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 저
강성민 저
김다현 저
김선우 저
바호(이형욱) 저
이보영 저
지금 준비해도 돈 걱정 없는 속성 특강
노후준비 골든타임은 따로 이싸
40~50대 조기 은퇴를 하든 60대 정년 은퇴를 하든
퇴직 5년 전부터 퇴직시까지 단 5년이면 끝난다
반퇴,은퇴,세대의 고질적 불안감을 해소할 획기적인 책
노후 준비 미리하는 게 아니라 제때하는 것이다
사실 저자처럼 나자신도 노후 준비를 해야겠다는 마음을 먹고 나름 한다고 계획은 했지만
먹고 살기 바빠 실천이 되지 못한 현실이다
노후준비를 시작해야한다고 들쑤셔 대면 겁먹지 않을 재간이없다
마케팅 기법은 금융회사 입자에선 효과적인 시장 공략 일 수 있지만 개인의과잉구매를 부추기고 국가적으로도 자원배분을 왜곡시키는 등 폐단이 많다
그동안 노후 생활비 차등을 두지 않고 막 떠들고 있는것 같다
은퇴후이후 차등을 두고 생활비가 부족하다연 은퇴전까지 현역으로 활동하는
동안 저축해 메울수있다
저축금을 따로 마련할 여유가 없는 경우 지출에서 허투루 새는 돈을
찾아내 활용하면 된다
왜 퇴직전 5년인가?
이 책은 노후 준비를 제대로 못해 불안해하는 이들에게 희망의 메시지를 주려는 의도에서 출발했다
퇴직전 5년 노후가180도 바뀌는 시간
공교육이 시원치 않으면 사교육이 기승을 부리듯이 복지가 부실하면 보완할 거리를 찾아 시장을 기웃거리게 된다 수요가 생기면 공급이 뒤따르는 법 각종 연금 상품이 쏟아지면서 사적연금 시장이 갑자기 몸집을 키운 배경이다
한국에서는 은퇴가 여전히 부정적인 개념이다 빈곤,두려움,고독,무료함 같은 단어와 연관되어
은퇴에 대해 이런 감정을 갖는 가장 큰 이유는 노후 준비가 충분치 않은 탓이다
조기 노후 준비의 함정
노후 준비를 일찍 시작하면 비요잉나 효과 측면에서 유리 한건 맞지만 그럴 경우 즐겨야 할 시기를 희생해야 하기 때문에 전체 생애의 효용이 줄어들 윟머이 있다는 것이다
젊은 사람들이 노후에 발목 잡혀 사는 것은 한번 뿐인 인생을 너무 삭막하게 만들 수 있다는 말이다
노후 준비를 하지 말라는 의미는 아니고 모든 일엔 때가 있듯이 노후 준비도 어느 시기를 놓치면 힘들어진다
말하자면 노후준비에도 "골든 타임"이 있다는 뜻이다
은퇴레드 존,,,노후의 삶을 준비할 마지막 기회이자 중요한 시기라는 뜻
은퇴레드 존은 은퇴전 10년부터 후 5년을 말하며 노후 설계의 성패를 결정짓는 최우의 시기로
소득과 지출이 역전되는 기간이다
특히 은퇴 5~6년전부터는 그 차이가 빠른 속도로 커진다
은퇴 레드 존을 놓치면 투자 상품 선택의 폭이 줄어들고 잘못된 선택이라도 할 경우 되돌리거나 회복할 시간이 별로 없다
연금저축보험이나 연금저축계좌는 가입후 5년디 지나야 연급 수급 자격이 생긴다
최소한 은퇴 5년 전엔 가입해야 은퇴 후 바로 연금을 탈 수 있다는 이야기
지금 60세인 사람의 인생 정년은 82세 100세로 봤을때
먹고 자는 시간을 빼도 무려 10만시간 이상이 자신만의 위한 기간이란 이야기
이 인생의 기나긴 마지막 구간을 지루하지 않고 의미있게 보내려면 무엇보다 경제력이 필요하다
노후엔 수입은 빤한데 돈 쓸 시간이 차고도 넘쳐 자칫하면 마파람에 게 눈 감추듯 자산이 금방 쪼그라들 수 있다
노후 자금을 여유있게 준비하지 않으면 장수가 축복이 아니라 저주가 될 수도 있다
30~40년의 노후를 보낼 만한 돈을 마련하지 못했다는 것은 끔찍한 일이다
지금까지의 삶을 버리고 인생 후반전을 위한 인생계획을 세우는 것이다
노후를 위해 주변의 많은 방법들이 있지만, 막상 투자를 하고자 하면 현실 속에 부딫히면 당장의 여유 있는 삶을 위해서 미래를 내다보지 못하는 현실입니다. 하지만 어떻게 현실적으로 우리의 삶을 되돌아보고 분석하면서 투자를 할 수 있는지 실질적으로 예를 들어가면서 해석적으로 노후 자금을 모을 수 있는 현신적인 설명을 잘 해주고 있는 것 같은 도서라 생각이 들었습니다. 주식을 해보았지만, 주식의 값어치가 하루 1분 1초 매 순간마다 요동을 치다보니 일상생활이 존재하는데 주식에만 매진 할 수도 없어서 불안정한 값어치에 불안에 떨치지 못해 주식은 포기하고 부동산 쪽으로 눈을 돌려보려 했지만, 사전지식이 아무것도 없어서 힘들었었는데, 이렇게 이 도서 <누구나 5년 만에 노후 월급 500만원 만들 수 있다>를 읽으면 안정적이고 미래가치적인 노후 자금을 만들 수 있겠다는 생각에 읽어보기 시작했습니다.
이처럼 저자는 이 도서 <누구나 5년 만에 노후 월급 500만원 만들 수 있다>를 통해 독자들에게 자신이 생각하는 형후의 미래의 경제에 대한 전망을 짚어주면서 여러 방면으로 어떻게 노후를 잘 준비해야 하는지데 대해사 나누어서 이야기해주고 있습니다. 너무 ㅁ가연한 미래를 준비하기 보다는 이 책을 통해서 보다 철저하게 자신의 상황에 맞게 밝은 미래를 위해서 노후를 준비하는 철저한 자신의 삶에 대한 경험을 통해 현실과 맞써 싸우면서 현명하게 준비할 수 있는 방법들을 제시해주고 있다고 생각이듭니다.
은퇴가 다가오면서 불안한 미래에 대한 걱정이 앞서다 보니 요즘 노후준비관련 책들을 기웃거리고 있다.
추천도 많고해서 도움이 될까 싶어 이 책을 선택했다.
읽으면서 많이 들어본 내용도 있고, 낯선 내용도 있지만 꽤 상세히 설명되어있어 나름 기초지식을 쌓기에 무리가 없어 보인다. 그렇지만 그만큼 어려운 내용도 많다. 보면서 좋다니까 좋은줄 아는것일뿐 실제로 완전히 이해하긴 무리가 있는 내용도 많다. 문제는 책을 다 읽은 시점에서도 뭘 어떻게 해야 구체적으로 500만원이 모일까 의문이 생기기도 한다. 하지만 노후를 대비하기위해서 기본적으로 알아야 할 내용이 들어있음은 확실하다. 이 책의 내용을 모르고도 노후준비를 할 수 있는 사람도 많을 것이지만, 이 책의 내용을 안다면 보다 현실적인 재무관리가 가능하지 않을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