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분야 전체
크레마클럽 허브

주식, 나는 대가처럼 투자한다

한 권으로 익히는 월가의 전설 10명의 투자원칙과 실제 적용방법

강영연,최재원 | 한국경제신문사(한경비피) | 2020년 9월 21일 한줄평 총점 9.4 (25건)정보 더 보기/감추기
  •  종이책 리뷰 (17건)
  •  eBook 리뷰 (1건)
  •  한줄평 (7건)
분야
경제 경영 > 투자/재테크
파일정보
EPUB(DRM) 60.02MB
지원기기
크레마 PC(윈도우 - 4K 모니터 미지원) 아이폰 아이패드 안드로이드폰 안드로이드패드 전자책단말기(일부 기기 사용 불가) PC(Mac)

주식, 나는 대가처럼 투자한다

책 소개

유행을 뛰어넘은 세계적 투자가의 전략을
실제 시장에 접목하다

· 18년치 데이터를 통한 한·미 주식시장 분석
· 존 리·강방천·최준철 강력 추천
· 홍춘욱 박사의 특별 기고 10편 수록


450.16%. 워런 버핏의 투자 방법을 2002년부터 18년간 코스피 종목에 적용했다고 가정했을 때 얻을 수 있는 수익률이다. 누군가에게는 꿈이자 목표, 또 누군가에게는 의심의 대상일 것이다. 그런데, 이런 수치는 어떻게 나올 수 있었을까. 그 비밀을 알면 나도 주식으로 높은 수익률을 올릴 수 있을 것만 같다. 같은 기간 코스피200지수의 상승률은 201.44%였다.

[한국경제신문] 강영연 기자와 키움증권 최재원 연구원이 함께 쓴 『주식, 나는 대가처럼 투자한다』는 시장의 유행과 변덕을 뛰어넘은 투자 대가의 수익률의 연원을 찾아간다. 먼저 워런 버핏·피터 린치를 비롯한 세계적 투자가 10명의 원칙을 정리하고 그것을 실제 시장에 활용하는 방법을 일목요연하게 보여준다. 이어서 대가의 전략을 한국과 미국 시장에 적용했을 때 어떤 결과가 나왔는지 18년치 데이터를 토대로 분석한 뒤, 2020년에 주목할 만한 한·미 주식 종목을 정리했다.
  •  책의 일부 내용을 미리 읽어보실 수 있습니다. 미리보기

목차

프롤로그: 대가들의 투자 전략, 코스피에서도 통할까? 005

1장 오마하의 현인, 워런 버핏
떡잎부터 달랐던 투자 구루 017
오래 보유해 복리효과를 누려라 018
아는 사업에 투자해야 적정 가격을 판단할 수 있다 021
버핏 전략, 한국 증시에서도 통할까? 023
2020년 버핏 종목: 금융지주·자동차·식품 033
미국 시장에서의 모의투자 결과 035
버핏 전략으로 선정한 미국 기업들 038
미국 시장의 대표적인 버핏 종목 041
강세장보다 횡보장에 적합한 버핏 전략 044
홍춘욱의 인사이트: 왜 워런 버핏에 주목하는가 047

2장 가치투자의 아버지, 벤저민 그레이엄
절대 잃지 않는 투자를 목표로 하다 051
사업하듯 투자하라 054
그레이엄 전략, 코스피200 상승률을 웃돌다 056
2020년 그레이엄 종목: 소재 및 산업재 058
S&P500에는 약간 뒤지는 성과 061
미국 주식으로는 레나, 타이슨 푸드 등이 유망 064
미국 시장의 대표적인 그레이엄 종목 066
흔들리지 않는 장기투자 전략 068
홍춘욱의 인사이트: 벤저민 그레이엄의 투자 철학이 다시 주목받는 이유 070

3장 역사상 최고의 펀드매니저, 피터 린치
성장성 있는 저평가 종목을 찾아라 075
바보도 경영할 수 있는 기업에 투자하라 077
코스피200 상승률을 2배 앞선 린치의 전략 078
2020년 린치 종목: 패션주·지주사 081
미국 시장에서도 높은 성과 기록 082
미국 시장에선 IT·건강관리 업종 주목 085
미국 시장의 대표적인 린치 종목 088
개인 투자자들에게 적합한 전략 090
홍춘욱의 인사이트: 피터 린치 투자 철학의 세 가지 특징 091

