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분야 전체
크레마클럽 허브

우리는 어떻게 지금의 인간이 되었나

불, 요리, 폭력, 패션 그리고 섹스를 통해 본 인류 진화에 대한 색다른 탐험

애덤 러더퍼드 저/김성훈 | 반니 | 2020년 11월 30일 한줄평 총점 10.0 (1건)정보 더 보기/감추기
  •  종이책 리뷰 (0건)
  •  eBook 리뷰 (0건)
  •  한줄평 (1건)
분야
자연과학 > 생명과학
파일정보
EPUB(DRM) 14.92MB
지원기기
크레마 PC(윈도우 - 4K 모니터 미지원) 아이폰 아이패드 안드로이드폰 안드로이드패드 전자책단말기(일부 기기 사용 불가) PC(Mac)

우리는 어떻게 지금의 인간이 되었나

책 소개

‘우리는 누구인가’라는 뿌리 깊은 의문에 대한 답을 구하다

우리는 특별하지만 또한 한낱 물질에 불과하다. 우리는 동물이면서 마치 모든 동물의 우위에 서 있는 신처럼 행동한다. 인간은 특별한 동물이라는 이 개념이 우리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의 뿌리에 자리잡고 있다. 우리를 우리의 진화적 사촌들 위로 우뚝 솟은 반열 위에 올려놓는 능력과 행동은 무엇일까?

모든 생명체는 필연적으로 독특할 수밖에 없다. 그래야 자기만의 독특한 환경 속에 존재하면서 그 환경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분명 스스로를 꽤나 예외적인 존재라 생각하지만 우리가 정말 다른 동물보다 더 특별한가에 대한 의문은 오랜 시간 품어온 의문이기도 하다.

지구 위의 모든 생명체는 공통의 선조로 엮여 있으며, 우리도 예외가 아니다. 지구 생명체는 느리게 진화했고, 지구는 존재해 온 기간 대부분에서 그 안에 생명을 품고 있었다. 우리는 과학에서 시간의 척도에 대해 무심히 얘기하지만 사실 이것은 우리가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수준의 척도들이다.
  •  책의 일부 내용을 미리 읽어보실 수 있습니다. 미리보기

목차

서문 7

1부 우리는 정말 다른 동물과 다른가
도구
도구 제작자가 되는 데 필요한 것
도구를 사용하는 1퍼센트의 동물들
해면을 이용하는 똑똑한 돌고래
사람의 얼굴을 인지하는 영리한 새 까마귀
하늘에서 불붙은 나뭇가지가 떨어지다
행성을 차지하기 위한 유인원의 전쟁
같은 듯 다른 인류의 능력치, 농업과 패션
섹스
황홀할 정도로 다양한 유성생식 행위
모든 섹스가 자손 번식을 위한 것은 아니다
섹스의 즐거움은 인간만의 것이다
사랑의 종류는 참 많기도 하지
동성애의 사례는 자연에서도 넘쳐난다
죽음도 우리의 사랑을 막지 못할지니
성적 접촉에서 자주 발생하는 물리적 충돌

2부 우리는 특별하지 않지만 동시에 특별하다
모두가 특별하다
우리를 새롭게 이해할 수 있게 해준 유전학
인류로 가는 길, 24-2=23
인간만의 고유한 형태로 바뀐 손과 발
할 말 많은 유전자의 진화
생물학적으로 프로그램된 말하기
단어에 담긴 상징이 뜻하는 의미
단어 너머의 상징
당신이 준 눈으로 내가 뭘 봤는지 알아?
너 자신을 알라
난 아무것도 후회하지 않아
마을에 고기 잡는 법을 가르치면…
우리는 동물의 귀감이다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 소개 (2명)

