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세를 바라보는 오지탐험가이자 심리치료사 그리고 칼럼니스트로 활동하며 홍천 내린천의 캠프나비 주말레저농원에서 열린 인성 캠프를 운영하는 박상설 선생의 특이한 삶 자체가 우리의 호기심을 자극한다. ‘마지막 스승은 자신을 산에 버리는 것’이라고 말하는 그의 체험과 사색이 녹아든 이 책에서 인생의 도전과 지혜와 기쁨이 무엇인지를 독자들이 깨닫게 되기를 바란다.
- 이장무 (전 기후변화센터 이사장, 전 서울대학교 총장)
박상설 선생을 보면 19세기 미국 시인 에머슨과 그의 시가 떠오른다. 에머슨이 내 옆에 슬며시 다가와 속삭인다. “박상설 선생을 본받으시오. 그가 하자면 하고, 그가 가자면 가시오. 그는 자연주의자가 아니오. 자연 그 자체라오. 내가 150년 전 쓴 시의 주인공을 이제야 한국 땅에서 만났구려. 당신은 참 행복하군요. 한 가지 약속해주오. 당신도 내 시구처럼, 그리고 박 선생처럼 그런 세상 만들어주시구려!”
- 이상기 (<아시아엔(THEAsiaN)> 대표이사, 아시아기자협회 창립회장)
글과 한 점의 어긋남이 없는 선생의 삶은 시 같다. 또한 장중하고도 상쾌한 도전의 삶을 보여준다. 눈부신 감성의 승리이며 손대는 것마다 첨단을 헤쳐나가는 진취적 생이다. 사유와 행동을 묶어 벤처 인생을 경영하며 ‘행복’, ‘잘 산다는 것’의 의미를 엿보게 한다. 박상설의 신명나는 국민 행복 프로젝트의 캐치프레이즈는 ‘맑고 자유롭게 자연으로!’ 그 자체다.
- 정현홍 (전 국립공원관리공단 탐방관리이사)
뇌졸중으로 죽음의 문턱에 서게 되었다. 산업화 시대에 앞만 보고 달려온 삶의 대가였다. 의학의 힘으로 생명은 잠시 연장했지만, 남은 삶은 미래가 없음을 직감했다. 지금까지와는 다른 ‘가지 않은 길’을 가야겠다는 결심이 서는 순간, 재활을 마다하고 병원 문을 나섰다. 동행은 배낭 하나뿐이었다. 그의 ‘자연으로의 여정’은 그렇게 시작되었다. 레저 문화 칼럼니스트이자 자연치유사, 캠핑애호가 ‘90세 청년’ 박상설이다.
- 나공주 (전 국립공원관리공단 탐방지원처장, 전 지리산국립공원본부장)
깐돌 선생님이 떠나가고 없는 이 지구상에서 선생님과 단 한 번이라도 만나 이야기를 나눠본 사람이라면 선생님이 설파하셨던 무위자연(無爲自然)이야말로 우리 시대가 직면한 모든 문제에 대한 해결의 실마리임을 공감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아울러 선생님께서 보여주신, 세대를 초월한 깊은 사고와 특별했던 삶의 방식은 이 시대의 진정한 어른 상에 대한 존경심의 발로이자 사무치는 그리움이 되고도 남는다.
- 엘크 (온라인 커뮤니티 ‘캠프나비 행동하는 레저인문학’ 운영자)
캠핑 속에서 끊임없이 답을 찾고 우주를 품는 마음으로 평생을 살아온 진정한 캠핑 선구자.
- 이투데이
삶의 여분이 아닌 알짜배기를 살았던 오지 탐험가. 30년 전 가족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하고 왕성한 현역으로 활동하는 아흔 살 청년의 인생 3막.
- KBS 1TV 《사람과 사람들》
또랑또랑한 목소리에 거침없는 말투까지 빈틈없고 야무지다. 그가 가지고 다니는 모자에는 ‘깐돌이’라는 별명이 붙어 있다. 오랜 생활 자연에서 터득한 신념이 그를 대변해준다.
- 뉴스인
그가 고집스럽게 지키는 몇 가지 원칙이 있다. 매주 등산 · 캠핑 · 여행을 하고 남의 도움 받지 않고 직접 살림을 한다. 전철 · 버스를 타면 앉지 않는다. 지하철에서 젊은이가 자리를 양보하면 ‘왜 내가 늙었다는 것을 깨닫게 하느냐’며 사양한다. 책을 손에서 놓지 않는다. 생활용품은 중고품을 구입한다. 쉬지 않고 글을 쓴다.
- 조선일보
그에게 인문학은 사람을 잘 놀 줄 알게 만드는 ‘문화’의 근간이자 자연과 사람, 문화를 잇는 중요한 가교다. 대한민국을 통틀어 그만큼 신나게 잘 노는 사람도 드물다.
- 신동아
‘마지막 스승은 나를 산에 버리는 것’이라고 말하던 박상설, 구순을 훌쩍 뛰어넘은 노인이지만 마음만은 여전히 청년의 일상을 살았다. 매일 2시간씩 걷고 기회 있을 때마다 등산하고 캠핑하면서 인간 DNA 안에 각인된 자연 회귀 본능을 따를 때 우리네 인간은 궁극적으로 행복해질 수 있다고 역설한다.
- 쿨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