4장 마법 공식의 창시자, 조엘 그린블라트
우량한 기업의 주식을 싸게 사는 마법 공식 095
코스피 적용 시 18년간 626% 수익률 098
2020년 그린블라트 종목: 건설·정유화학·IT부품 100
S&P500을 넘어서는 수익률 102
그린블라트 전략으로 선정한 미국 기업들 104
미국 시장의 대표적인 그린블라트 종목 108
마법 공식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려면 110
홍춘욱의 인사이트: 그린블라트의 마법 공식, 퀀트 붐을 일으키다 112

5장 역발상 투자를 창안한 데이비드 드레먼
투자자는 언제나 과잉반응한다 117
인기 없는 소외주에 투자하라 118
한국 시장에서도 통하는 드레먼의 전략 120
2020년 드레먼 종목: 경기 관련 소비재 및 산업재 124
S&P500에는 소폭 뒤처져 125
버크셔 해서웨어, 뉴몬트 등에 주목 128
미국 시장의 대표적인 드레먼 종목 131
떨어지는 칼날을 잡아라 134
홍춘욱의 인사이트: 데이비드 드레먼, 고집스러운 가치투자자 135

6장 배당주투자 전략을 집대성한 켈리 라이트
배당은 거짓말하지 않는다 139
코스피200 상승률을 뛰어넘는 라이트의 전략 142
2020년 라이트 종목: 금융·반도체·식품 145
미국 시장에서도 성과 낸 라이트 전략 147
미국 시장에선 화이자, 서던 컴퍼니 등 선정 149
미국 시장의 대표적인 라이트 종목 153
배당주에 분산투자 하라 155
홍춘욱의 인사이트: 켈리 라이트의 배당주 전략, 왜 지금 주목받는가 157

7장 기금 운용의 일인자, 데이비드 스웬슨
분산투자는 ‘공짜 점심’이다 161
코스피에서도 입증된 분산투자 성과 163
미국 시장에 적용한 스웬슨의 전략 166
전통적 자산배분 vs 스웬슨의 자산배분 vs 달리오의 자산배분 168
포트폴리오를 꾸준히 리밸런싱하라 176
홍춘욱의 인사이트: 데이비드 스웬슨, 자산배분 전략의 새로운 지평을 열다 177

8장 듀얼 모멘텀 전략을 개발한 게리 안토나치
아웃사이더였던 투자 전문가 181
주식시장도 물리학의 법칙을 따른다 182
코스피200 적용 시 18년간 637% 수익률 183
2020년 안토나치 종목: 반도체·내수·바이오 186
미국 시장에선 부진한 듀얼 모멘텀 전략 187
미국 시장에선 테슬라, 덱스콤 등 선정 190
미국 시장의 대표적인 안토나치 종목 194
듀얼 모멘텀 전략이 개인 투자자에게 도움이 되길 197
홍춘욱의 인사이트: 듀얼 모멘텀 전략, 금융시장에 새로운 바람을 일으키다 199

9장 월스트리트의 큰 곰, 제시 리버모어
꼬마 투기꾼에서 전설의 트레이더로 203
물 대신 불을 타라 204
코스피200 상승률을 3배 넘어선 리버모어의 전략 206
2020년 리버모어 종목: 제약·바이오·인터넷 209
미국 시장에선 부진한 성과 보여 210
ETF 투자 등에 적용할 만한 전략 210
홍춘욱의 인사이트: 모멘텀 전략의 시조, 제시 리버모어 212

10장 캔슬림 전략의 창시자, 윌리엄 오닐
성공한 사람들의 발자취를 따라가다 217
오닐의 전략, 코스피에선 어떨까? 219
2020년 오닐 종목: IT·건강관리·바이오 222
금융시장이 발전한 미국에선 부진한 성과 223
미국 시장의 캔슬림 업종: IT·건강관리 등 성장주 226
미국 시장의 대표적인 오닐 종목 230
무릎에서 사서 어깨에서 팔아라 235
홍춘욱의 인사이트: 윌리엄 오닐, 성장주 투자의 신시대를 열다 236

에필로그: 대가들의 공통점을 발견하셨기를 238
주 240
참고문헌 245

상세 이미지

상세 이미지

저자 소개 (2명)

