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즈미 마사토 저/김윤수 역
롭 무어 저/김유미 역
야마구치 슈 저/김윤경 역
앨릭스 코브 저/정지인 역
애덤 그랜트 저/윤태준 역
위화의 다른책만 읽어봤는데, 역시 고전인가봅니다. 인생의 굴곡에서 좋은일이라고 생각했던 일들이 나중엔 나쁜일이 되기도 하고 또 그 반대가 되기도 하는것 들을 보면서 어른들이 "인생 모른다" 라고 하는 말을 더 잘이해하게 되었습니다. 저도 제 꿈을 잃고 여전히 방황하고 있는데요, 실망스럽고 때론 고단하긴 하지만 그래도 시간을 만들어서 열심히 앞으로 나아가려고 합니다.
"나는 아직 살아있지 않은가"가 의미있었습니다. 산다는건 무엇일까요? 그저 숨이 붙어있는게 삶일까요? 아니면 의미있는 인생은 산다는게 삶일까요?
역사의 소용돌이와 함께 살아온 개인의 인생과 감동적인 운명의 우정 그리고 '사람이 어떻게 엄청난 고난을 견뎌내는가'에 관해 풀어놓았다. 운명의 존재를 인정하더라도 그 힘에 순순히 복종하지 말고, 때로는 거부하고, 개척하면서 운명과 나란히 걸어가라고 말한다.
소설 <인생> 은 1994년 칸 영화제 심사위원 대상 수상작 '인생'의 원작으로, 원제는 #活着 이다. #살아간다는것 으로 전에 출간된 적이 있다. 저자는 이 책이 '눈물의 넓고 풍부한 의미와 절망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 사람은 살아간다는 것 자체를 위해 살아간다는 사실을 말하고 있다고 믿는다'라고 했다. 뭔가 좀 이상한 문장! 가끔 이런 문장이 있다
중국 혁명과 대약진. 문화대혁명이 소설 배경으로 등장하고, 중국 현대사의 변화 그리고 그 속에서 흔들리며 살아가는 한 개인의 삶을 잘 녹여낸 책이다. 사람마다 제각각 다른 인생을 살아가지만, 누구나 죽음 앞에서는 공평하다. 그것이 인생(人生)!! 그러니 살아있는 동안 잘~살아보자
그 녀석이 몸을 돌려 돌아가려는 순간에, 중대장이 허리에서 권총을 꺼내 들었습니다.
팔을 수평으로 하더니, 눈을감고, 저 앞에 걸어가는 놈을 겨누는 것이었습니다.
중대장이 가라고 소리치자, 그 소리에 하인은 그 자리에 주저앉아 울며불며 소리를 질렀습니다.
중대장님, 중대장님, 소리쳤지만, 중대장을 총을 쐈습니다.
한발을 쏘았는데, 명중하지는 못하고, 그녀석 옆에 가서 박히고 말았습니다.
책 재미있게 봤어요~
위화의 대표작 『인생』을 이제야 읽었다. 『허삼관 매혈기』를 처음 읽었고 이후에는 산문집을 주로 읽었다. 책은 작년에 미리 사두었다. 자고로 책은 사두고 잊어버리는 맛이 있다. 성공에 필요한 건 운이라고 밝힌 위화는 어느 날 시골 슈퍼에 갔다가 자신의 책 『인생』이 꽂혀 있는 걸 본다. 영화로도 만들어진 『인생』 덕분에 위화의 인생은 다르게 펼쳐진다. 『인생』은 위화가 세계적인 작가로 도약하는 계기를 만들어 준다. 책을 읽고 영화도 봤는데 영화는 원작과는 다른 결말로 끝난다. 소설 안에는 비극적인 이야기가 많았는데 그 부분을 걸러 내었다. 관객의 마음을 다치게 하고 싶지 않은 배려 같기도 하다.
촌에서 민요를 수집하는 '나'는 소를 데리고 밭을 가는 노인 '푸구이'를 만난다. 그가 소를 부르는 여러 이름에 호기심을 느껴 대화를 시작한다. 『인생』은 대지주의 아들 푸구이의 인생 전체를 들려준다. 푸구이 자신이 직접 말해주는 그의 인생을 따라가다 보면 눈물과 한숨, 어쩔 수 없이 터져 나오는 웃음까지 우리를 다양한 감정의 바다로 데리고 간다. 도박에 빠져 집안의 가산을 날린 푸구이는 직접 농사를 짓고 일을 하는 노동자로 살아간다. 체념과 좌절, 절망에 빠질 만도 한데 그의 곁에는 착한 사람들이 있어 묵묵히 운명을 받아들인다.
서문에서 위화가 밝혔듯이 『인생』은 개인과 운명의 대결을 그린 작품이다. 중국의 현대사를 끄집어 내지 않아도 인간 푸구이의 인생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없다. 중국이라는 거대한 역사가 아닌 한 인간의 일대기를 이해하는 데는 우리가 가진 공감 능력만 있으면 충분하다. 푸구이의 역경, 고난, 고독을 들어주는 한가로운 시간을 가지고 있으면 된다. 집과 땅을 잃은 푸구이는 겨우 땅을 얻어 농사를 짓는다. 아픈 어머니를 위해 의원을 데리고 갔다가 엉겁결에 전쟁에 휩쓸린다. 그곳에서도 푸구이는 살아남는다.
가족과 행복하게 사는 것이 인생의 최고임을 깨닫는다. 가난 때문에 그의 딸 펑샤를 남의 집에 보내고 눈물을 흘리고 아들이 공부를 잘 하기를 바라는 보통의 아빠로 살아간다. 딸이 울면서 집에 남기를 원하자 그는 다시 집으로 데리고 온다. 아들 유칭이 현장 부인의 수혈을 위해 어이없이 죽었을 때에는 내가 다 눈물이 나려고 했다. 한 인간의 삶에 드리운 비극에는 그처럼 어이없는 상황이 존재하는 것이다. 항시 현재의 삶에는 과거에 했던 일의 후회가 따른다. 푸구이의 삶도 마찬가지였다. 그런 일을 하지 않았더라면, 그곳에 가지 않았더라면의 후회.
여러 이름을 가진 늙은 소만이 푸구이의 현재에 남아 있다. 『인생』은 우리의 삶이란 누군가를 만나고 떠나보내는 것의 반복이라고 말하는 소설이다. '닭들이 자라면 거위가 되고, 거위는 자라서 양이 되고, 양은 또 소가 된단다. 우리는 그렇게 점점 부자가 되는 거지.' 푸구이는 그의 손자 쿠건에게 이렇게 말한다. 성장을 지켜보고 그 곁에 함께 있어주는 것. 사랑하는 이들이 떠나고 남은 자리에 추억과 회한이 남지 않도록 최선을 다해 살아주는 것. 소설 『인생』의 결말은 마음이 아픈 것이었다.
왜 동화의 결말이 해피 엔딩으로만 끝나는 것인지 이해가 될 정도였다. 어린이들이 삶에 희망과 긍정을 가질 수 있는 배려인 것이다. 어차피 자라면서 알게 될 것이니까. 삶에는 마냥 좋은 행복만이 있는 것이 아님을. 영화 『인생』의 마지막은 새로운 푸구이 세대를 지켜볼 수 있는 장면으로 끝이 난다. 소설 『인생』은……. 『인생』을 읽으며 떠나간 사람들을 추억해 보았다. 역경을 헤쳐왔다고는 말 못 하겠다. 어려움이 있었다면 피하지 않으려 했었다는 정도이다. 숲속의 바람을 느끼고 새소리를 들으며 해가 지는 풍경을 좋아하는 인생이면 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