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분야 전체
크레마클럽 허브

K컬처 트렌드 2024

영화, 드라마, 예능, 웹툰, 대중음악으로 보는 K컬처의 모든 것!

김영대,정명섭,정덕현,김소원,조일동 저 외 9명 정보 더 보기/감추기 | 미다스북스(리틀미다스) | 2024년 1월 16일 리뷰 총점 0.0 (0건)정보 더 보기/감추기
  •  종이책 리뷰 (0건)
  •  eBook 리뷰 (0건)
  •  종이책 한줄평 (0건)
  •  eBook 한줄평 (0건)
분야
예술 대중문화 > 대중문화
파일정보
EPUB(DRM) 48.40MB
지원기기
크레마 PC(윈도우 - 4K 모니터 미지원) 아이폰 아이패드 안드로이드폰 안드로이드패드 전자책단말기(저사양 기기 사용 불가) PC(Mac)
이용안내
TTS 가능 TTS 안내

책 소개

목차

상세 이미지

상세 이미지

저자 소개 (14명)

저 : 김영대 (Youngdae Kim)
음악평론가. 미국 워싱턴대학 음악인류학 박사. [뉴욕매거진], MTV, [롤링스톤], [한겨레], [시사저널] 등에 음악평론을 기고했고, NPR, NBC, 워싱턴포스트, 아사히 방송에 출연해 K팝 현상을 소개했다. MAMA 어워드·한국대중음악상 선정위원이며 저서로 『지금 여기의 아이돌-아티스트』, 『BTS: The Review』, [K컬처 트렌드 2025] 등이 있다. 음악평론가. 미국 워싱턴대학 음악인류학 박사. [뉴욕매거진], MTV, [롤링스톤], [한겨레], [시사저널] 등에 음악평론을 기고했고, NPR, NBC, 워싱턴포스트, 아사히 방송에 출연해 K팝 현상을 소개했다. MAMA 어워드·한국대중음악상 선정위원이며 저서로 『지금 여기의 아이돌-아티스트』, 『BTS: The Review』, [K컬처 트렌드 2025] 등이 있다.
저 : 정명섭
1973년 서울에서 태어났으며, 대기업 샐러리맨과 바리스타를 거쳐 2006년 역사 추리 소설 『적패』로 작가 활동을 시작했다. 픽션과 논픽션, 일반 소설부터 동화, 청소년 소설까지 다양한 분야의 글을 쓰고 있다. 현재 전업 작가로 활동 중이다. 대표작으로는 『빙하 조선』, 『기억 서점』, 『미스 손탁』, 『어린 만세꾼』, 『유품정리사 - 연꽃 죽음의 비밀』, 『온달장군 살인사건』, 『무덤 속의 죽음』 등이 있으며 다양한 앤솔러지를 기획하고 참여했다. 그 밖에 웹 소설 『태왕 남생』을 집필했으며 웹툰 『서울시 퇴마과』를 기획했다. 2020년 『무덤 속의 죽음』으로 한국추리문학대상을... 1973년 서울에서 태어났으며, 대기업 샐러리맨과 바리스타를 거쳐 2006년 역사 추리 소설 『적패』로 작가 활동을 시작했다. 픽션과 논픽션, 일반 소설부터 동화, 청소년 소설까지 다양한 분야의 글을 쓰고 있다. 현재 전업 작가로 활동 중이다. 대표작으로는 『빙하 조선』, 『기억 서점』, 『미스 손탁』, 『어린 만세꾼』, 『유품정리사 - 연꽃 죽음의 비밀』, 『온달장군 살인사건』, 『무덤 속의 죽음』 등이 있으며 다양한 앤솔러지를 기획하고 참여했다. 그 밖에 웹 소설 『태왕 남생』을 집필했으며 웹툰 『서울시 퇴마과』를 기획했다. 2020년 『무덤 속의 죽음』으로 한국추리문학대상을 수상했다.