저 : 강영연
정치부 청와대 출입기자. 계획적이고 꼼꼼한 성격으로 남몰래 조직을 이끄는 조용한 카리스마의 소유자다. 투쟁할 줄 아는 평화주의자이자, 달달함을 사랑하는 쓴 소리 전문가. 매 주말 <인터뷰 집>을 연재하는 재테크 전문기자이기도 하다. 저서로는 《주식, 나는 대가처럼 투자한다》가 있다. 정치부 청와대 출입기자. 계획적이고 꼼꼼한 성격으로 남몰래 조직을 이끄는 조용한 카리스마의 소유자다. 투쟁할 줄 아는 평화주의자이자, 달달함을 사랑하는 쓴 소리 전문가. 매 주말 <인터뷰 집>을 연재하는 재테크 전문기자이기도 하다. 저서로는 《주식, 나는 대가처럼 투자한다》가 있다.
저 : 최재원
서강대학교 경제학부를 졸업한 뒤 동대학원에서 경제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대학원 재학 당시 전통적인 경제학 이론과 달리 현실 금융시장에서 나타나는 특이 현상들을 설명하고자 하는 행동재무학 분야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관련 논의들을 데이터를 통해 분석하는 계량적 접근 방식에 끌려 증권 분석 업계에 발을 들이게 되었다. 현재 키움증권 리서치센터에서 퀀트 애널리스트로 활동하고 있다. 서강대학교 경제학부를 졸업한 뒤 동대학원에서 경제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대학원 재학 당시 전통적인 경제학 이론과 달리 현실 금융시장에서 나타나는 특이 현상들을 설명하고자 하는 행동재무학 분야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관련 논의들을 데이터를 통해 분석하는 계량적 접근 방식에 끌려 증권 분석 업계에 발을 들이게 되었다. 현재 키움증권 리서치센터에서 퀀트 애널리스트로 활동하고 있다.

출판사 리뷰

‘영끌투자’ ‘주식 빚투’ ‘존버’ 하기 전에
다시 대가의 원칙을 돌아봐야 하는 이유


주식 시장에서 높은 수익률을 올리는 방법은 시험에서 좋은 성적을 얻는 방법과 크게 다르지 않다. 먼저 원리를 익혀야 하되, 그것만으로는 부족하다. 수학 공식을 완벽히 외운다 하더라도 다양한 케이스를 접해보지 않으면 시험에서 좋은 성적을 거둘 수 없다. 투자도 마찬가지다. 원리가 어떻게 적용되고 어떤 결과가 도출되는지 익히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 책이 원리를 정리하는 데서 그치지 않고 실제 데이터를 기반으로 백테스트를 진행한 이유다. 각 대가의 원칙에서 유의미한 정보가 무엇이고 시장의 특성에 따라 투자 결과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확인함으로써 ‘투자의 원리와 실제’를 자연스럽게 터득할 수 있다.

코로나19 발생 이후 국내 증시는 물론 세계 증시가 안개 속이다. 항공, 원유, 관광 관련 업계가 급락했다. 반대급부로 ‘영끌투자’ ‘동학개미운동’이라는 신조어가 보여주듯 갈 곳 막힌 유동자산이 주식시장에 몰렸다. 버블에 대한 우려도 나오고 있다. 기회도 많아졌지만 반대로 불확실성과 변동성이 높아지며, 개인 투자자로서는 혼란이 가중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럴 때 족집게처럼 오를 전망이 보이는 주식을 찍어주는 강사의 노하우를 빌리거나, 투자 경험 많은 지인으로부터 종목 추천을 받는 것도 투자를 시작하는 방법 중 하나다. 또 시중에 나와 있는 책을 통해 최신 트렌드를 익히는 것도 나쁘지 않은 접근일 것이다. 하지만 ‘맞춤형’이란 반대로 보면 예상 밖의 상황이 벌어졌을 때 속수무책일 수밖에 없다. 동향이라는 것도 언제 어떻게 바뀔지 모를 일이다. 결국에는 원리를 익히고 실제 적용을 해보며, 자신의 기준을 만들어야 한다.

미래는 한 번도 확실한 적이 없었지만, 시장에는 늘 승자가 있었다. 불확실성이 커진 지금, 자신의 원칙을 일관성 있게 지켰던 10명의 대가들을 소개한다. 시장을 뛰어넘은 거인의 시야와 통찰을 빌린다면 먼 곳을 정확하게 바라볼 수 있는 안목을 가질 수 있지 않을까.

· 투자 대가 10명의 방법 중 코스피에서 가장 높은 수익률을 내는 것은 무엇일까?
· 벤저민 그레이엄, 데이비드 드레먼의 방법론은 한국 시장에 어떻게 적용해야 할까?
· 조엘 그린블라트의 ‘마법 공식’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려면?
· 대가의 투자법 중 개인 투자자에게 가장 적합한 전략은?


『주식, 나는 대가처럼 투자한다』는 대가들이 직접 남긴 저작물과 그들에 대해 쓴 작가들의 책을 참고하여, 이 책만 봐도 그들의 전략과 투자 원칙을 알 수 있도록 설명했다. 여기서 한 발 더 나아가, 그 전략을 한국과 미국 증시에 접목한다면 성과가 어땠을지 살펴보고, 두 시장에서 관심을 가질 만한 종목도 선별했다.

