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짜뉴스는 새로운 현상이 아니다. 저널리즘이 존재하는 한, 저널리즘을 위장한 역정보를 제공하려는 모습들은 계속될 것이다. 그러나 소셜미디어에서 가짜뉴스가 어떻게 생산·확산·소비되는지를 둘러싼 대부분의 역학관계는 새로운 것이다. 여기서 특히 중요한 것은 소셜미디어 플랫폼이 기존 뉴스조직에서 확립된 규범, 기준, 행동방식들을 따르지 않은 채 뉴스 전달자로서 작동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마크 주커버그는 의회 청문회에서 다음과 같이 직설적으로 증언하였다. “우리는 우리의 책임에 대해서 충분히 포괄적으로 생각해보지 못했고, 이것은 큰 실수였습니다.”
--- pp.33-34
소셜미디어 플랫폼이 스스로를 뉴스와 정보의 배포자로 인식하기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은 ‘공익’이라는 개념이다. 공익 개념은 미디어와 저널리즘에서 매우 길고 복잡하며 다난한 역사를 거쳐 성립되었으며 저널리스트와 뉴스기업의 전문적·조직적 사명의 핵심으로 남아 있다. 공익 개념은 사회공동체의 정보욕구가 충족되는지, 그리고 뉴스미디어가 시민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민주주의 과정을 촉진시키는 과정에서 적절한 역할을 수행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미디어를 감독하는 규제기관과 정책결정자들이 의지하는 개념이기도 했다.
--- p.49
저자는 소셜미디어와 공익에 대해 논의하면서 규제와 정책 영역에만 초점을 맞추지 않는 대신, 보다 넓은 맥락에서 소셜미디어 거버넌스에 대해 논의할 것이다. 미디어 거버넌스라는 용어는 미디어 시스템의 구조와 행동 그리고 미디어 기술의 사용방식을 조직하는 규칙들을 의미한다. 미디어 거버넌스는 미디어 규제나 미디어 정책에 비해 보다 광의의 개념이다.
특히 미디어 영역의 규칙과 규범들을 설계하는 과정에 참여하는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을 포괄한다. 미디어 거버넌스 참여자에는 정책결정자, 산업계 종사자, 비정부기구, 시민사회단체, 심지어 미디어 이용자도 포함된다. 미디어 거버넌스란 미디어 관련 법, 규제, 정책에만 국한되지 않으며, 미디어기업의 운영과 관련된 자율규제 조항, 조직 규범과 실천방식, 그리고 이용자들이 이러한 규제와 미디어 조직의 규범과 실천방식을 집합적으로 만들어내고 영향을 미치는 방식들까지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 pp.50-51
소셜미디어 플랫폼으로 인해 뉴스소비 방식은 전통적 매스미디어만큼이나?어쩌면 그보더 더 심하게?수동적이 되었다. 최소한 전통적 매스미디어 환경의 경우, 뉴스소비는 길을 걷다가 종이신문을 구매한다거나 방송뉴스를 송출하는 라디오에 주파수를 맞추는 정도의 행동을 필요로 했다. 이제 소셜미디어 뉴스피드를 스크롤링하는?종종 뉴스를 소비할 의도조차도 없게 되어버린?방법이 개인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가장 전형적인 방법 중 하나가 되었다. ……
이러한 결과는 소셜미디어로는 양식 있는 시민 육성이 어렵다는 것을 보여준다. 소셜미디어 기반 뉴스소비에 대한 최근 연구에 따르면, 소셜미디어 뉴스소비자는 종이신문이나 TV 뉴스소비자에 비해 소셜미디어에서 우연히라도 뉴스를 접하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훨씬 더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 소셜미디어 플랫폼에서 이용 가능한 콘텐트 소비량이라는 위계 속에서 뉴스는 높은 위치를 점유하지 못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뉴스소비자는 자신이 소비하는 뉴스기사의 맥락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 pp.90-91
뉴스미디어의 구조적·경제적 변화, 파편화와 개인맞춤화 증가, 알고리즘에 의해 지배당하는 콘텐트 확산과 소비 등은 뉴스와 정보의 생산과 흐름에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변화는 정당한 뉴스가 근본적으로 오정보를 몰아낼 수 있을 것이라고 가정하기 어렵게 만든다.
--- p.138
소셜미디어가 디지털미디어 생태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들이 보여주듯, 우리는 알고리즘이 우리가 원하는 것보다는 우리에게 필요한 것을 제공해주는 저널리즘 역할을 더욱 강화할 수 있도록 행동에 나설 필요가 있다.
--- p.252
현재까지 진행된 가장 공격적인 몇몇 규제 양상은 독일에서 발견할 수 있다. 2018년 1월 독일에서는 소셜네트워크시행법(NetzDG)이 발효되었다. NetzDG법을 통해 200만 명 이상의 이용자를 보유한 소셜미디어 플랫폼은 가짜뉴스, 혐오발언, 기타 불법적 콘텐트가 고지된 후 24시간 이내에 이들을 삭제하지 않으면, 5,000만 유로의 벌금을 부과받게 되었다.
--- p.273
본서의 주제를 다룰 때 직면하는 다른 어려움은 우리가 여전히 소셜미디어, 저널리즘, 민주주의 의사결정 과정의 연관성에 대해서 많은 것을 알지 못한다는 점이다. 이들의 연관관계는 소셜미디어 거버넌스 수립을 위한 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으며, 제공해주어야만 하는 것이다. 실제로 이들의 연관관계는 본서와 관련된 연구들에서 일관적으로 나타나는 주제이기도 하다.
현재 우리는 소셜미디어 플랫폼이 뉴스와 정보 생태계에 파괴적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는 것을 확실히 알게 되었다. 최근 연구들에 따르면 다양한 방지책들에도 불구하고, 저널리즘으로 위장한 역정보가 여전히 소셜미디어 플랫폼에서 맹위를 떨치고 있으며 소셜미디어 플랫폼이 정치적 양극화를 심화시키고 있다.
--- p.2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