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울신경세포는 이성적으로 사고하기 전에 인간과 인간을 서로 비추며 이를 통해 타인의 몸짓을 인식하고, 행동과 의도를 해석하고, 이해하고 모방한다.
--- p.18, 「서론, 인간의 뇌는 하나일까?」 중에서
두 사람이 만났다. 그중 한 사람이 손을 내민다. 그러면 다른 사람이 그 사람을 모방해 손을 내민다. 긍정적 모방, 좋은 상호성으로 두 사람은 친구가 된다. 하지만 후자가 손 내밀기를 거부하면 전자는 화를 내고 소리를 지를 것이다.
--- p.21, 「서론, 인간의 뇌는 하나일까?」 중에서
욕망은 타인의 욕망을 흉내 내고, 타인의 욕망으로부터 영감을 받고, 타인의 욕망을 통해 생성되고 암시되고 생산된다. 욕망의 대상을 가리키는 타인은 가까이 있는 사람일 수도 있고, 역사적 인물이나 멀리 있는 사람, 나아가 문화나 전통일 수도 있다.
--- p.42, 「1장 모방하는 뇌, 2. 같아지고 싶은 욕망」 중에서
우리가 사는 세계는 경쟁자인 모델로, 모델인 경쟁자로 가득 차 있다. 여기서 폭력과 불안정이 시작된다.
--- p.50, 「1장 모방하는 뇌, 2. 같아지고 싶은 욕망」 중에서
금지는 욕망을 강화한다.
--- p.51, 「1장 모방하는 뇌, 2. 같아지고 싶은 욕망」 중에서
욕망은 언제나 친밀감, 끌림, 애정, 사랑과 경쟁, 반감, 공격성이 섞인 칵테일이다.
--- p.52, 「1장 모방하는 뇌, 2. 같아지고 싶은 욕망」 중에서
환자들은 제 것이라 생각한 욕망이 실은 다른 사람의 욕망을 모방한 것이라는 사실을 알지 못하고 자신과 같은 목표, 같은 야심, 같은 욕망, 같은 소망을 갖고 있는 사람을 경쟁자로 여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p.60, 「1장 모방하는 뇌, 2. 같아지고 싶은 욕망」 중에서
둘 이상의 여러 사람을 가깝게 연결시킨 자아 간 관계는 ‘자아’라고 지칭될 만한 것을 각자에게 심어준다. 이렇게 새로 등장한 ‘자아’는 평소의 ‘자아’가 상상할 수 없었던 새로운 창의력과 새로운 지능을 가진다. 그리고 하나의 목적을 위해 통합된 욕망으로 만들어진 새로운 ‘자아들’은 ‘기적처럼’ 집단 지성을 탄생시킨다.
--- p.92, 「1장 모방하는 뇌, 5. 자아 간 관계의 세 가지 형태」 중에서
새로운 정신의학은 이 관계에 관심을 집중해야 한다. 그리하여 세 개의 뇌 중 어느 뇌에 문제가 생겨 정신장애가 생겼는지 판단하고, 인지, 감정, 모방 중에서 목표를 정해 가장 적합한 치료법과 치료약을 정할 필요가 있다.
--- p.107, 「2장 모방은 정신에 어떻게 작용할까, 2. 정상 상태에서의 타인」 중에서
타인을 모방할 능력이 없음에도 모방 그물망, 즉 사회 그물망에 걸려 있는 조현병 환자는 타인이 자신을 모방한다고 느낀다. 이것이 조현병 환자가 느끼는 현실이다.
--- p.164, 「2장 모방은 정신에 어떻게 작용할까, 4. 정신병 상태에서의 타인」 중에서
내 사랑은 질투에서 시작되었어. 그래! 처음에는 두 사람이 같이 있는 모습이 너무 좋아 보여서 고통스러웠는데, 그 고통이 내 욕망에 불을 질렀다네. 그들의 사랑이 내 연약한 마음을 갈기갈기 찢어놓았어. 그들의 사랑을 깨버릴 수 있다면 그보다 더 기쁜 일은 없을 것 같아.
--- p.197, 「2장 모방은 정신에 어떻게 작용할까, 6. 욕망의 병」 중에서
나는 ‘왜’라는 질문은 아이들이나 하는, 성숙하지 못한 질문이라고 생각한다. 우리는 ‘왜’라는 질문을 멈추고 겸손하게 ‘어떻게’라는 질문을 던지며 어른이 되어야 한다. 현상이 어떻게 일어나는지, 현상들이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지, 혼란은 어떻게 시작되는지, 모방 메커니즘이 어떻게 경쟁자와 장애물로 발전해서 신경증, 정신병, 도착증 혹은 신체적 충격으로 표출되는지, 그리고 인간의 문제에 대해 임상적으로 어떻게 반응하고 행동해야 하는지 연구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 p.221, 「3장. 세 개의 뇌와 삼단논법, 1. 모방 메커니즘」 중에서
앤드루 멜조프에 따르면 모방은 타인과 관계를 맺는 최초의 방식이고, 아기는 자라면서 모방을 통해 성장하고 학습한다.
--- p.252, 「4장 세 번째 뇌를 더 깊이 이해하기 위하여, 1. 자아는 단독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중에서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는 갈수록 모방의 성격이 강해지고, 어떤 욕망도 쉽게 소유할 수 있고, 당황스러울 정도로 선택의 가능성이 많다.
--- p.257, 「4장 세 번째 뇌를 더 깊이 이해하기 위하여, 2. 이슬람주의자들은 왜 자살 테러를 일으킬까?」 중에서
모방을 통해 전파되고 전염되는 것이 사상이나 믿음인 경우에는 좀 복잡해진다. 집단 전체에 반향을 일으키는 믿음은, 믿음의 욕망이 서로를 모방하면서 한없이 강화되어 구성원 전체가 바보가 되는, 집단 최면과 유사한 상태를 만들어낼 수도 있다.
--- p.259, 「4장 세 번째 뇌를 더 깊이 이해하기 위하여, 2. 이슬람주의자들은 왜 자살 테러를 일으킬까?」 중에서
정신의학은 죽음을 두려워하지만 삶도 두려워하는 환자를 대하는 학문이다.
--- p.285, 「책을 마치며」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