하나의 예로 한국과 미국 시장 적용했을 때 양쪽 모두에서 높은 수익률을 기록한 방법인 조엘 그린블라트의 마법 공식을 살펴보자. 그는 기업의 자본수익률과 이익수익률 두 가지 지표만으로 시장을 웃도는 성과를 낼 수 있다고 했다. 마법 공식을 한국에 활용할 때는 코스피200에 편입된 종목 중 자본수익률과 이익수익률을 기준으로 각각의 순위를 부여한 뒤 평균을 낸 뒤 그중에서 상위 20%에 해당하는 종목을 추렸다. 결과는 어땠을까? 18년간 626.80%를 기록했다. 연환산으로 복리로는 11.64%의 수익률이다. 반면 같은 기간 코스피200지수는 201.44% 상승률을 기록했다.

한편 마법 공식은 하락장보다는 상승장에서 큰 효과를 발휘했는데, 2015년과 2016년처럼 국내 주식시장이 부진할 때는 상대적으로 성과가 좋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그의 투자 전략과 그에 따라 도출된 데이터에 입각해서 보면 어떤 종목에 관심을 두어야 할까. 코로나19 발발 이후 전 세계적으로 경기가 둔화되었지만, 그의 말대로 자본수익률이 높은 기업은 특별한 경쟁우위가 있기 때문에 앞으로도 평균 이상의 수익을 낼 수 있으리라 전망할 수 있다. 건설·정유화학·IT부품이 주목할 업종으로 꼽혔다. 같은 방식으로 미국 시장에 적용했을 때는 주목할 기업으로 록히드 마틴, 윈마크, 마스터카드 등이 꼽혔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워런 버핏부터 윌리엄 오닐까지 세계적 구루 10명을 뽑아 그들의 전략과 그에 따른 투자 결과를 정리했다. ‘오마하의 현인’으로 불리며 장기투자, 가치투자를 원칙으로 삼는 워런 버핏이 첫 번째다. 그는 저평가된 성장주에 투자하는 방식을 고수함으로써 주식투자에 관한 한 세계적 구루로 인정받고 있다. 그가 운영하는 버크셔 해서웨이는 수십 년간 시장 수익률을 웃도는 성과를 내고 있다.

버핏의 스승이자 가치투자라는 개념을 만들어낸 벤저민 그레이엄도 있다. 그의 투자법은 ‘극단적 저PBR 전략’으로 불리는데, 회사가 가진 자산가치에 비해 주가가 저렴한 종목을 사서 오르기를 기다리는 방식이다. 역사상 가장 위대한 펀드매니저로 꼽히는 피터 린치도 빼놓을 수 없다. 그는 ‘GARP 전략’을 사용한 것으로 유명하다. 간단히 말해, 성장하는 기업을 합리적인 가격에 사라는 것이다. 데이비드 드레먼은 이성적이지 못하고 언제나 과잉반응하는 시장과 대중의 특성을 고려한 역발상 투자를 강조했다. 켈리 라이트는 배당주투자를 강조하며, 배당수익률을 통해 적정한 가격을 판단해 투자할 수 있다고 했다.

게리 안토나치와 제시 리버모어는 각각 듀얼 모멘텀, 절대 모멘텀 전략으로 달리는 말에 올라타는 방식의 투자법을 활용한 것으로 유명하다. 기금 운용계의 일인자인 데이비드 스웬슨은 한 나라 주식에 ‘올인’하는 방식보다는 선진국 주식, 신흥국 주식, 채권 등에 나눠 투자하는 자산배분 전략을 강조했다. 캔슬림(CAN SLIM) 전략을 창안한 윌리엄 오닐은 오르는 주식을 가장 좋은 타이밍에 사는 것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시작하기도 전에 기죽을 필요는 없다. 차분히 원리를 익히고 책에서 말하는 방법을 따라 가상의 실전 경험을 해나간다면, 오랫동안 안정적으로 수익을 보장하는 좋은 기업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너무 멀게 느껴진다면 이 말을 기억하자. “버핏의 참 좋은 점은 은퇴할 나이가 지난 후에도 여전히 효과적으로 배우고 실력을 쌓는 것입니다. 버핏의 투자 실력은 65세를 지나고 나서 눈에 띄게 늘었습니다.”(『구루들의 투자법』) 워런 버핏의 오랜 단짝 찰리 멍거의 말이다.

