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영광 저
천선란 저
이창현 글/유희 그림 저
김수연 저
김범 저
예소연 저
서미애, 송시우, 정해연, 홍선주, 이은영 작가들의 단편 모음집인 파괴자들의 밤을 구매해서 읽어보았습니다.
추리소설 중 한국작가들의 여성빌런 이야기라니 안 살 수가 없었습니다.
5개의 단편소설들이 수록되어있는데 각자의 캐릭터들이 입체적이여서 너무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추리소설을 좋아한다면 바로 구매하세요. 홍보물처럼 2번쨰 책이 나온다면 바로 구매할 의향이 있습니다.
용이 나오고 우주를 배경으로 해야 하는 장르만 판타지라고 하지 않듯, 나는 이 소설 또한 판타지라고 느꼈다. 서미애, 송시우, 정해연, 홍선주, 이은영 작가의 <파괴자들의 밤>이 이번 달 북클러버 책이었다.
이 책은 다양한 여성 인물들을 다루고 있다. 이 여성들은 피해자이기도, 가해자이기도, 범죄를 징벌하는 역할이기도, 방관자이기도 하다. 공통점은 단 하나이다. 크고 작은 범죄에 연루되어 있다는 것. 이 소설을 판타지로 느끼게 했던 가장 큰 요소가 여기에 있다. 복수는 순탄하고 살인은 얼핏 유희적으로 느껴지기까지 한다. 인물의 행위 하나에 사건은 쉽게 정리되고 뒤탈 또한 없다. 모든 복수가 지난하고 뒤탈이 있어야 한다는 말은 아니나, 나에게는 판타지로 느껴질 만큼 이야기가 얕게 느껴졌다.
또 한 가지 책을 읽으며 고민했던 지점은 실제 범죄를 이야기로 끌어올 때 창작자가 가져야 하는 태도이다. 송시우 작가의 <알렉산드리아의 겨울>은 실제 일어났던 자캐 커뮤니티 관련 유아 살해사건과 흐름이 유사하다. 실제 사건에 살을 붙이고 상상력을 더하였는데, 이러한 상상력이 소설의 본질이라 생각하기에는 실제 사건이 상상력 아래 채 뒤덮이지 않았다. 이는 결국 현실의 사건을 떠올리게 하며, 사건의 인물이 가지고 있는 정신병력 또한 충분한 근거를 제시하지 못해 소비적으로 사용된 점이 아쉬웠다.
복수극이나 살인 등 자극적인 소재를 전면에 내세웠으나 읽는 내내 현실의 사람들을 떠올리게 하는, 그래서 찝찝한 뒷맛이 남는 단편집이었다.
재미있다. 라고 말하긴 어렵다. 실제로 두어 차례 읽는 걸 포기할까 생각하기도 했고, ㅣ실제로 며칠간 펴보지도 않거나 한 두페이지만 보고 말기도 했었다.
스릴러 장르를 좋아하는데, 지루함을 느꼈던가. 만약 그 때 흥미를 잃고 그만 읽었다면 소름 돋는다, 라는 느낌을 아주 오랜기간 느끼지 못했을 거다.
해당 도서는 총 5편의 단편 소설이 수록되어 있다.
서미애 〈죽일 생각은 없었어〉
송시우 〈알렉산드리아의 겨울〉
정해연 〈좋아서가 아냐〉
홍선주 〈나뭇가지가 있었어〉
이은영 〈사일런트 디스코〉
처음엔 서미애 〈죽일 생각은 없었어〉는 술술 읽혔다. 평온하단 생각을 하며 운이 안좋네, 라는 서술자의 입장에서 나올 생각을 하며 읽었다. 끝에서도 여전히 그러게 걸리지 말지...라는 생각이 들었는데 바꿔 생각해보곤 기분이 나빠졌다. 일단 범죄고, 사람들에게 윤리적으로 어긋난 생각이니까. 서술이 다른 의미로 무서웠다. 덤덤하게 죽일 생각은 없었다고 말하는 것 같아서.
