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분야 전체
크레마클럽 허브

오만과 편견

제인 오스틴 | 북로드 | 2014년 12월 10일 한줄평 총점 10.0 (1건)정보 더 보기/감추기
  •  종이책 리뷰 (0건)
  •  eBook 리뷰 (0건)
  •  한줄평 (1건)
분야
소설 > 영미소설
파일정보
EPUB(DRM) 12.37MB
지원기기
크레마 PC(윈도우 - 4K 모니터 미지원) 아이폰 아이패드 안드로이드폰 안드로이드패드 전자책단말기(일부 기기 사용 불가) PC(Mac)

책 소개

영국 소설의 성숙기를 이룬 사실주의 로맨스의 걸작

제인 오스틴의 대표작 ≪오만과 편견≫은 ≪이성과 감성≫, ≪설득≫ 등과 더불어 출간 직후부터 2백여 년이 흐른 지금까지 독자들에게 사랑받고 있으며, 그녀의 작품은 특히 20세기에 전 세계적으로 새롭게 평가되었다.제인 오스틴이 평생 독신으로 살면서 자기가 살던 지역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듯이 그녀의 작품 배경은 주로 중류층 집안과 그 이웃으로 국한된다. 이야기의 소재 또한 일상성을 벗어나지 않지만 인간군상과 시대상을 위트와 풍자를 가미해 사실적으로 세밀하게 묘사하는 데 탁월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2백 년 전이나 지금이나 결혼은 신분과 지위, 이성과 감성, 주변 사람들의 이해관계, 가치관, 통념, 과거와 현재 등이 충돌하는 삶의 중요한 과정인 만큼 ≪오만과 편견≫은 오랜 세월이 흐른 지금까지 많은 독자들이 꾸준히 찾는 작품이다. 제인 오스틴의 작품이 지금 시대에도 공감할 수 있는 가장 큰 이유는 바로 일상적인 배경과 소재를 가지고 평범한 인물들의 다양한 성격과 심리를 세밀하게 묘사했기 때문이다.

저자 소개 (1명)

저 : 제인 오스틴 (Jane Austen)
작가 한마디 '상당한 재산을 가진 독신남성이라면 틀림없이 아내를 찾고 있을 것이다.'라는 말은 보편적인 진리이다. 영국 근대 문학을 대표하며, 영국인이 가장 사랑하는 소설가로 손꼽히는 작가다. 1775년 12월 16일 영국의 햄프셔 주 스티븐턴에서 교구 목사인 아버지 조지 오스틴과 어머니 커샌드라 사이에서 8남매 중 일곱째로 태어났다. 어린 시절 목사인 아버지로부터 폭넓은 독서 교육을 받았다. 어려서부터 습작을 하다가 열여섯 살 때부터 희곡을 쓰기 시작했고, 스물한 살 때 첫 장편 소설을 썼다. 1794년에 서간체 단편소설 『레이디 수전』을 집필하면서 본격적으로 소설을 쓰기 시작했다. 스무 살이 되던 1795년에는 『엘리너와 메리앤』이라는 첫 장편소설을 완성했는데, 1797년 이 소설은 개작... 영국 근대 문학을 대표하며, 영국인이 가장 사랑하는 소설가로 손꼽히는 작가다. 1775년 12월 16일 영국의 햄프셔 주 스티븐턴에서 교구 목사인 아버지 조지 오스틴과 어머니 커샌드라 사이에서 8남매 중 일곱째로 태어났다. 어린 시절 목사인 아버지로부터 폭넓은 독서 교육을 받았다. 어려서부터 습작을 하다가 열여섯 살 때부터 희곡을 쓰기 시작했고, 스물한 살 때 첫 장편 소설을 썼다. 1794년에 서간체 단편소설 『레이디 수전』을 집필하면서 본격적으로 소설을 쓰기 시작했다. 스무 살이 되던 1795년에는 『엘리너와 메리앤』이라는 첫 장편소설을 완성했는데, 1797년 이 소설은 개작되어 『이성과 감성』으로 재탄생한다.

1796년 남자 쪽 집안의 반대로 혼담이 깨지는 아픔을 겪는 와중에, 훗날 『오만과 편견』으로 개작된 소설 「첫인상」을 집필했다. 그러나 출판을 거절당하고 다시 꾸준히 작품을 개작했다. 그러다 1799년, 후에 『노생거 사원』으로 개제하여 출간된 「수전」을 탈고하고 1803년 출판 계약을 맺는다. 1805년 아버지가 돌아가시자 경제적으로 어려워져 어머니와 함께 형제, 친척, 친구 집을 전전하다가 1809년 아내를 잃은 셋째 오빠 에드워드의 권유로 햄프셔 주의 초턴이라는 곳에 정착했고, 그곳에서 생을 마감할 때까지 평생 독신으로 살았다. 이 기간에 『이성과 감성』(1811)을 익명으로 출판하였고, 『첫인상』을 개작한 『오만과 편견』(1813)을 출간하였으며, 『맨스필드 파크』(1814), 『에마』(1815) 등을 출판했다. 이 책들은 출간 즉시 큰 호응을 얻었고 그녀는 작가로서의 명성을 쌓았다.