종이책 회원 리뷰 (17건)

주식, 나는 대가처럼 투자한다.
내용 평점5점   편집/디자인 평점5점 | 체****서 | 2022.01.06

 

이 책은 한 권에 투자 대가 10명의 투자철학을 요약해 놓은 책이다.

그리고 이들의 투자 전략을 국내 코스피와 미국 S&P500지수와 비교함으로써 투자성과를 측정해보고 한국 증시에 적절한지(과거 데이터 기준) 또는 미국 시장에서는 해당 투자 전략으로 효과가 있는지 여부를 검증해보고 있다.

 

아울러 이런 투자 대가들의 전략을 적용했을 때, 해당 조건을 충족하는 기업들도 함께 공개해주고 있으며, 국내에서 정보를 쉽게 접하기 힘든 미국 기업들의 경우에는 간략히 해당 기업에 대한 정보도 제공해주고 있다.

 

그리고 초보자들에게 익숙하지 않은 용어들에 대해서는 용어설명을 친절히 해주고 있어서, 주식 초보자도 읽어나가는데는 어려움이 없을 것 같다.

 

각 장의 마지막에는 '홍춘욱의 인사이트'라는 제목으로 대가들의 전략을 통해 다시 한 번 생각해볼 기회를 제공해주고 있다.

이 책에서 선정한 대가 10인은 다음과 같다.

 

1. 워런 버핏(오마하의 현인)

2. 벤저민 그레이엄(가치투자의 아버지)

3. 피터 린치(역사상 최고의 펀드 매니저)

4. 조엘 그린블라트(마법 공식의 창시자)

5. 데이비드 드레먼(역발상 투자를 창안)

6. 켈리 라이트(배당주투자 전략을 집대성)

7. 데이비드 스웬슨(기금 운용의 일인자)

8. 게리 안토나치(듀얼 모멘텀 전략을 개발)

9. 제시 리버모어(월스트리트의 큰 곰)

10. 윌리엄 오닐(캔슬림 전략의 창시자)

 

저자는 에필로그에서 밝히고 있다.

 

'대가들의 전략을 무조건 따라야 한다는 뜻은 아닙니다. 실제 백테스트를 진행한 결과 시장 수익률을 밑도는 전략도 있었습니다. 대가들 역시 '생각하는 것을 아웃소싱해서는 안 된다.'라며 전문가의 말에 속지 말라고 조언했습니다.'

 

책은 워런 버핏부터 시작해서 가치투자 거장들과 모멘텀투자 거장들의 투자 원칙들과 성과를 분석해주고 있다.

 

첫 장은 워런 버핏부터 시작을 한다.

워런 버핏의 투자철학을 먼저 공유하고 투자 방법에 대해 정리해놓고 있다.

그리고 워런 버핏의 투자 전략이 한국에서도 통할 것인지에 대해 검증을 한다.

 

첫 번째로 워런 버핏의 투자기준을 적용했을 때 코스피200과 수익률을 분석한다.

총 수익률이 450.16%로 동일 기간 코스피 201.44%보다 월등히 우수하다.

이런 누적 성과를 그래프로 다음과 같이 비교도 해주고 있다.

그리고 모든 장에서 이런 고수들의 전략을 국내 주식에 적용했을 경우, 해당 조건을 충족시키는 종목에 대해서도 한국과 미국 기업을 대상으로 정리를 해주고 있다.

미국 기업은 기업에 대한 설명도 추가로 해준다.

다음은 워런 버핏의 투자 기준이 S&P500지수와 비교했을 경우를 검증하고 있다.

이 경우도 워런 버핏이 판정승을 보여준다.

하지만 투자 대가들에 따라 결과는 다르게 보여주고 있다.

코스피와 마찬가지로 연도별 수익률을 비교해줌으로써 버핏의 성과가 매년 기존 지수 대비 어떻게 움직이고 있는지도 관찰해볼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책은 10명의 고수들의 투자기준을 정리하고 이를 코스피와 S&P500 지수와 비교함으로써 국내 지수에 적합한 투자법인지, 또는 미국 증시에서 좀 더 효과적인지를 비교할 수 있도록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투자고수들의 투자 철학은 모두 자신만의 방법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합한 절대 원칙을 도출하는 것은 불가능해 보인다.

 

그래서 이 책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가장 큰 강점은 투자 고수들의 공통적인 자세를 알 수 있다는 것이 아닐까 싶다.

개인적으로 정리해본 투자 고수들의 특징은 다음과 같지 않을까 싶다.

우선 고수들은 시장을 우리가 학교에서 배어왔던 효율적인 시장으로 보지 않는다. 시장의 심리적인 요소를 중요하게 보고 있다.

