 리뷰가 도움이 되었나요? 접어보기
구매 외국인 저자의 한글연구서
내용 평점5점   편집/디자인 평점4점 | YES마니아 : 골드 s***m | 2023.02.15

한글은 세종대왕이 창제한 것이라는 기본적인 역사적 사실만 알고 있고 더 깊은 내용은 잘 몰랐는데 지난 한글날을 맞아 외국인 저자의 한글서적이 출간되었습니다. 연구보고서 같은 느낌이 있어서 마냥 가볍게 흘려 읽는 것보다 그 흐름과 논리를 따라가며 읽어보면 한글에 대해 더 잘 이해하게 됩니다. 너무 친근하고 익숙해서 별로 생각하고 지내지 않더 우리 글에 대한 인식을 보다 깊게 만들어주는 책입니다.

이 리뷰가 도움이 되었나요? 접어보기
한글의 탄생
내용 평점5점   편집/디자인 평점5점 | YES마니아 : 플래티넘 스타블로거 : 블루스타 9***d | 2023.01.02

한글을 만든 세종대왕의 이야기는 우리는 아주 잘 알고 있습니다.
학교에서의 교육과 그 이후 TV 드라마같은 내용으로 배웠지요.
하지만 좀더 깊이 들어가는 내용은 그다지 많지 않습니다.


특이하게도 우리나라 사람도 아닌 일본인 학자가 쓴 한글에 대한 책을 읽어보게 되었습니다.
우리에게는 너무도 당연한 일이 고유한 특성으로 볼수 있는 외인의 눈이 필요했기 때문입니다.


저자는 놀랍게도 한글이 만들어진 배경과 상황을 잘 정리하여서 알려주고 있습니다.
그리고 한글이 가지는 장점을 일본 문자를 가지고도 비교해가면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작가의 설명이 흥미로운 점은 일본이나 한국이나 중국의 한자를 가져다 차용한 부분이 많기에
그 설명에서 고개를 끄덕이게 되는 점이 많다고 볼수 있습니다.
 

한글은 가장 최근에 만들어진 문자체계로 가장 과학적입니다.
가장 최근에 만들어졌다고 과학적이지는 않을수 있으나
창제에 최고의 천재들이 기여했기에 가장 과학적인 문자 체계가 나올수 밖에 없었습니다.
 

그러나 한글은 시대에 따라서 변모해 왔고 수많은 변화를 거친 후에 지금과 같은 모습으로 쓰이고 있습니다.
한번 우리문자에 대한 관심이 간다면 읽어 보실만 합니다.


관심 있는 분들의 일독을 권합니다.

이 리뷰가 도움이 되었나요? 접어보기
  •  종이책 상품상세 페이지에서 더 많은 리뷰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바로가기

한줄평 (0건)

0/50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