작가로서 왕성한 활동을 이어갔으나 1816년 『설득』을 집필하면서 건강이 나빠졌고, 1817년 『샌디턴』을 집필하던 중 병세가 깊어져 그해 7월, 42세로 생을 마감했다. 『노생거 사원』과 『설득』은 오스틴이 죽은 후 오빠인 헨리 오스틴이 작가 소개를 덧붙이며 1818년에 출판되었고, 후에 그녀의 습작과 편지 들, 교정 전 원고와 미완성 원고가 출판되었다. 그녀의 작품들은 오늘날까지도 꾸준히 출간되고 영화화되어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담담하면서도 섬세한 필치로 삶의 미묘한 이면을 포착하고, 재치 넘치는 위트와 은은한 유머를 담아 젠트리 계층의 사교 생활과 결혼을 중심으로 당시의 사회상을 생생히 그려낸 그녀의 작품은 20세기에 들어서면서 더욱 높이 평가되었다. 또한 오스틴은 영국 BBC 선정 ‘지난 천 년간 최고의 문학가’에서 셰익스피어에 이어 2위에 오르는 등 가장 사랑받는 여성 작가로 자리매김했다. 대표작으로는 『이성과 감성』, 『오만과 편견』, 『맨스필드 파크』, 『엠마』, 『노생거 사원』, 『Sanditon』, 『설득』, 『맨스필드 파크』 등이 있다.

출판사 리뷰

19세기에도 있었고 오늘날에도 있는 인물들의 결혼 심리극

19세기 영국 사회에서 재산이 없는 집안의 남자들은 목사나 군인이 되고 여자들은 시집을 가거나 가정교사, 혹은 노처녀로 사는 것이 관례였다. 사회활동이 극히 제한되어 있고 남자들에게 의지해 살아갈 수밖에 없는 여성들에게 결혼이란 신분 상승의 도구이자 사회활동의 방편, 그리고 지극히 합법적인 생계 수단이었다. 장남상속법에 의해 귀족 가문의 차남이나 재산을 물려받을 게 없는 집안의 남자 역시 돈을 고려하지 않고 자유롭게 배우자를 선택할 수 없었다. ≪오만과 편견≫은 이런 사회적 배경 아래 중류층 집안의 다섯 딸들이 각자 배우자를 찾고 자아를 발견해나가는 과정을 둘째 딸 엘리자베스의 시점으로 그리고 있다.

물려줄 재산이 없는 상황에서 딸들을 부잣집에 시집보내기를 원하는 속물근성의 베넷 부인, 그저 착하고 순수하기만 한 큰딸 제인, 사회 통념에 얽매이지 않고 당당하며 분별 있는 둘째 딸 엘리자베스, 줏대도, 분별력도 없는 셋째 딸 캐서린, 자매들 중 가장 못생겼으며 지적인 허영만 좇는 넷째 딸 메리, 제멋대로 구는 천방지축 리디아, 그리고 못생기고 재산도 없어서 낭만적인 결혼은 아예 포기한 스물일곱 살의 이웃 처녀 샬럿 등 결혼을 기준으로 여성들의 성격과 가치관을 분류한다면 세상 모든 여성들이 이들 범주에 속할 것이다.

남자들의 상황도 마찬가지다. 자유롭게 아내감을 선택할 수 있을 만큼 많은 재산을 가졌지만 가문의 수준과 명예를 외면할 수 없는 다아시, 신흥 부유층으로 사랑하는 여자와의 낭만적인 결혼을 꿈꾸는 빙리, 변변한 재산이 없어서 돈 많은 여자와 결혼해 한몫 챙기는 것이 목표인 위컴, 재미라고는 찾아볼 수 없고 거드름만 피우면서 낭만보다는 조금 굴욕적이지만 안정적인 가정을 꾸리는 콜린스, 못마땅한 것들은 단숨에 외면해버리는 베넷 씨 등 결혼관으로 보면 대부분의 현대 남성들도 이들과 비슷할 것이다.

재력가이자 높은 신분의 다아시는 인습에 얽매이지 않고 쾌활한 베넷 가의 둘째 딸 엘리자베스에게 호감을 보이지만, 그녀는 다아시를 재산과 신분만 믿고 오만하게 구는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반면 다아시는 베넷 가 여성들의 속물근성을 경멸하며 더욱 오만하게 굴고, 엘리자베스는 더욱 편견을 가지고 그를 대한다. 그러나 엘리자베스는 다아시의 오만함 뒤에 숨은 진정성을 발견한 뒤 조금씩 편견을 벗어던지고 그의 청혼을 받아들인다.

제인 오스틴은 ≪오만과 편견≫에서 신분과 지위, 이해관계와 재산, 성격과 가치관이 서로 충돌하는 결혼이라는 큰 사건을 중심으로 다양한 성격의 사람들이 자신의 삶에서 최선의 길을 찾아가는 과정을 섬세하게 묘사하고 있다. 그 과정에서 당시 상류층의 오만함과 권위의식, 중류층의 신분 상승 욕구 등을 통렬하게 비판함과 동시에 가진 것은 없지만 당당한 여자와 부자 남자의 결합을 통해 이상적인 대안을 제시한다.

여성 중심의 신데렐라 이야기에서 새로운 가치관 제시

≪오만과 편견≫은 재산이나 신분이 변변찮은 신사 집안의 딸과 부자 남자의 결혼이라는 점에서는 신데렐라 이야기 구조를 벗어나지 않는다. 그러나 모든 조건을 갖춘 남자를 차지하는 여자가 뛰어난 미인이라기보다 지적이고 분별 있으며 당당하다는 점, 그 시대에 여성이 처한 상황을 대변함과 동시에 비판하며, 가문과 지위를 중시하는 상류층의 통념이 잘못된 것이라고 당당하게 말하고, 결혼의 전제 조건으로 외적인 것보다는 사랑을 역설하며, 여성이 재력가인 남자의 세계로 고스란히 들어가는 것이 아니라 그 남자의 성품과 세계관을 바꾸는 주체가 된다는 점, 남자 또한 가문이나 권위 의식에 얽매이지 않고 자신의 가치관과 취향에 따라 선택하는 등 당시의 지배적인 가치를 벗어나 새로운 가치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문학적 가치를 인정받는다.

한줄평 (1건)

0/50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