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마테오 스트루쿨은 이 삼부작을 쓰기 위해 니코로 마키아벨리의 피렌체사에서부터 펜싱 교본까지 다양한 자료들을 섭렵했다 약 2년간의 이러한 철저한 자료조사와 그에게 다대한 영감을 준 뒤마의 작품들로 인해 이 삼부작은 지적인 역사소설이면서 뒤마의 작품과 같은 속도감 있는 모험소설의 결을 띠게 되었다 그리고 저자가 피렌체와 파리를 면멸히 탐방 조사하여 작품의 생동감과 정교함이 더욱 크게 향상되었다 메디치가에 대한 소설이 별로 없는 작금의 상황에서 이런 질 높은 작품이 나왔다는 것은 반가운 일이 아닐 수 없다 그리고 메디치가의 훌륭한 장점들을 쉽고 빠르게 흡수할 수 있는 작품이 나왔다는 점에서도 매우 가치가 높다
2권 피렌체를 사로잡은 남자에서는 피렌체 민중의 마음을 사로잡아 자신의 펴으로 만든 천재 지략가 로렌초가 나온다 자신의 저택을 시면들에게 개방하여 그들의 삶에 대한 호소와 목소리를 들으려 했던 로렌초는 개인적으로는 무척 불행한 상태에 있다 정략결혼으로 인해 진심으로 사랑하는 연인 루크레치아와 멀어져 있는 것이다 그리고 친구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동성애 혐의로 재판에 서게 된다 과연 로렌초는 사랑하는 사람들을 구하고 정적인 파치 가문의 사악한 함정을 피할 수 있을까? 권력과사랑 우정으로 엉클어진 인간관계를 풀 수 있을까 만인에게 사랑받는 남자 로렌초에게 먹구름이 서서히 다가오고 피렌체는 피의 축제에 물들기 시작한다
‘메디치(MEDICI)’만큼 하나의 가문으로서 유럽 역사에 깊은 흔적을 남긴 가문을 찾아보기란 쉽지 않을 것이다. 평범한 상인가문에서 시작해서 은행업을 통해 거대한 부를 축적하고 15세기에서 18세기에 이르기까지 피렌체를 실질적으로 통치하며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했고, 3명의 교황과 2명의 여왕을 배출했으며, 르네상스 예술의 대표적인 후원자로도 널리 알려진 메디치가는 피렌체라는 도시에 대해 이야기 할 때 결코 빠질 수 없는 이름이기도 하다.
2017년 이탈라이의 서점 대상이라 불리는 ‘프레미오 반카렐라 상’을 수상한 [권력의 가문 메디치] 삼부작은 메디치 가문을 부흥시키고 피렌체의 군주로 만든 <코시모 디 조반니 데 메디치>,
‘레오나르도 다 빈치’, ‘미켈란젤로 부오나르티’, ‘산드로 보티첼리’ 등 르네상스의 거장이라 불리는 수많은 예술가들을 후원하여 피렌체를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중심지로 만드는데 공헌하고, 메디치가문의 최전성기를 이끈 수장으로 동시대인들에게 ‘위대한 자(Lorenzo Il Magmifico)’로 불렸던 <로렌초 디 피에로 데 메디치>,
프랑스의 국왕 앙리 2세와 결혼하여 프랑스의 왕비이자 3명이 아들을 왕위에 올리며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한 <카트리나 마리아 로물라 디 로렌초 데 메디치>의 생을 담고 있다.
2권 [피렌체를 사로잡은 남자]는 일 마그니피코(위대한 자) 로렌초가 아버지 피에로 사망 후 가문을 계승하면서, 자신의 의지와 별개로 권력과 사랑, 의무와 우정 사이에서 고뇌하며 갈등하며 피렌체의 통치자로 거듭나는 가운데 메디치가를 적대시하는 피렌체의 귀족 가문 파치가와 교황 식스토 4세의 조카이자 교회군 총사령관 지롤라모 리아리오, 피사 대주교 프란체스코 살비아티, 복수를 꿈꾸는 루도비코 등이 꾸민 ‘파치가의 음모 사건’과 그 이후까지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이탈리아 도시국가들과의 세력 다툼, 피렌체의 통치와 적대가문의 견제, 권력과 정치다툼 속에서 루크레치아와의 사랑과 레오나르도 다 빈치와의 우정은 그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이야기를 이끌어가는 또 하나의 인물이자 로렌초의 친구 레오나르도 다 빈치. 우리가 익히 아는 르네상스의 거장이자 천재 예술가로 이름을 높이기 전, 열정적으로 지식과 호기심을 탐구하고, 화가, 발명가, 다재다능한 예술가로서 성장해나가지만, 또 한편으로는 고뇌와 방황으로 그림을 중단하고, 동성애 혐의로 고발당하는 등 갖은 고생을 다 하는 젊은 레오나르도와의 깊은 우정과, 가문의 번영을 위해 로마의 귀족인 클라리체 오르시니와 결혼을 했기에, 두 사람 사이의 관계가 허락될 수 없었던 루크레치아를 사랑하고 지키려는 모습에서 통치자이자 가문의 수장이 아닌 인간적인 로렌초의 추구했던 이상적인 모습과 현실사이에서의 고뇌가 생생하게 느껴진다. 그러나 두 사람의 사랑이 아름다운만큼, 다른 사람을 사랑하는 남편을 사랑했기에 계속해서 고통스러워하는 클라리체의 모습 역시 마음 아프게 다가온다.
20세 젊은 나이로 가문을 계승한 로렌초는 특유의 매력과 출중한 능력으로 피렌체 시민의 사랑을 받으며 통치자로서의 자리를 공고히 했으나, 파치가의 음모로 동생 줄리아노를 잃고, 그에 대한 복수로 메디치가의 지지자들이 벌인 대학살의 기억은 피렌체에 고스란히 남아버렸다. 이 이야기의 끝이 다음 카트리나의 이야기로 어떻게 이어질지 다음권이 기대하며 책을 덮었다.
피렌체라는 도시에는 아직도 메디치 가문의 흔적이 곳곳에 남아있다. 피렌체를 여행하는 많은 사람들이 방문하는 유럽을 대표하는 미술관 중 하나인 ‘우피치 미술관’은 메데치가의 공무 집행실로 건축된 우피치궁과 소장되어 있던 예술품들을 가문의 마지막 상속녀인 안나 마리아 루이자가 기증하여 미술관으로 변경되었고 지금까지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코지모, 로렌초, 카트리나, 세 사람을 통해 피렌체를 실질적으로 통치하고 권력과 예술을 사랑한 메디치가문의 격동적인 흥망성쇠를 담아낸 드라마에 푹 빠져들게 되는 시간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