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이 규정하는 정체성과 역할에 수동적으로 끌려다니는 여성은 행복하기 어렵다. 나는 교회의 부당하고 불공정한 처우나 성차별에 대해 문제의식을 품는 것이 하나님의 형상을 입은 주체자로서의 저항이요 믿음의 결단이라고 생각한다. 이런 이유로 성경이 신앙과 삶의 최종 권위라고 믿는 보수 교단에 속한 여성 신학자에 의해 성경적 페미니즘이 제시된다면, 페미니즘에 대한 오해가 불식되고 여성에 대한 이해가 깊어짐은 물론, 나아가 남녀의 공존과 화해를 모색할 수 있는 디딤돌이 되지 않을까 생각해 용기를 내어 이 책을 쓰게 되었다.
---「서문」중에서
그러므로 성경적 페미니즘을 정의하자면, 페미니즘에 담겨 있는 “여성됨에 대한 여성 스스로의 질문”이 곧 ‘인간됨’이라는 인식을 바탕으로, 성경을 통해 여성의 정체성과 역할을 기독 여성 스스로 규정하게 하려는 이념이라고 할 수 있다. 지금까지 교회사적으로 남성 교부나 남성 신학자들에 의해 여성됨이 규정되어왔음을 자각하고 기독 여성 스스로 여성의 정체성과 역할이 무엇인지, 즉 성경적 여성관이 무엇인지 주체적으로 논의하려는 의지와 목표를 가지는 것이다.
---「들어가는 말: 왜 성경적 페미니즘이 필요한가?」중에서
여성의 신학적 확신의 초점은 하나님이며, 하나님은 성을 초월하는 인격적인 분이다. 하나님은 남성적 이미지뿐 아니라 여성적 이미지를 동시에 갖고 계신다. 그러므로 하나님과 예수 그리스도의 남성적 이미지를 지나치게 강조한다면, 성과 관련한 하나님의 온전한 본성을 이해한 것이라고 할 수 없다.
---「2장 성경적 페미니즘의 신학적 논의」중에서
남성 제자들이 직접적 증인이 되지 않은 부활 사건을 다루는 본문을 읽고 해석할 때는, 최초 증인이 ‘여성’이라는 것과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현장에서 희롱, 모욕, 침 뱉음, 채찍질, 그리고 십자가 처형까지 목격한 ‘막달라 마리아’의 “내가 주를 보았다”(요 20:18)라는 증언이 담겨 있음을 감안해야 한다.
---「4장 그리스도의 복음과 페미니즘」중에서
본문은 한나를 신앙의 주체이자 역동적 여성으로 소개한다. 그녀는 가부장적 시대 속에서도 주체적이고 독립적인 여성이었다. 그런 한나를 한국교회에서 ‘현모양처’로 보는 것은 성경적인 해석이라기보다 가부장적 선입견과 여성관이 전제된 해석이라고 볼 수밖에 없다.
---「5장 성경적 페미니즘으로 성경 읽기」중에서
이처럼 ‘여성 성직’이 거부된 교단의 개교회·노회·총회라는 남성 중심의 의사 결정 구조는 남성 목회자의 요구를 쉽게 거절하기 어려운 교회 환경의 문제는 물론 피해자 입장에서의 억울한 소리를 묻어버리며 남성 목회자의 성범죄에 대해 은닉 메커니즘을 작동시킨다
---「6장 성경적 페미니즘과 젠더 문제」중에서
여성끼리 경쟁하게 되는 것은 여성 개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가부장적 한국교회의 구조적인 문제에서 파생되었다. 모세 당시에 남자들만 취한 상속권을 슬로브핫 딸들이 당당하게 요구하여 얻어냈다면, 남녀평등과 인권을 중시하는 21세기 현대 교회 여성들은 더욱 연대하며 여성의 주체적 리더십을 주장할 필요가 있다.
---「7장 구약성경에 나타난 여성 리더십」중에서
바울 서신을 통해 다비다, 브리스길라, 압비아, 유오디아와 순두게, 뵈뵈, 버시, 유니아 등 많은 여성이 복음 사역과 관련하여 중요한 위치에서 활약했음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바울의 여성관을 살피려면, 여성에 관한 바울의 충고와 함께 바울의 선교 사역에 동역했던 여성들의 역할도 함께 살펴보는 것이 바람직한 접근 방법이다.
---「8장 신약성경에 나타난 여성 리더십」중에서
이처럼 구원과 자유와 남녀평등을 외친 기독교 복음은, 가부장제 중심 체제에서 남편에게 복종하며 거의 노예처럼 살아온 초기 한국교회 여성을 자각시켰다. 복음에 의해 계몽된 여성들은 주체적이고 긍정적인 자아상을 발견하게 됐고 여성 자신을 비롯하여 신자는 물론 국민들에게도 변화된 여성관을 경험하게 했다.
---「10장 초기 한국 교회사에 나타나는 여성의 복음 사역과 공헌」중에서
이제 한국교회는 복음 전파, 하나님 나라 공동체 실현, 교회 갱신, 사회 개혁, 남북통일, 그리고 21세기 인류가 직면한 생명과 평화 문제, 환경 문제 등 사회적으로 중요한 이슈에 대해 책임 의식을 가지고 수평 관계 지향성과 공감 능력과 영성 측면에서 미래 변혁적 특성이 있는 여성의 리더십을 적극적으로 활성화해야 할 것이다.
---「12장 성경적 페미니즘에 근거한 여성 리더십의 활성화 과제와 방안」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