암행어사의 암행이 어두울 암(暗)에 움직일 행(行)이라는 것을 알게 된 후로 줄곧 ‘어둠을 걷는다’라는 말에 대해 생각해 왔다. 그러던 중 꿈속에서 어둠 속을 걸어가는 한 남자를 보게 되었다. 그때 ‘어둠의 길을 걷는 어사’를 주인공으로 하는 이야기를 떠올렸고, 오랜 시간을 거쳐 조금씩 완성해 나갔다. 처음에는 주인공이 송현우가 아니라 이명천의 포지션이었지만 생각해 보니 ‘어둠 속을 걸어가는 사람’은 쫓는 쪽보다는 쫓기는 쪽에 더 가깝지 않을까 싶었고, 조선 시대의 다양한 기담과 전설들을 더해서 이야기를 완성했다.
저 : 정덕현
대중문화평론가이자 칼럼니스트. 어려서부터 TV를 끼고 살던 그를 어머니는 커서 뭐가 될까 걱정했지만 좋아하는 걸 계속하다 보니 드라마, 예능, 영화 보고 음악 들으며 글 쓰고 방송하고 강연하는 일로 먹고살고 있다. 대중문화가 가진 통속성이 때론 그 어떤 위인들의 철학만큼 우리네 삶에 영향을 미친다고 믿고 있는 그는, 그래서 드라마 한 편을 통해 나누는 수다와 주장들이 실제 현실을 바꾸는 중요한 힘이라고 생각한다. 평론가로 불리며 어쩔 수 없이 평가하는 일을 하고 있지만, 그보다는 대중들과 공감하고 소통하는 걸 더욱 소중하게 여기는 사람이다. MBC 시청자 평가원, JTBC ... 대중문화평론가이자 칼럼니스트. 어려서부터 TV를 끼고 살던 그를 어머니는 커서 뭐가 될까 걱정했지만 좋아하는 걸 계속하다 보니 드라마, 예능, 영화 보고 음악 들으며 글 쓰고 방송하고 강연하는 일로 먹고살고 있다. 대중문화가 가진 통속성이 때론 그 어떤 위인들의 철학만큼 우리네 삶에 영향을 미친다고 믿고 있는 그는, 그래서 드라마 한 편을 통해 나누는 수다와 주장들이 실제 현실을 바꾸는 중요한 힘이라고 생각한다. 평론가로 불리며 어쩔 수 없이 평가하는 일을 하고 있지만, 그보다는 대중들과 공감하고 소통하는 걸 더욱 소중하게 여기는 사람이다.