그 다음인 송시우 〈알렉산드리아의 겨울〉은 개인적으로 몇 차례 읽지 못했다. 다중인격이라는 것을 접해 본 적도 없거니와 실제 사건을 오마주한 것을 알고 있고, 그 사건에 대한 기사를 읽은 적이 있으나 이해할 수 없단 점이 이 이야기를 어렵게 만든 것같다. 아동범죄라 더 그런가? 읽는 내내 기가 찼다. 최근 이해 못할 사건들을 접하며 이해하기를 포기한 탓에 그런 듯 싶다. 중간중간 내가 알지 못하는 배경을 알게 되는 것이 좋았다. 그리고... 엔딩이 가장 좋지 않았나 싶다. 허무한 결말. 누군가는 좌절하겠지만, 남들에겐 감흥없는. 눈 한번 깜빡이면 잊을 결말이 어울린다 생각한다.
정해연 〈좋아서가 아냐〉은 개인적으로 스릴러라 생각하지 않는다. 밝고 명쾌한 엔딩이 앞 이야기를 다 휩쓸었다. 기괴하고 실제라면 미칠 것같은 상황들이 이어지다 반전된다. 가볍게, ㅁㅁㅁ의 입장에서 비웃게 되는 이야기같다. 개인적으로 미칠 거같았지만 엔딩에서 감탄했다. 소위 말하는 사이다엔딩
홍선주 〈나뭇가지가 있었어〉는 교수-박사-석사-대학원생... 관련 이야기가 나와 잠시 브레이크가 걸렸다. 실제로 주변에서 그런 일은 없었다. 비슷하긴 했어도 직접적으로 그런 이야기를 들어본 적은 없으니까 일단은 그리 표한다. 실제라면... 다 범죄자 아냐? 교수는 도대체 뭐야. 싶고. 소음같은 책이었다. 조용한 정적을 꺠는 기이하고 딱 거슬릴 정도의 크기인... 선과 악이란 참 묘하다.
이은영 〈사일런트 디스코〉는 이 리뷰가 길어지는 이유다. 개인적으로 물과 바다, 물고기... 이런 분위기를 좋아한다. 기괴하고 무서웠다. 가족이 바뀐다. 그런데 왜? 라는 시작이 마음에 든다. 정말... 마음에 들었다. 마지막 엔딩에서는 소름이 돋았다.
신을 잃어버린 자는 신이 된다.
이 사일런트 디스코가 마음에 든다면 이시우 작가의 [신입사원]을 추천하고 싶다.
미스 마플 클럽' ^^ 개인적으로 아가사 크리스티의 탐정 시리즈 중에서
개인적으로 가장 정이 가기도한 할머니 탐정인데,
이 탐정의 이름으로 작가분들이 뭉쳐 있다는 것이 재미있게 느껴지네요
파괴자들의 밤' 은 미스테리, 추리적인 요소를 가득 담고 있는
단편의 이야기들을 묶어 놓아 좋아하는 소재이기도 해서 재미있게
읽을 수 있었습니다. ^^
여러 작가들의 단편을 모아놓은 단편집입니다. 첫 편은 서미애의 죽일 생각은 없었어 입니다.
이 단편은 마치 유명한 미국 드라마 덱스터가 생각납니다. 살인 욕망을 벗어날 수 없었던 주인공이 나름 양심이 있어 죽어도 싸다고 느끼는 자를 쥐도 새도 모르게 죽인다는 스토리 말입니다.
살인마의 피를 이어받은 주희는 성범죄자에게 강한 적대감을 느끼며 그런 자를 볼때마다 살인 충동을 억제하지 못합니다.
운동으로 단련된 주희는 평소에도 남성들의 성희롱성 행동에 시달리고 있었는데 선을 넘는 자가 있으면 살인으로 응징합니다.
고등학생일때 성추행 선생을 처음 죽인 이후로 거침없이 살인을 이어나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