그리고 고수들은 자신만의 투자 원칙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자신이 지킬 수 있는 최선의 투자 원칙을 세우고 철저히 지켜나가는 행동이 투자의 성공을 이끌어주지 않았나 싶다.

 

이 책을 통해 10명의 고수를 통해 다양한 투자 원칙과 성과를 엿볼 수는 있었다. 하지만 저자도 말하고 있는바와 같이, 어떤 마음가짐과 전략을 가지고 투자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을 해보는게 중요하다는 생각이 든다.

이 리뷰가 도움이 되었나요? 접어보기
《주식, 나는 대가처럼 투자한다》
내용 평점5점   편집/디자인 평점5점 | s****m | 2021.02.06
한 권으로 익히는 월가의 전설 10명의 투자원칙과 실제 활용방법
한경bp / 강영연?최재원 지음


요즘은 특히 코로나19 바이러스로 인해 주식시장장의 변동성이 예측하기도 힘들어진 것 같습니다.

생각해보면 예전에도 미래는 항상 불확실한 상황이 존재했었고 어떤 상황에서도 살아남는 이들은 존재했습니다.

이 책에서는 가치투자자로 잘 알려진 워런 버핏과 그의 스승이자 가치투자자의 아버지로 불리는 벤저민 그레이엄, 역사상 최고의 펀드매니저라 불리는 피터 린치를 비롯하여 가치투자, 모멘텀 투자, 배당주투자 등의 투자 전략을 수립했거나 그 원칙을 가장 충실히 수행했다고 평가받는 세계적 대가 10명을 뽑아 그들의 전략과 투자 원칙을 이해하기 쉽게 잘 정리해 놓은 책입니다.

이들의 전략과 투자 원칙은 미국 증시에 맞는 전략이고 한국 증시에서도 통할까 늘 궁금했었는데 이 책에서는 그들의 전략을 한국 증시에 접목한다면 성과가 어땠을지 살펴보고, 그들이 한국 시장에서 관심을 가질 만한 종목도 선별하여 알려주고 있습니다

주식 투자자자라면 알아두어야 할 용어들에 대해서도 자세하게 설명해주고 있어서 주식 용어가 익숙지 않은 사람도 읽어가면서 주식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 같습니다.

그 동안 궁금했던 주식 대가들의 투자 전략과 활용 방법이 한 권의 책으로 잘 요약 정리되어 있어서 좋았던 책입니다.










한경bp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서평입니다.
이 리뷰가 도움이 되었나요? 접어보기
구매 주린이가 리뷰하려니...
내용 평점5점   편집/디자인 평점5점 | 안***스 | 2020.12.23

임금소득 증가가 자산소득 증가에 터무니없이 못미치는 상황에서 누구든 대안을 모색해보려 할 것이다. 다들 첫 손에 꼽는 부동산은 일단 종잣돈으로 거금이 필요하고 일정 기간 묶어둘 수밖에 없어 유동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눈을 주식으로 돌리면 유동성은 높지만 안전성이 매우 우려스러워진다. 그래서 일단 멈칫거리게 된다. 베팅은 승자가 취하는 행동방식이다. 가진 자는 과감해진다. 그런데 영끌하여 신용으로 빌린 돈으로 자산을 운용하려는 자는 베팅하면 안 된다. 하이 리스크 정도가 아니라 속된 말로 패가망신으로 이어질 뿐이다. 그럼 뭐~ 어떻게 하란 말인가 하는 의문이 든다. 내 수준이 딱 그렇다. 주린이...돌파구가 필요하다. 실제 투자는 나중에 할지라도 이론과 실행 원리는 알고 있어야 한다. 이때 필요한 게 적절한 멘토일 것이다. 마땅한 멘토를 만나기 어려운 이들을 위해 이 책이 나온 것 같다. 여기 멘토를 넘어 구루로 칭송받는 10명의 대가가 있다. 이 책은 그들의 전략과 투자 원칙을 정리한 것이다.

 

주식투자를 말할 때 '오마하의 현인' 워런 버핏을 빼고는 논의를 이어가기 어렵다. 장기 투자와 가치 투자를 원칙으로 저평가된 성장주에 투자하는 그의 전략은 장기간에 걸쳐 유용성을 검증받은 투자기법이다. 워런 버핏 외에도 극단적 저 PBR 전략을 구사한 가치투자의 원조 벤저민 그레이엄, GARP 전략으로 성장 기업을 합리적 가격에 사고자 했던 피터 린치, 자본수익률과 이익수익률 두 가지 지표를 활용했던 조엘 그린블라트, 역발상 투자의 대가 데이비드 드레민, 배당수익률에 주목했던 켈리 라이트, 듀얼 모멘텀과 절대 모멘텀 전략을 제시했던 게리 안토나치와 제시 리버모어, 기금 운용계의 일인자 데이비드 수웬슨 및 캔 슬림 전략의 윌리엄 오닐 등 10명의 구루가 등장한다. 이들의 전략과 투자원칙을 알아보고 그 원리를 한국 증시에 적용했을 때 예상되는 투자수익을 추정한 다음 미국 증시에 접목하여 적합한 투자종목을 특정하는 방식으로 논의가 전개된다.

