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단편의 대가이자 최고의 극작가인 체호프는 푸시킨, 투르게네프, 톨스토이 등과 같은 귀족 가문 출신의 작가들에 비해 매우 가난한 가문에서 태어났다. 그의 할아버지는 농노였는데 돈을 벌어 해방되어 자유인이 된 사람이었다.
체호프는 보수적인 아버지로부터 강압적인 가정교육을 받았고, 아버지의 강요로 성가대 활동을 하기도 했고, 식료 잡화점에서 아버지를 돕기도 했다. 그가 타간로크고전중학교(8년제)를 다니던 1876년에 아버지가 파산했다. 그래서 그는 이 시기에 자립심과 자제력을 기르게 되었고, 가족을 부양하려는 강한 책임감도 지니게 되었다.
체호프는 1879년에 고전중학교를 졸업한 후, 8월에 모스크바대학교 의학부에 입학했다. 그는 재학 중(1879∼1884) 자연과학과 철학에 관심이 많았고, 의학 분야 외에 작품 활동에 열정을 쏟았다. 또한 그는 아버지가 경제력이 없었기에 글을 써서 가족을 부양해야 했다.
1884년 모스크바대를 졸업하던 시기에 체호프는 벌써 유명한 단편 작가가 되었다. 그는 작품 활동을 하면서 개업의로서 의료 활동도 병행했다. 그는 무리한 활동으로 인해 건강이 크게 악화되어, 결국 1884년 11월에 폐결핵 증상인 각혈을 했다. 곧 병세가 다소 호전되자 다시 일에 몰두한다.
1886년, 작가 드미트리 바실리예비치 그리고로비치가 체호프에게 ‘저급하고 급히 서둘러 쓰는 창작을 버리고, 사색하면서 뜻있는 중요한 저술에 몰두하라’는 내용의 편지를 보냈다. 진심 어린 충고를 받은 체호프는 1887년부터 이전에 비해 훨씬 더 객관적인 문학적 사상과 도덕성을 지닌 작가의 모습을 갖추기 시작한다. 그리고 의사의 길을 그만두고, 전업 작가로서의 길을 걷게 된다.
1890년에 체호프는 제정 러시아의 유형지인 사할린으로 여행을 떠난다. 그는 마차와 배를 이용해 시베리아를 거쳐 3개월간의 힘든 여정 끝에 사할린 섬에 도착한다. 여기서 그는 사할린 섬의 역사, 지리, 죄수들의 생활 모습을 자세히 조사하고 기록한다. 그해 10월에 인도, 싱가포르, 스리랑카, 콘스탄티노플, 오데사를 거쳐 12월에 모스크바에 도착한다. 체호프는 이 여행에 관한 인상을 바탕으로 <사할린>을 쓴다. 한편 그는 이 사할린 여행 이후 한때 자신이 신봉했던 톨스토이의 무저항주의와 금욕주의적 세계관에서 탈피하게 된다.
1891년 대흉작으로 극심한 기아가 발생했을 때, 체호프는 대규모 기아 구제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사회봉사 활동을 펼친다. 1892년에 그는 모스크바 근교의 멜리호보 근처에 작은 영지를 구입한다. 그해 6월에 콜레라가 창궐하자 톨스토이, 코롤렌코와 함께 무료 진료, 학교와 병원 건립 등 사회봉사 활동을 활발히 한다.
1898년에 결핵이 악화되자, 크림반도의 얄타로 옮겨 요양한다. 1900년 봄에 자신을 방문한 모스크바 예술극장 단원인 올가 크니페르와 결혼을 결심해 이듬해 5월에 결혼한다.
체호프는 1904년 6월 8일부터 독일의 작은 요양 도시 바덴바덴에서 폐결핵 요양을 하다가 그해 7월 2일에 사망한다. 체호프의 시신은 모스크바로 운반되어, 노보데비치 수도원 묘지에 묻힌다.
이영범은 한국외국어대학교 러시아어과에서 학사 및 석사 과정을 수료하고, 모스크바대학교에서 <푸슈킨의 ‘대위의 딸’의 시학>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미국 인디애나대학교 교환교수를 지냈다(2005). 현재 청주대학교 어문학부 러시아어문학 전공 교수로 재직하며, 러시아어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비디오 러시아 문학 감상과 이해 1, 2≫, ≪테마 러시아 역사≫(편저), ≪러시아어 말하기와 듣기≫(공저), ≪쉽게 익히는 러시아어≫(공저), ≪한?러 전환기 소설의 근대적 초상≫(공저), ≪러시아 문화와 예술≫(공저), ≪표로 보는 러시아어 문법≫ 등이 있다. 주요 번역서로는 ≪러시아 제국의 한인들≫(공역), 푸시킨의 ≪대위의 딸≫, 톨스토이의 ≪참회록≫과 ≪인생론≫ 등이 있다. 그리고 주요 논문으로는 <뿌쉬낀의 ‘대위의 딸’의 시공간 구조와 슈제트의 연구>, <고골의 중편 ‘따라스 불리바’에 나타난 작가의 관점 연구>, <푸슈킨의 ‘보리스 고두노프’에 나타난 행위의 통일성>, <뿌쉬낀의 ‘스페이드 여왕’의 제사(題詞) 연구>, <뿌쉬낀의 ‘벨낀 이야기’의 삽입 텍스트 연구(1) ?에피그라프(Epigraph)를 중심으로>, <‘보리스 고두노프’에 나타난 뿌쉬킨의 역사관>, <뿌쉬낀의 ‘벨낀 이야기’의 삽입 텍스트 연구(2) ?서술 속에 삽입된 이야기, 편지, 시 텍스트를 중심으로>, <뿌쉬낀의 ‘보리스 고두노프’의 구조와 슈제트>, <A. 즈뱌긴쩨프의 영화 ‘귀향’에 나타난 아버지의 정체성과 이미지 연구>, <‘예브게니 오네긴’과 ‘안나 카레니나’에 나타난 타치야나와 안나의 운명, 사랑, 형상>, <고골의 ‘이반 꾸빨라 전야’에 나타난 민속적 요소와 기독교적 모티프> 외 다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