켈리 최 저
캐럴라인 크리아도 페레스 저/황가한 역
한성희 저
월터 아이작슨 저/조은영 역
황선우 저
하미나 저
2022년 10월 17일
[책읽아웃] 의도하지 않았으나 ‘땡땡의 땡땡’ 특집이 되었습니다
2021년 02월 04일
[올해의 책] 작가, 출판인, 기자, MD 50인의 '올해의 책'
2020년 12월 01일
2020년 05월 11일
진리의 발견
마리아 포포바/지여울
다른/2020.2.14.
우리에게 ‘진리란 무엇인가?’라는 문제는 간단히 정의하기엔 복잡한 문제이다. 그러나 인류문화의 발전에 크게 기여한 일로 ‘진리’를 한정하면 누구나 어렵지 않게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진리의 발견>이 바로 그런 책이다. 행성운동의 법칙을 발견한 천문학자인 요하네스 케플러의 이야기로 시작해 환경운동을 촉발한 해양생물학자인 레이철 카슨에 이르기까지 인류문화를 발전시키는데 큰 역할을 했던 과학자, 예술가 들을 하나의 이야기처럼 엮어 소개 한다. 특히 여성운동의 선구자와 성 소수자의 인권을 위해 노력한 사람들에 주목한 이야기는 여러 사람의 관심을 끌기에 충분하다. 저자 마리아 포포바는 불가리아에서 음악과 수학에 심취해 자랐으며, 웹사이트 ‘브레인피킹스’를 운영하며 자신이 읽은 책에 대해 쓴다.
<진리의 발견>에서 소개하는 사람은 행성 운동의 법칙을 발견한 요한슨 케플러, 여성으로 처음 혜성을 발견한 마리아 미첼을 시작으로 허먼 멜빌, 엘리자베스 배럿 브라우닝, 마거릿 풀러, 찰스 다윈, 윌리어미나 플레밍, 헤리엇 호스머, 에밀리 데킨슨, 리에첼 카슨, 등 10명의 유명한 과학자 및 예술인에 대한 이야기를 엮었다. 이야기는 과학의 발전에 크게 기여한 과학자를 중심으로 전개 된다. 이들 중에는 페미니즘 운동에 앞장선 여성들과 동성애자에 대해 그들의 삶과 활동을 자세히 다루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이들과 관계된 전후세대의 사람들과의 사적인 인간관계도 설명하며 독자의 흥미를 자극하고 있다. 이렇게 인류문화의 발전에 크게 기여한 과학자와 예술가들이 단지 여성이라는 이유만으로 그동안 주목받지 못하거나 그 업적을 남성들에게 빼앗겨왔었다는 것을 바로잡고자 하는 의도를 갖고 하나씩 써내려간 책이다.
“아름다운 삶은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 아름다움의 큰 부분, 우리가 진실을 추구하도록 부추기는 힘의 큰 부분은 보이지 않는 연결고리에서 유래한다.(p.16)” 사상과 사상 사이, 학문과 학문 사이, 특정 시대와 특정 장소에 살았던 사람들 사이, 선구자의 내면세계와 그들이 문화라는 동굴 벽에 남긴 자취 사이, 변혁의 횃불이 새로운 날을 밝히기 전의 어둠 속에서 고개를 살짝 끄덕이며 성냥을 건네주던 그 희미한 ‘인물들 사이를 잇는 연결고리’라고 저자는 이 책을 엮어가는 방향을 제시한다. 케플러는 ‘성별의 차이에서 비롯되는 운명의 차이는 천공에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이 땅 위 문화의 작용에 따른 성별 구조에서 비롯된다.’고 주장했다고 말한다. 미첼이 혜성을 관측하고 아홉 주 후 허셜은 세상을 떠났다. 평생 허셜은 2510개 성운의 위치를 밝혀냈고 여덟 개의 혜성을 발견했다. 개인 관측자가 이룩한 업적으로는 놀랄 만한 수치이다. 1920년대 에드윈 허블은 헨리에타 스완 레빗의 계산 자료를 기반으로 안드로메다 성운이 은하수에서 지구와 가장 멀리 떨어진 별보다 훨씬 멀리 떨어져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우주에는 우리은하 말고도 다른 은하들이 존재한다는 가설을 제안하였다고 한다.
