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찬책임자
이성제 동북아역사재단 한국고중세사연구소장
『고대 동아시아 석각자료연구』(편저, 동북아역사재단, 2018), 「중국계 流移民의 來投와 高
句麗의 對應方式?중국계 유이민의 遼東지역 世居를 중심으로?」(『中國古中世史硏究』 55,
2020), 「唐 高宗의 泰山 封禪과 高句麗의 對應을 둘러싼 몇 가지 문제」(『高句麗渤海硏究』 64,2019), 「褥薩의 大城·王都 5部 駐在와 그 職任」(『韓國古代史硏究』 92, 2018)
집필진
여호규 한국외국어대학교 사학과 교수
『한국의 대외관계와 외교사(고대 편)』(공저, 동북아역사재단, 2019), 『한국고대사(1)』(공저, 푸
른역사, 2016), 『고구려 초기 정치사 연구』(신서원, 2014), 『삼국시대 고고학개론(1: 도성과 토목편)』(공저, 진인진, 2014), 『삼국지 동이전의 세계』(공저,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13), 『高句麗 城』 I?II(국방군사연구소, 1998?1999)
조영광 전남대학교 역사교육과 조교수
『동북공정 이후 중국의 고구려사 연구동향』(공저, 역사공간, 2017), 『중국의 동북공정과 한
국고대사』(공저, 주류성, 2012), 「고구려 시조 주몽의 출자지에 대한 시론적 검토」(『한국사
연구』 186, 2019), 「고구려 멸망 후 요동 지역의 동향」(『대구사학』 133, 2018), 「고구려 왕도, 왕기의 형성 과정과 성격」(『한국고대사연구』 81, 2016)
양시은 충북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부교수
『고구려고고학』(공저, 진인진, 2020), 『흉노』(공저, 진인진, 2017), 『고구려성연구』(진인진, 2016),「문화정책에 따른 중국 동북지역 박물관의 역할과 특징」 (『동북아역사논총』 69, 2020), 「오녀산성의 성격과 활용 연대 연구」 (『한국고고학보』 116, 2020), 「몽골지역 흉노 토기의 제작기법 연구」 (『호서고고학보』 38, 2017)
조우연 연변대학 인문사회과학학원 사학과 조교수
『天帝之子: 고구려의 왕권전승과 국가제사』 (민속원, 2019), 『중국 전설시대와 민족형성』(상·
하)(역저, 학고방, 2012), 「高句麗의 王權과 相權」 (『고구려발해연구』 60, 2018), 「集安高句麗
碑에 나타난 왕릉제사와 조상인식」 (『한국고대사연구』 70, 2013), 「고구려 始祖神話에 나타나
는‘夫餘出自’의 의미」 (『동아시아고대학』 22, 2010)
임기환 서울교육대학교 사회과교육과 교수
「고구려 초기 소노부, 계루부의 형성과 졸본」 (『사학연구』 136, 2019), 「고구려 國內 遷都 시
기 再論」 (『사학연구』 132, 2018), 「고구려 전기 都城 관련 기사의 재검토」 (『역사문화연구』 65,2018), 「백제 한성말~웅진기 王系 자료의 형성」 (『선사와 고대』 56, 2018)
권순홍 충북대학교 역사교육과 박사후연구원
「평양 도성의 경관을 통해 본 고구려 지배질서의 변화」(『역사와 현실』 116, 2020), 「고구려 도성내 평지 성곽의 출현과 그 기능」 (『역사학보』 244, 2019), 「고구려 도성 경관의 형성과 지배 권력의 추이」 (『한국고대사연구』 95, 2019), 「‘도성권’의 개념과 고구려 ‘도성권’의 등장」 (『고구려발해연구』 64,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