MBC 시청자 평가원, JTBC 시청자 위원으로 활동했고, 백상예술대상·대한민국예술상 심사위원이며 SBS 〈열린TV 시청자 세상〉, KBS 〈연예가중계〉와 〈비인칭 시점〉, MBC 〈무한도전〉 등 다양한 방송에 출연했다. 저서로는 『숨은 마흔 찾기』, 『드라마 속 대사 한마디가 가슴을 후벼팔 때가 있다』, 『다큐처럼 일하고 예능처럼 신나게』 등이 있다.
저 : 김소원
경희대학교 K-컬처·스토리콘텐츠연구소 학술연구교수. 만화연구가. 한국만화웹툰학회 편집위원장, 대중서사학회 편집위원,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편집위원을 맡고 있다. 저서로 ??시대가 그려낸 소녀?한?일 순정만화의 역사??, ??만화웹툰작가 평론선?김진??, ??만화웹툰작가 평론선?무적핑크??, ??만화웹툰작가 평론선?이빈??, ??만화웹툰작가 평론선?강경옥?? 등이 있고, 공저로 ??K컬처 트렌드 2025??, ??K컬처 트렌드 2024??, ??2024 K-콘텐츠: 한류를 읽는 안과 밖의 시선??, ??웹툰?? 등이 있다. 경희대학교 K-컬처·스토리콘텐츠연구소 학술연구교수. 만화연구가. 한국만화웹툰학회 편집위원장, 대중서사학회 편집위원,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편집위원을 맡고 있다. 저서로 ??시대가 그려낸 소녀?한?일 순정만화의 역사??, ??만화웹툰작가 평론선?김진??, ??만화웹툰작가 평론선?무적핑크??, ??만화웹툰작가 평론선?이빈??, ??만화웹툰작가 평론선?강경옥?? 등이 있고, 공저로 ??K컬처 트렌드 2025??, ??K컬처 트렌드 2024??, ??2024 K-콘텐츠: 한류를 읽는 안과 밖의 시선??, ??웹툰?? 등이 있다.
저 : 조일동
한국학중앙연구원 문화예술학부 교수. 문화인류학자. 대중음악 웹진 <음악취향Y> 편집장, 한국대중음악학회·한국시각인류학회 연구이사, 한국대중음악상 선정위원을 맡고 있다. 미디어 기술과 대중문화 변화에 관한 연구를 지속하고 있으며, 저역서로 ??K컬처 트렌드 2025??, 『다시 한국영화를 말하다: 코리안 뉴웨이브와 이장호』, 『K컬처 트렌드 2024』, 『신해철 다시 읽기』, 『공감대화』, 『미국 대중음악』 등이 있다. 한국학중앙연구원 문화예술학부 교수. 문화인류학자. 대중음악 웹진 <음악취향Y> 편집장, 한국대중음악학회·한국시각인류학회 연구이사, 한국대중음악상 선정위원을 맡고 있다. 미디어 기술과 대중문화 변화에 관한 연구를 지속하고 있으며, 저역서로 ??K컬처 트렌드 2025??, 『다시 한국영화를 말하다: 코리안 뉴웨이브와 이장호』, 『K컬처 트렌드 2024』, 『신해철 다시 읽기』, 『공감대화』, 『미국 대중음악』 등이 있다.
저 : 이현경
영화평론가. ‘씨네21 영화평론상’을 수상. 대한민국영화대상, 부일영화상 심사위원, 국제영화제 평가위원으로 활동했다. 평론집 『영화, 내 맘대로 봐도 괜찮을까?』, 공저 『K콘텐츠 코드』, 『봉준호 코드』, 『대중서사장르의 모든 것』 등이 있다. 단편영화 <행복엄마의 오디세이> 등을 연출했다. 영화평론가. ‘씨네21 영화평론상’을 수상. 대한민국영화대상, 부일영화상 심사위원, 국제영화제 평가위원으로 활동했다. 평론집 『영화, 내 맘대로 봐도 괜찮을까?』, 공저 『K콘텐츠 코드』, 『봉준호 코드』, 『대중서사장르의 모든 것』 등이 있다. 단편영화 <행복엄마의 오디세이> 등을 연출했다.
저 : 조한기
영화평론가. 만화평론가. 경희대학교 K-컬처·스토리콘텐츠연구소 학술연구교수. 2018년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평론상과 한국콘텐츠진흥원 주관 만화비평 공모전 대상을 수상해 등단했다. 캐릭터 중심의 스토리텔링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유럽영화감독』, 『영화로 읽는 도시』 등을 공저했다. 영화평론가. 만화평론가. 경희대학교 K-컬처·스토리콘텐츠연구소 학술연구교수. 2018년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평론상과 한국콘텐츠진흥원 주관 만화비평 공모전 대상을 수상해 등단했다. 캐릭터 중심의 스토리텔링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유럽영화감독』, 『영화로 읽는 도시』 등을 공저했다.
저 : 정민아
영화평론가. 성결대학교 영화영상학과 교수. 한국영화학회 편집위원. 한국영상문화학회 연구이사. 한국영화사 및 아시아영화 비교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부산국제영화제,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등에서 심사위원을 했다. 저서로 『K콘텐츠 코드』, 『봉준호 코드』, 『The Korean Cinema Book』 등이 있다. 영화평론가. 성결대학교 영화영상학과 교수. 한국영화학회 편집위원. 한국영상문화학회 연구이사. 한국영화사 및 아시아영화 비교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부산국제영화제,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등에서 심사위원을 했다. 저서로 『K콘텐츠 코드』, 『봉준호 코드』, 『The Korean Cinema Book』 등이 있다.
저 : 배동미
