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은(李商隱, 812∼858)의 원적(原籍)은 회주(懷州)의 하내[河內, 지금의 허난성 친양현(沁陽縣)]였으나 조부 때부터 형양[滎陽, 지금의 허난성 정저우(鄭州)]으로 옮겨 살았다. 일생 동안 헌종(憲宗), 목종(穆宗), 경종(敬宗), 문종(文宗), 무종(武宗), 선종(宣宗)의 여섯 황제를 거쳤다.
9세 때 부친이 사망해 생활이 매우 곤궁했다. 뼈저린 가난은 그가 공부에 전념하는 동기가 되었으며 하루빨리 성공해서 가족을 잘 부양하고 집안을 일으켜야 한다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다. 이상은은 학습 속도가 빨랐으며 16세에 이미 <재론(才論)>, <성론(聖論)>을 지어 당시 문사들에게 인정을 받았다고 한다.
문종(文宗) 대화(大和) 3년(829, 18세) 당시, 천평군절도사(天平軍節度使)인 영호초는 어린 나이에 비상한 재주를 지닌 이상은을 알아보고 그를 막료로 불렀다. 이때부터 문종 개성(開成) 2년(837, 26세) 영호초가 사망하기까지 이상은은 중간에 1년 남짓 오촌 당숙인 최융(崔戎)을 따라 연해관찰사(?海觀察使)의 막부에서 막료 생활을 했던 것을 제외하면 줄곧 영호초의 막부에서 생활했다. 영호초는 이상은을 자신의 아들인 영호도(令狐?)와 함께 수학할 수 있도록 배려했고 그에게 변문(騈文)을 쓰는 방법을 전수했다. 이러한 경력으로 이상은은 시에서 정확한 대구(對句), 풍부한 전고(典故), 화려한 언어를 사용하게 되었으며 시뿐만 아니라 변문 문장가로도 이름을 날리게 되었다.
문종 개성 2년(837, 26세) 진사에 합격하지만 은인인 영호초가 사망하고 나자 연줄이 없는 그에게 벼슬길은 열리지 않았다. 얼마 후 그는 절도사 왕무원(王茂元)의 요청으로 경주(涇州,지금의 간쑤성 징현 북쪽)로 가서 막부의 막료가 되었으며 왕무원의 눈에 들어 그의 사위가 되었다. 이 혼인은 이후 그의 생애가 우이당쟁의 소용돌이에 휘말리는 시발점이 된다. 왕무원은 이덕유(李德裕)와 친분이 있어 정치적 계보상 이당(李黨)에 속했다. 당시 당파적 이해관계를 따지는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스승이자 후견인이었던 영호초가 죽은 지 얼마 안 되어 반대당의 사위가 되는 것은 명백한 배신행위로 비쳤다. 그러나 막상 이덕유가 득세한 시기에 이상은은 모친상으로 벼슬을 내려놓아야 했고, 3년상이 끝나자 이덕유는 실각했고 왕무원도 사망해 이상은은 고립무원이 되었다. 결국 중앙 조정을 포기하고 막부를 전전하다 대중 12년(858, 47세)에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김의정은 이화여자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 중어중문학과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를 마쳤다. 한양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연세대학교 등에서 강의했으며 현재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의 전문연구원으로 재직하고 있다. 비애가 아름답게 시로 승화되는 순간에 관심을 가지며 미학 용어 흥(興)에 대해 연구했고 시인으로는 두보 이외에 이상은(李商隱), 이하(李賀) 등 탐미적이고 몽환적인 당대 시인에 대해 연구했다. 최근에는 중국 고전시를 대중적으로 풀어 쓰는 작업을 하고 있으며 이 밖에 중국 문학 속의 나무 이미지, 명청대 여성 시인 및 강남의 생활 문화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있다. 논문으로 <두보 기주 시기 시 연구(杜甫 夔州時期 詩 硏究)>(박사 학위논문), <이하(李賀) 시에 나타난 신화와 여성 이미지>, <이상은(李商隱) 시에 나타난 운우몽(雲雨夢) 전고(典故)의 패러디>, <이시영·흥(興)·에즈라 파운드(Ezra Pound)>, <백두음(白頭吟), 누구의 노래인가?역대 백두음의 화자 문제와 명대 여성 시인 육경자(陸卿子)의 의의>, <명대 여성 시에 나타난 전통과의 대화 방식?서원(徐媛)을 중심으로>, <이인(李因)의 시를 통해 본 명대 여성 여행의 의미>, <디지털 시대의 나무 문화 읽기?계수나무를 중심으로>, <시는 어떻게 광고가 되는가??중국 고전시의 문학콘텐츠 활용방안> 등이 있으며, 저역서로 ≪두보 평전≫(호미출판사, 2007), ≪두보 시선≫(지식을 만드는 지식, 2009), ≪천천히 걷는 게 수레보다 좋구나?이인 시선(李因詩選)≫(도서출판 사람들, 2011), ≪한시리필: 영웅, 달, 음악≫(차이나하우스, 2011), ≪한시리필: 우연+우연=운명≫(차이나하우스, 2011), ≪중국의 종이와 인쇄의 문화사≫(연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3)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