저 : 애덤 러더퍼드 (Adam Rutherford)
영국의 과학자, 과학 작가, 방송인이다. 런던대학교 유니버시티 칼리지(University College London)에서 유전학을 전공했으며, 동 대학에서 유전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는 박사 과정에서 ‘태아의 시력발달과 유년기 실명 형태의 첫 번째 유전적 원인’을 밝힌 연구팀의 일원이었다. 학위를 받은 후 〈네이처〉에서 10년 동안 뉴스와 팟캐스트 및 비디오 등 시청각 콘텐츠의 발행과 편집을 담당하는 에디터로 활동했다. 현재는 유니버시티 칼리지 생명과학부 명예 선임연구원으로서 유전학과 과학 커뮤니케이션 강좌를 진행하고 있으며, 〈가디언〉에 과학 칼럼을 꾸준히 게재하고 있다... 영국의 과학자, 과학 작가, 방송인이다. 런던대학교 유니버시티 칼리지(University College London)에서 유전학을 전공했으며, 동 대학에서 유전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는 박사 과정에서 ‘태아의 시력발달과 유년기 실명 형태의 첫 번째 유전적 원인’을 밝힌 연구팀의 일원이었다. 학위를 받은 후 〈네이처〉에서 10년 동안 뉴스와 팟캐스트 및 비디오 등 시청각 콘텐츠의 발행과 편집을 담당하는 에디터로 활동했다. 현재는 유니버시티 칼리지 생명과학부 명예 선임연구원으로서 유전학과 과학 커뮤니케이션 강좌를 진행하고 있으며, 〈가디언〉에 과학 칼럼을 꾸준히 게재하고 있다. 라디오 프로그램 『인사이드 사이언스(Inside Science)』, BBC 다큐멘터리 『셀(The Cell)』과 『(호라이즌: 신의 유희Horizon: Playing God)』 등 다양한 과학 프로그램에 출연했으며, 『엑스 마키나(Ex Machina)』, 『서던 리치: 소멸의 땅(Annihilation)』, 『데브스(Devs)』 등 여러 SF 영화에서 과학 컨설턴트로 활동했다. 프라이와 함께 인기 과학 팟캐스트 『러더퍼드와 프라이의 궁금한 이야기』에서 대중에게 과학을 알리는 일에 앞장서고 있다. 러더퍼드의 끊임없는 연구와 뛰어난 업적에 대해 진화생물학자 리처드 도킨스가 ‘놀라운 성과’라며 극찬한 바 있다.
주요 저서로 《크리에이션》, 《사피엔스 DNA 역사》, 《우리는 어떻게 지금의 인간이 되었나》가 있다.
역 : 김성훈
치과 의사에서 별안간 삶의 방향을 튼 ‘엉뚱한’ 번역가. 소속은 바른번역이다. 중학생 때부터 과학에 대한 궁금증을 적은 노트가 그의 보물 1호다. 그 노트 때문인지 번역 일을 택했고, 더 많은 사람에게 과학의 매력을 선사하는 중이다. 옮긴 책으로는 『정리하는 뇌』, 『나를 나답게 만드는 것들』, 『운명의 과학』, 『날마다 구름 한 점』, 『구름관찰자를 위한 가이드』, 『그레인 브레인』, 『어떻게 물리학을 사랑하지 않을 수 있을까?』, 『이상한 수학책』, 『아인슈타인의 주사위와 슈뢰딩거의 고양이』 등이 있으며, 『늙어감의 기술』로 36회 한국과학기술도서상 번역상을 받았다. 치과 의사에서 별안간 삶의 방향을 튼 ‘엉뚱한’ 번역가. 소속은 바른번역이다. 중학생 때부터 과학에 대한 궁금증을 적은 노트가 그의 보물 1호다. 그 노트 때문인지 번역 일을 택했고, 더 많은 사람에게 과학의 매력을 선사하는 중이다. 옮긴 책으로는 『정리하는 뇌』, 『나를 나답게 만드는 것들』, 『운명의 과학』, 『날마다 구름 한 점』, 『구름관찰자를 위한 가이드』, 『그레인 브레인』, 『어떻게 물리학을 사랑하지 않을 수 있을까?』, 『이상한 수학책』, 『아인슈타인의 주사위와 슈뢰딩거의 고양이』 등이 있으며, 『늙어감의 기술』로 36회 한국과학기술도서상 번역상을 받았다.

출판사 리뷰

살아남은 우리는 특별한 존재인가?
인간의 변화를 갑작스러운 변화였다고 생각하는 과학자가 많다. 하지만 진화 용어에서 갑작스럽다고 하면 정말로 눈 깜짝할 시간이 아니라 수백 세대, 혹은 수십 세기 정도의 시간을 의미한다. 물론 지구 위에 생명이 존재해온 장대한 세월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이런 전환이 눈 깜짝할 순간에 일어났다고 할 수는 있다.

우리는 다른 모든 생명체와 다를 것 없는 생물학, 다를 것 없는 메커니즘을 통해 진화했다. 하지만 진화는 우리에게 인지능력을 장착시켜 주었고, 역설적이게도 이 인지능력은 우리로 하여금 우리가 자연과는 별개의 존재라는 인식을 갖게 만들었다. 그로 인해 우리는 우리가 특별하며, 특별하게 창조된 존재라는 인식을 분명히 갖게 됐다.

인간은 자신이 습득한 지식을 전해줄 수 있는 특별한 능력을 지녔다
『우리는 어떻게 지금의 인간이 되었나』는 우리가 지금의 우리가 되기까지의 역설에 관한 책이다. 또한 평범하기만 한 유인원에게 도구, 미술, 음악, 과학, 공학을 창조할 수 있는 막강한 지적 능력을 부여해준 진화에 대한 탐험을 적었다. 생물학자들은 때로는 우리 자신을 위해서, 때로는 지구 위 생명의 웅장한 그림을 이해하기 위해 진화의 경이로움을 살펴본다. 모든 생명체가 정처 없이 걸어온 장대한 여정을 살짝 엿보는 이 책은, 그것을 이해할 수 있는 존재 역시 우리밖에 없음을 알려주고 있다.

시대를 거치는 동안 우리는 딱히 특별할 것이 없는 동물이었다가 점차 유일무이하게 창조된, 나머지 생명체와는 차별화된 존재라 생각하게 됐다. 『우리는 어떻게 지금의 인간이 되었나』는 우리를 명백하게 동물로 못박으면서 동시에 우리가 얼마나 비상한 존재인지를 드러내주고 있다.

한줄평 (1건)

0/50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