영화 주간지 《씨네21》 기자. 영화진흥위원회 발간 월간지 《한국영화》 필자로도 활동 중이다.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에서 영상이론을 전공했으며, 공저로 『세상을 구하는 영화관』, 『이상한 나라의 학교』, 『내 몸에 독이 흐른다? TV에도 독이 흐른다!: 2014 좋은 방송을 위한 시민의 비평상 수상집』이 있다. 영화 주간지 《씨네21》 기자. 영화진흥위원회 발간 월간지 《한국영화》 필자로도 활동 중이다.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에서 영상이론을 전공했으며, 공저로 『세상을 구하는 영화관』, 『이상한 나라의 학교』, 『내 몸에 독이 흐른다? TV에도 독이 흐른다!: 2014 좋은 방송을 위한 시민의 비평상 수상집』이 있다.
저 : 고윤화
음악사회학자.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한류연구센터 선임연구원. 숭실사이버대 외래교수. 뮤직플랫폼 콘텐츠 PD 및 기획자로 일했으며, 문화기술융합컨소시엄 Artist First Alliance(AFA) 디렉터로 K콘텐츠 산업분야와 학계의 가교역할을 하고 있다. 디지털화 이후 음악 산업의 구조 변화와 음악의 사회적 기능 변화에 연구의 초점을 맞추고 있다. 공저로 ??K컬처 트렌드 2025??가 있다. 음악사회학자.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한류연구센터 선임연구원. 숭실사이버대 외래교수. 뮤직플랫폼 콘텐츠 PD 및 기획자로 일했으며, 문화기술융합컨소시엄 Artist First Alliance(AFA) 디렉터로 K콘텐츠 산업분야와 학계의 가교역할을 하고 있다. 디지털화 이후 음악 산업의 구조 변화와 음악의 사회적 기능 변화에 연구의 초점을 맞추고 있다. 공저로 ??K컬처 트렌드 2025??가 있다.
저 : 고일권
웹툰작가. 만화가. 2013년 데뷔하여 꾸준히 사극 작품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네이버웹툰에서 사극 <칼부림>을 연재중이며 그 외 다양한 플랫폼에서 <1894-동학 최후의 전투 장흥석대들>, <여식>, <별을 품은 아이> 등 다수의 작품을 연재하였다. 웹툰작가. 만화가. 2013년 데뷔하여 꾸준히 사극 작품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네이버웹툰에서 사극 <칼부림>을 연재중이며 그 외 다양한 플랫폼에서 <1894-동학 최후의 전투 장흥석대들>, <여식>, <별을 품은 아이> 등 다수의 작품을 연재하였다.
저 : 김선영
TV평론가. 칼럼니스트. 《경향신문》에 ‘김선영의 드라마토피아’, 《시사인》에 ‘K콘텐츠의 순간들’ 연재 등 다수 매체에 칼럼을 기고하고 있다. 서울국제드라마어워즈, 한국방송대상 등 여러 콘텐츠 시상식 심사위원을 역임했으며, SBS와 MBC 시청자평가원을 비롯해 다양한 TV비평 프로그램에 출연하고 진행했다. TV평론가. 칼럼니스트. 《경향신문》에 ‘김선영의 드라마토피아’, 《시사인》에 ‘K콘텐츠의 순간들’ 연재 등 다수 매체에 칼럼을 기고하고 있다. 서울국제드라마어워즈, 한국방송대상 등 여러 콘텐츠 시상식 심사위원을 역임했으며, SBS와 MBC 시청자평가원을 비롯해 다양한 TV비평 프로그램에 출연하고 진행했다.
저 : 백태현
경희대학교 K-컬처·스토리콘텐츠연구소 학술연구교수. 한국영화학회 학술이사를 역임했고 현재 편집위원을 맡고 있다. 한국영화사 및 대중문화 연구를 하고 있으며 한류와 K콘텐츠 연구로 관심사를 확장하고 있다. 경희대·동국대·인하대 등에 출강하고 있으며 한국영화사와 한류를 연구하고 강의하고 있다. 공저로 『영화란 무엇인가』와 『야누스의 여신 이은주』, 『K컬처 트렌드 2024』가 있다. 경희대학교 K-컬처·스토리콘텐츠연구소 학술연구교수. 한국영화학회 학술이사를 역임했고 현재 편집위원을 맡고 있다. 한국영화사 및 대중문화 연구를 하고 있으며 한류와 K콘텐츠 연구로 관심사를 확장하고 있다. 경희대·동국대·인하대 등에 출강하고 있으며 한국영화사와 한류를 연구하고 강의하고 있다. 공저로 『영화란 무엇인가』와 『야누스의 여신 이은주』, 『K컬처 트렌드 2024』가 있다.
저 : 김형석
고려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동국대학교 영화과 대학원을 수료했다. 시네마테크 단체인 ‘문화학교서울’에서 영화 공부를 시작했고, 2000년부터 2009년까지 영화 월간지 《스크린》에서 취재기자와 편집장으로 일했다. 이후 네이버영화 CP를 비롯하여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프리랜서 영화 저널리스트로 활동했다. 2019년부터 평창국제평화영화제 프로그래머로 일하고 있다. 저서로 《KIM Jee-woon》(2008), 《영화 편집》(2018), 《21세기 한국영화》(공저, 2020) 등이 있다. 고려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동국대학교 영화과 대학원을 수료했다. 시네마테크 단체인 ‘문화학교서울’에서 영화 공부를 시작했고, 2000년부터 2009년까지 영화 월간지 《스크린》에서 취재기자와 편집장으로 일했다. 이후 네이버영화 CP를 비롯하여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프리랜서 영화 저널리스트로 활동했다. 2019년부터 평창국제평화영화제 프로그래머로 일하고 있다. 저서로 《KIM Jee-woon》(2008), 《영화 편집》(2018), 《21세기 한국영화》(공저, 2020) 등이 있다.

출판사 리뷰

한줄평 (0건)

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