 

주린이들도 이들 거인의 어깨에 올라타면 좀더 먼 곳을 바라볼 수 있을 것이고 잘하면 이런 레퍼런스를 토대로 자신만의 기준을 수립할 수도 있을 것이다.

 

가장 관심 있게 살펴본 구루는 역시 워런 버핏이었다. 버핏은 오래 보유해서 복리효과를 노리는 장기투자 전략과 아는 사업에 투자하여 자신의 능력으로 적정한 판단이 가능하도록 만든다는 원칙을 세워 실천하였다. 그 해에 인기가 많은 종목을 따라가기보다 주목받는 종목, 가치주에 투자하고자 하는 전략이다. 구체적인 지표로는 260일 주가 변동성 하위 50%, PBR(주가 순자산 비율) 하위 50%, ROE(자기자본 이익률) 상위 50% 세 가지를 충족하는 종목에 투자하는 원칙을 지켜왔다.

 

이런 원칙을 한국 증시에 적용해본 데이터도 제시된다. 버핏의 전략에 따른 종목을 선정하여 실적을 파악해본 결과 코스피 200 지수 상승률보다 높게 나왔다. 한국 증시에도 유효한 투자 전략이란 판단이 선다. 미국 증시에도 물론 통하였다. 주가지수를 상회하는 실적을 늘 거둬왔던 것이다.

 

이런 분석 와중에 버핏 원칙을 적용했을 때 편입할 수 있는 종목을 특정하고 있어 눈길을 끈다. 34쪽엔 워런 기법 우량종목 리스트가 나온다. 구체적이고 실제적이며 과학적인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의미 있는 자료라 하겠다. 물론 미국 증시 종목도 특정하고 있다.

 

이러니 주린이들이 탐독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 하겠다. 찬찬히 연구해볼 참이다.

5명이 이 리뷰를 추천합니다. 접어보기
  •  종이책 상품상세 페이지에서 더 많은 리뷰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바로가기

eBook 회원 리뷰 (1건)

구매 구루들의 투자전략
내용 평점4점   편집/디자인 평점4점 | YES마니아 : 골드 스타블로거 : 수퍼스타 U************e | 2021.05.13

2년전부터 주식투자를 공부하면서 이 책을 구입해서 읽게 되었다.

 

이 책은 세계적으로 유명한 구루들의 투자 철학과 전략을 정리한 책이다.

주식 투자에 관심있는 분이라면 읽어볼것을 강추한다

 

이 책의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다,

1장 오마하의 현인, 워런 버핏
떡잎부터 달랐던 투자 구루 017
오래 보유해 복리효과를 누려라 018
아는 사업에 투자해야 적정 가격을 판단할 수 있다 021
버핏 전략, 한국 증시에서도 통할까? 023
2020년 버핏 종목: 금융지주·자동차·식품 033
미국 시장에서의 모의투자 결과 035
버핏 전략으로 선정한 미국 기업들 038
미국 시장의 대표적인 버핏 종목 041
강세장보다 횡보장에 적합한 버핏 전략 044
홍춘욱의 인사이트: 왜 워런 버핏에 주목하는가 047

2장 가치투자의 아버지, 벤저민 그레이엄
절대 잃지 않는 투자를 목표로 하다 051
사업하듯 투자하라 054
그레이엄 전략, 코스피200 상승률을 웃돌다 056
2020년 그레이엄 종목: 소재 및 산업재 058
S&P500에는 약간 뒤지는 성과 061
미국 주식으로는 레나, 타이슨 푸드 등이 유망 064
미국 시장의 대표적인 그레이엄 종목 066
흔들리지 않는 장기투자 전략 068
홍춘욱의 인사이트: 벤저민 그레이엄의 투자 철학이 다시 주목받는 이유 070

