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이 나를 뭐라 부르든, 지방이든 지역이든 로컬이든, 솔직히 난 별로 관심이 없어. 중요한 점은, ‘나-지역’을 당신 바깥에 두는 한 우리의 대화는 겉돌 수밖에 없단 거지. 오랜만에 찾았는데 주말인데도 도심이 휑하다며 안타까워하는 마음에 내가 감사해야 할까? 스스로 파괴한 것을 애도하는 제국주의자의 향수와 닮았다면 과도한 비판일까? 다른 지역을 원한다면, 무엇보다 당신이 달라지길 바라. 지역을 걱정하고 배려하는 대신에 당신과 내가 맺어온 관계를 돌아보길 바라. 지역의 주변성을 강요한 역사가 곧 메트로폴리탄 서울의 성장사였음을 알길 바라. 이 역사에 나도, 당신도 적극적으로 연루되고 공모해왔단 걸 깨닫길 바라. 이제, 나의 소멸이 아니라 우리의 미래를 함께 얘기해볼까?
---p.12 조문영, 「나, 지역의 소멸론」
할머니의 이야기는 여기서 끝내야 한다.
그 누구도 읽어서는 안 된다.
(……)
저런 할머니는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다.
세상에 존재하지 않기에 소설에서는 존재해야 한다.
소설만이 열어젖힐 수 있는 세계가 있다.
소설 속에서만 들려오는 말과 소음이 있다.
소설에서만 존재하는 인물이 있다.
할머니는 나다.
하지만 나는 할머니가 될 수 없다.
나는 할머니를 언어로 재현할 뿐이다.
언어가 아닌 사람을 만나야 할지 모른다.
---p.47 김태용, 「말과 소음」
글을 쓰면서 붉은색 경고등이 들어온 지역 지도와 인간의 자취만 남은 거리 풍경이 계속 되살아난 것 같다. 불안의 시선 속에서 소설 속 인물을 통해 지역소멸을 둘러싼 말들을 의심할 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했다. 지역은 과연 소멸하는 것이 맞는가?
---p.47 김태용, 「말과 소음」, 작가노트
우리는 매일 놀이터에서 만났다. 그때는 별다른 연락을 하지 않아도 매일 그럴 수 있었다. 만나서 같이 땅도 파고 고운 흙도 만들고 돌도 고르고 그랬다. 그네도 타고 시소도 타고 그러다 지겨워지면 애들을 모아 술래잡기도 했다. 사방치기도 하고 이따금 정체를 알 수 없는 게임을 하기도 했다. 우리보다 어린 아이들은 깍두기를 시켰다. 제외되는 아이는 없었다. 놀이터에서는 따로 통성명을 하지 않아도 게임 한 판이면 모두 친구가 될 수 있었다. 모두 승패가 중요하지 않은 게임이었다. 아니, 그 누구도 승패를 중요하게 여기지 않았다. 이기면 이기고 지면 지는 것. 이긴다고 좋을 것도 진다고 나쁠 것도 없었다. 그냥 실컷 뛰어다니다가 해가 질 때 집에 가면 그만이었다.
---p.53
내가 이곳을 벗어나려고 애를 쓰는 동안,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 내가 떠나 있는 동안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 그 오빠도, 멜빵바지 애도, 놀이터에 가면 언제든 볼 수 있었던 그애들도. 이제 더이상 없었다. 그들은 이 거리에서 흔적도 없이 사라졌다. 그들이 정말 여기에 존재했던 게 맞나. 한때 그랬던 게 맞나. 나는 내 기억을 믿을 수 없었다. 지수에게 당장이라도 전화를 걸어, 그때 같이 놀던 애들을 기억하냐고 묻고 싶었다. 혹여나 지수가 아무것도 기억하지 못할까 두려웠다.
---p.71 서이제, 「진입/하기」
영유가 사는 동네에는 대부분 나이든 사람들이 거주했다. 영유가 아주 어렸을 적에는 그렇지 않았다. 영유의 아빠는 아프기 전, 그 도시에 있는 자동차공장에 다녔다. 아주 오랫동안, 타 지역 사람들이 영유가 사는 도시에 대해 말할 때, 자동차공장에 대한 이야기가 빠지지 않았다. 공장이 망하면서 도시가 쇠락하기 시작했다고. 시와 도 차원에서 여러 가지 시도가 있었다. 이를테면 관광지를 개발하고, 도시에 있는 커다란 호수 주변을 개발하는 것. 개발 지역의 땅값이 올랐고, 거기에 살던 사람들이 얼마간의 혜택을 보았다. 하지만 영유네 동네는 아니었다. 영유네 동네는 관광지와 그리 멀리 떨어지지도 않았는데(호수와는 멀었다), 개발이 시작되자 오히려 급격하게 쇠퇴하기 시작했고, 그나마 남아 있던 젊은 사람들도 모두 떠나버렸다.
초등학교 4학년이 되던 해에, 영유가 다니던 초등학교가 문을 닫았다. 그후로 영유는 아침마다 삼십 분 넘게 버스를 타야 했다. 그때마다 눈물이 찔끔 났다. 새로 간 학교는 호수 근처의 개발 구역에 있었고, 같은 시에 속해 있다는 걸 믿을 수 없을 정도로 풍경이 전혀 달랐다. 나중에 영유는 이때를 떠올리며 생각하게 된다. 세상이 무너질 때에도 순서는 있는 거라고, 그 알량한 순서가 많은 것을 바꾸어놓는다고.
---p.82 손보미, 「자연의 이치」
해나는 꽤 넓은 것 같지만 사실은 전체 면적의 삼십 퍼센트도 안 되는, 자기 지분만큼의 땅을 찬찬히 걸어보았다. 여기서 뭘 할 수 있을까. (……) 곧 떠날 사람이라는 마음으로 일을 하는 것은 골치 아프고 서러웠다. 이곳저곳 떠돌더라도 다시 돌아갈 수 있는 곳이 필요했다.
---p.146
대진은 입버릇처럼 할 일이 없으면 이곳에 정착하라고 했다. 사실 해나도 아예 생각해보지 않은 건 아니었다. 하지만 알아본 바로 청년영농정착금을 받은 청년 중 제대로 정착한 이들은 극히 드물다고 했다. 몸 쓰는 일에 익숙지 않고, 그러다보니 무리하게 장비에 자본을 투자했다가 투자금을 회수하지 못하고 몇 년 안 되어 다시 도시로 돌아간다는 것이었다.
---p.153 예소연, 「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