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초엽 저
천선란 저
델리아 오언스 저/김선형 역
캐럴라인 크리아도 페레스 저/황가한 역
김혼비 저
제작진으로부터 '그냥 밤에 산책하면 된다'는 간단명료한 설득에 넘어가 4개월간 서울의 동네 구석구석을 걸으며 촬영했던 내용이라 했다. 카카오 TV?! 생소했지만,
우선 그 프로를 보고 이 책을 산 건 아니었다. 유희열씨가 책을 냈네! 하면서 구입하게 되었다.
책안에는 정말 유희열씨를 똑 닮은 캐릭터가 예쁜 만화로 그려져 있었고, 너무 아기자기 예쁜 서울에 동네들이 그림지도로 표현되어 있으면서 밤거리를 돌아다닌 유희열에 글이 실렸다.
서울은 변화가 무쌍한 곳인데! 이런 책이 나와 참 반갑다. 두고 두고 읽어도 딱 추억돋을 만한 소장각 책이다! 유희열씨 노래도 잘 만드시던데~ 책도 역시 멋지네요! ㅎㅎ
내가 좋아하는 뮤지션 ‘유희열’이 직접 그림을 그리고 글을 쓴 삽화집 『익숙한 그 집 앞』을 내가 고3 때인 1999년에 만났으니, 그 이후로 무려 22년 만에 그의 글과 재회한 셈이다. (2019년에 『딸에게 보내는 노래』라는 책도 있지만 성격이 좀 다르다.) 그의 음악에 깃든 감수성과 가사에 담긴 서정성을 잘 알고 있는 팬이라면 강산이 두 번 변하는 세월 동안 활자로 인쇄된 그의 글을 간절히 기다렸을 텐데, 본업인 음악보다 방송 활동 때문에 더 바쁜 이 ‘게으른 천재’를 팬심으로 너그러이 이해하기로 한다. (‘윤종신’처럼 ‘부지런한 천재’의 모습을 기대하는 건 지나친 욕심인 걸까?) 기다림의 시간이 길었던 만큼 이 책이 정말 반가웠다. 아이러니하게도 그가 출연한 방송 덕분에 그의 글을 만날 수 있었다. 바쁜 직장인이라 이 책과 동명의 예능 프로그램을 챙겨 보진 못했지만 - 사실 이 책을 사기 전까지는 그런 방송이 있는 줄도 몰랐다. - 정제된 형태의 글이라면 기꺼이 시간을 들여 정독하는 것이 팬으로서의 예의다.
일상에 찌든 평범한 직장인에게 ‘산책’만큼 무난한 취미가 없다. 복잡한 생각을 정리하기에도 좋고 약간의 운동도 된다. 심지어 돈도 안 든다. 유명인이라 제약이 많았을 텐데 유희열도 밤에 걷는 걸 좋아한다니 더 동질감이 생긴다. 그런데 장소가 서울로 한정된다. 서울에 아무런 연고도 없는 만년 지방인인 나로서는 이러면 곤란하다. 나에게 서울이란 1년에 두세 번 좋아하는 가수의 콘서트 보러 간 김에 근처 유명 관광지 몇 군데 둘러보는 곳이다. 갈 때마다 지하철에서 쏟아지는 사람들에게 이리저리 치이고, 지하철 노선도처럼 복잡하고 자동차 소음으로 시끄러운 데다가 넘사벽 집값 때문에 서울에 대한 로망은 전혀 없는 편이다. 제주도 올레길 트레킹 코스가 아닌 서울 한복판에서의 산책이 과연 힐링이 될까? 평생을 서울에서 벗어나 본 적 없을 서울 토박이 유희열이라도 어려울 거라며 별 기대 없이 책장을 넘겼다.
독서하는 과정에서 여행 위시 리스트에 유희열에 산책 코스를 지리적으로 구분하여 상세히 기록하는 내 모습을 발견하면서 동시에 내가 몰랐던 서울의 아름다움을 조금씩 알아갔다. 또한 잘 알지도 못하면서, 구석구석 가본 적도 없으면서 표면적인 이미지만으로 섣부르게 서울을 평가했던 나의 어리석음을 부끄럽게 여겼다. 이 책의 주인공은 저자인 유희열 자신이 아니라 공간임을 프롤로그에서 밝혔지만, 유희열과 이 책이 아니었다면 주인공인 서울의 풍경들을 전혀 알지 못했으리라. 공간 그 자체로도 멋지고 그립지만 그 공간들을 묘사한 유희열의 섬세한 표현이 더해지니, 나도 그의 발자취를 따르고 싶은 욕구가 넘쳐난다. 학창시절에는 음악으로 위로와 즐거움을 주더니 장년이 되어서는 글로써 격려해주는 유희열 씨에게 감사하고 또 감사하다.
그가 계절을 통과하며 걸었던 서울 곳곳의 16개 산책길 중 우연이라도 가본 곳이 단 한 군데도 없다. 내가 조바심 갖고 긴장하며 방문했던 핫 플레이스들과는 가깝건 멀건 빗겨져 있다. 그만큼 낯설지만 내 휴대폰에 저장된 토이의 노래들을 배경음악 삼아 이 책에 담긴 길을 밟으련다. 그럴 수 있다면 그의 감성을 조금이라도 닮을 수 있지 않을까? 언제가 될지는 모른다. 하지만 그리 머지않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