3장 역사상 최고의 펀드매니저, 피터 린치
성장성 있는 저평가 종목을 찾아라 075
바보도 경영할 수 있는 기업에 투자하라 077
코스피200 상승률을 2배 앞선 린치의 전략 078
2020년 린치 종목: 패션주·지주사 081
미국 시장에서도 높은 성과 기록 082
미국 시장에선 IT·건강관리 업종 주목 085
미국 시장의 대표적인 린치 종목 088
개인 투자자들에게 적합한 전략 090
홍춘욱의 인사이트: 피터 린치 투자 철학의 세 가지 특징 091

4장 마법 공식의 창시자, 조엘 그린블라트
우량한 기업의 주식을 싸게 사는 마법 공식 095
코스피 적용 시 18년간 626% 수익률 098
2020년 그린블라트 종목: 건설·정유화학·IT부품 100
S&P500을 넘어서는 수익률 102
그린블라트 전략으로 선정한 미국 기업들 104
미국 시장의 대표적인 그린블라트 종목 108
마법 공식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려면 110
홍춘욱의 인사이트: 그린블라트의 마법 공식, 퀀트 붐을 일으키다 112

5장 역발상 투자를 창안한 데이비드 드레먼
투자자는 언제나 과잉반응한다 117
인기 없는 소외주에 투자하라 118
한국 시장에서도 통하는 드레먼의 전략 120
2020년 드레먼 종목: 경기 관련 소비재 및 산업재 124
S&P500에는 소폭 뒤처져 125
버크셔 해서웨어, 뉴몬트 등에 주목 128
미국 시장의 대표적인 드레먼 종목 131
떨어지는 칼날을 잡아라 134
홍춘욱의 인사이트: 데이비드 드레먼, 고집스러운 가치투자자 135

6장 배당주투자 전략을 집대성한 켈리 라이트
배당은 거짓말하지 않는다 139
코스피200 상승률을 뛰어넘는 라이트의 전략 142
2020년 라이트 종목: 금융·반도체·식품 145
미국 시장에서도 성과 낸 라이트 전략 147
미국 시장에선 화이자, 서던 컴퍼니 등 선정 149
미국 시장의 대표적인 라이트 종목 153
배당주에 분산투자 하라 155
홍춘욱의 인사이트: 켈리 라이트의 배당주 전략, 왜 지금 주목받는가 157

7장 기금 운용의 일인자, 데이비드 스웬슨
분산투자는 ‘공짜 점심’이다 161
코스피에서도 입증된 분산투자 성과 163
미국 시장에 적용한 스웬슨의 전략 166
전통적 자산배분 vs 스웬슨의 자산배분 vs 달리오의 자산배분 168
포트폴리오를 꾸준히 리밸런싱하라 176
홍춘욱의 인사이트: 데이비드 스웬슨, 자산배분 전략의 새로운 지평을 열다 177

8장 듀얼 모멘텀 전략을 개발한 게리 안토나치
아웃사이더였던 투자 전문가 181
주식시장도 물리학의 법칙을 따른다 182
코스피200 적용 시 18년간 637% 수익률 183
2020년 안토나치 종목: 반도체·내수·바이오 186
미국 시장에선 부진한 듀얼 모멘텀 전략 187
미국 시장에선 테슬라, 덱스콤 등 선정 190
미국 시장의 대표적인 안토나치 종목 194
듀얼 모멘텀 전략이 개인 투자자에게 도움이 되길 197
홍춘욱의 인사이트: 듀얼 모멘텀 전략, 금융시장에 새로운 바람을 일으키다 199

9장 월스트리트의 큰 곰, 제시 리버모어
꼬마 투기꾼에서 전설의 트레이더로 203
물 대신 불을 타라 204
코스피200 상승률을 3배 넘어선 리버모어의 전략 206
2020년 리버모어 종목: 제약·바이오·인터넷 209
미국 시장에선 부진한 성과 보여 210
ETF 투자 등에 적용할 만한 전략 210
홍춘욱의 인사이트: 모멘텀 전략의 시조, 제시 리버모어 212

10장 캔슬림 전략의 창시자, 윌리엄 오닐
성공한 사람들의 발자취를 따라가다 217
오닐의 전략, 코스피에선 어떨까? 219
2020년 오닐 종목: IT·건강관리·바이오 222
금융시장이 발전한 미국에선 부진한 성과 223
미국 시장의 캔슬림 업종: IT·건강관리 등 성장주 226
미국 시장의 대표적인 오닐 종목 230
무릎에서 사서 어깨에서 팔아라 235
홍춘욱의 인사이트: 윌리엄 오닐, 성장주 투자의 신시대를 열다 236
 

이 리뷰가 도움이 되었나요? 접어보기
  •  eBook 상품상세 페이지에서 더 많은 리뷰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바로가기

한줄평 (7건)

0/50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