“미국에서 가장 널리 읽히는 신문 중 하나인 <뉴욕트리뷴>에 합류한 풀러는 주류 출판물에서는 전례가 없던 예술 분야를 다루었다.(p.254)” 가장 구독자가 많은 시절의 <다이얼>보다 60배가 넘는 1만 5,000명의 구독자를 상대로 마거릿은 문학 작품에 대한 시적인 비평을 쓰고, 주요 박물관과 소규모 갤러리에서 열리는 전시회에 관한 기사를 쓰고, 뉴욕 필하모닉이 연주한 베토벤의 교향곡을 전면적으로 비평했다.
“<다이얼>에 쓴 글을 확장하여 <19세기 여성>으로 완성했다. 새 시대의 문을 열어젖힌 책이라 할 수 있는 <19세기 여성>은 폭발적인 웅변과 엄밀한 수사학으로 미국 민주주의의 이상과 사회적 구조에 얽매인 불평등이라는 현실 간의 괴리를 폭로한다.(p.258)” 미국 여성의 ‘독립선언’이라 할 수 있는 이 책에서 풀러는 ‘여자의 진정한 본성을 탐구하는 일, 여자에게 정당한 희망을 부여하고 여자 내면의 기준을 마련하는 일’에 착수한다. 풀러는 여자의 자립이 사회를 가장 크게 변화시킬 힘이며 사회를 진보의 길로 나아가게 만드는 원동력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풀러는 여자에게 남자와 동등하게 재산을 소유할 자격이 없다는 점을 비난했다. 재산 문제에서 여성의 법률적 권리는 자녀의 지위로 격하되기 때문이다. 한 걸음 더 나아가 결혼은 완전한 인생을 이루는 유일한 수단으로 모두에게 강요되는 것이 아니라, 인생의 다른 길보다 이 길을 좋아하는 이들이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수많은 선택지 중 하나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시대를 앞서고 때론 맞선 자들의 이야기가 나온다. 주로 여성인물들이 대부분을차지한다.
과학자, 예술가, 작가들이 있고 성소수자,여자 였기에더힘든 삶을 살아야 했다.
때로는 목숨을 걸만큼 위험하기도 했다.
이 책을 읽고 든 생각은 아름다운 삶은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는 것이다. 아름다움의 큰 부분, 우리가 진실을 추구하도록 부추기는 힘의 큰 부분은 보이지 않은 연결고리에서 우래한다.
그리고 저자는 책에 나온 인물들을 놀랍도록 연결시키며 스스로에게 질문을 던지게 한다.
훌륭한 인생이란 무엇인가?
진리의 발견 / 마리아 포포바 / 다른
앞서 나간 자들의 불멸의 정신, 야심 차고 도발적인 러브스토리.
1700년대부터 현재까지 네 세기에 걸쳐 역사적 인물들의 서로 교차하는 삶을 통해 복잡함과 다양성, 사랑이라는 감정의 모순, 진실과 의미와 초월에 대한 인간의 도전을 탐험한다. 시대와 불화하기도 하고, 시대 앞에 좌절하기도 했으며, 또한 시대를 넘어서기도 했던 이들의 이야기, 만나본다.
마리아 포포바
불가리아 출신의 작가, 문화비평가. 대안문화적 성격을 지닌 웹사이트 브레인피킹스BrainPickings.org를 운영하며 예술, 과학, 철학, 창의성, 책 그리고 진실, 아름다움, 의미에 대한 글을 쓴다. 불가리아의 소피아 아메리칸 컬리지졸업,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에서 커뮤니케이션을 전공했다.
리딩투데이 북적북적 지원도서*
#진리의발견 #마리아포포바 #다른 #문학사 #러브스토리 #성소수자 #젠더 #사랑 #여성 #네이버독서카페 #리딩투데이 #북적북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