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분야
분야 전체
크레마클럽 허브

한자성어와 인문정신

박병석 | 한국문화사 | 2021년 5월 14일 리뷰 총점 0.0 (0건)정보 더 보기/감추기
  •  종이책 리뷰 (0건)
  •  eBook 리뷰 (0건)
  •  종이책 한줄평 (0건)
  •  eBook 한줄평 (0건)
분야
국어 외국어 > 한문/한자
파일정보
PDF(DRM) 35.23MB
지원기기
크레마 PC(윈도우 - 4K 모니터 미지원) 아이폰 아이패드 안드로이드폰 안드로이드패드 전자책단말기(저사양 기기 사용 불가) PC(Mac)

책 소개

『한자성어와 인문정신』은 한자성어에 담긴 교양과 인문정신을 학습하거나 교수하려는 목적으로 한자성어를 체계화하고 이론화한 오랜 작업의 결과이다. 이 책은 먼저 26개 주제를 선정하고, 이 주제와 관련된 단상(개종명의)과 성어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주제별 대표성어 2개를 선정하고, 선정된 대표성어의 각 한자가 포함된 성어를 나열하였다. 그다음 나열한 대표성어에 대한 차례로 본디 뜻(일차 의미)과 변했거나 파생된 뜻(이차 의미), 동의성어와 반의성어, 관련 우리 속담 및 출처를 제시했다. 중간에 간간이 성어와 관련된 심리현상을 제시하여 성어의 가치를 높이고자 했다. 그리고 13강에 걸쳐 학습한 성어를 기초로 49칸으로 구성된 십자말풀이(crossword puzzle)를 제시하여 복습 효과를 높이고자 했다.

저자 소개 (1명)

저 : 박병석
서울사이버대학교 교수로서 20여 년 간 중국사회과학원 한국연구중심 학술지 『당대한국』(當代韓國) 편집위원을 맡고 있고, 서구 사회과학이론을 기초로 한 중국정치사상을 주로 연구하면서 인문사회과학 분야 여러 주제를 두루 다루고 있다.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1981)와 같은 대학 대학원 정치학과(정치학석사, 1983) 및 대만 국립정치대학 정치연구소(정치학박사, 1989)를 거쳤다. 저서로는 『中國古代朝代更迭: 易姓革命的思想、正當化以及正當性硏究』(2011), 『중국 사회문화의 이해』(2006), 『중국의 정치와 외교』(2006), 『중국상인문화』(2001) 및 『중화제국의 재건과 ... 서울사이버대학교 교수로서 20여 년 간 중국사회과학원 한국연구중심 학술지 『당대한국』(當代韓國) 편집위원을 맡고 있고, 서구 사회과학이론을 기초로 한 중국정치사상을 주로 연구하면서 인문사회과학 분야 여러 주제를 두루 다루고 있다.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1981)와 같은 대학 대학원 정치학과(정치학석사, 1983) 및 대만 국립정치대학 정치연구소(정치학박사, 1989)를 거쳤다.
저서로는 『中國古代朝代更迭: 易姓革命的思想、正當化以及正當性硏究』(2011), 『중국 사회문화의 이해』(2006), 『중국의 정치와 외교』(2006), 『중국상인문화』(2001) 및 『중화제국의 재건과 해체』(1999) 등이 있고, 공저로는 『한중 인적자원개발 제도 및 정책과 동반발전 방안 연구』(2012), 『동북아 국가의 인적자원개발 공동체 형성 모형과 전략』(2006), 『동북아 국가의 인적자원실태 및 개발 동향과 인적자원개발 분야의 공동체 형성 가능성 연구』(2004), 『아시아의 지방분권』(2004), 『새로운 동북아질서와 한반도』(1998), 『세계정치의 쟁점과 이해』(1993), 『중국의 정치체제와 개혁』(1992) 등이 있고,
번역서로는 ??5개 국어로 보는 한국음식 용어사전??(공역, 2011), ??근대한중무역사??(공역, 2001), ??중국문화의 심층구조??(1997) 등이 있다. 논문은 수십여 편이 있으며, 주요 연구 주제는 중국 고금(古今)의 정치체제 변화, 군민(君民) 관계, 역성혁명(易姓革命), 정당성(正當性, legitimacy), 정통론(正統論), 화이론(華夷論), 탈중화주의(脫中華主義, de-sinification), 탈식민주의, 민족형성(nation-building), 민족주의, 황화론(黃禍論), 통일과 분열, 화평굴기론, 이문화 수용과 갈등, 동북아(인류안전)공동체 등이다. 이러한 주제에 대한 접근방법론으로 갑골문과 청동기 명문 등의 문자학, 관념사, 고전 텍스트 분석 및 역사 컨텍스트 분석을 활용하고 있다.

한줄평 (0건)

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