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분야 전체
크레마클럽 허브

서사의학이란 무엇인가

현대 의학이 나아가야 할 공감과 연대의 이야기

리타 샤론,사얀타니 다스굽타,넬리 허먼,크레이그 어바인,에릭 마커스 저 외 4명 정보 더 보기/감추기 | 동아시아 | 2021년 7월 14일 리뷰 총점 9.7 (6건)정보 더 보기/감추기
  •  종이책 리뷰 (6건)
  •  eBook 리뷰 (0건)
  •  종이책 한줄평 (0건)
  •  eBook 한줄평 (0건)
분야
인문 > 인문학산책
파일정보
EPUB(DRM) 76.34MB
지원기기
크레마 PC(윈도우 - 4K 모니터 미지원) 아이폰 아이패드 안드로이드폰 안드로이드패드 전자책단말기(저사양 기기 사용 불가) PC(Mac)
이용안내
TTS 가능 TTS 안내

책 소개

상세 이미지

상세 이미지

저자 소개 (9명)

저 : 리타 샤론 (Rita Charon)
컬럼비아대학교 내과 의사, 문학 연구자이다. 컬럼비아 서사의학 프로그램의 설립자이자 상임 이사로, 의과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필수 서사의학 교과과정 및 서사의학 석사과정을 감독하고 있다. 컬럼비아대학교 내과 의사, 문학 연구자이다. 컬럼비아 서사의학 프로그램의 설립자이자 상임 이사로, 의과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필수 서사의학 교과과정 및 서사의학 석사과정을 감독하고 있다.
저 : 사얀타니 다스굽타 (Sayantani DasGupta)
소아청소년과 및 공중보건학을 공부했고, 현재 컬럼비아대학교 서사의학 석사과정, 비교문학 연구소, 민족·인종 연구 센터의 교수이다. 소아청소년과 및 공중보건학을 공부했고, 현재 컬럼비아대학교 서사의학 석사과정, 비교문학 연구소, 민족·인종 연구 센터의 교수이다.
저 : 넬리 허먼 (Nellie Hermann)
브라운대학교와 컬럼비아대학교 예술 석사를 졸업했다. 바너드대학에서 글쓰기를 가르치며, 컬럼비아대학교 의과대학 서사의학 프로그램 창작 감독을 맡고 있다. 브라운대학교와 컬럼비아대학교 예술 석사를 졸업했다. 바너드대학에서 글쓰기를 가르치며, 컬럼비아대학교 의과대학 서사의학 프로그램 창작 감독을 맡고 있다.
저 : 크레이그 어바인 (Craig Irvine)
컬럼비아대학교 서사의학 석사과정 프로그램 감독, 서사의학 프로그램 교육 감독, 철학 박사이다. 컬럼비아대학교 서사의학 석사과정 프로그램 감독, 서사의학 프로그램 교육 감독, 철학 박사이다.
저 : 에릭 마커스 (Eric R. Marcus)
컬럼비아대학교 정신분석 교육 및 연구 센터 주임, 의과대학 임상 정신의학과 교수, 서사의학 프로그램 설립 교수이다. 컬럼비아대학교 정신분석 교육 및 연구 센터 주임, 의과대학 임상 정신의학과 교수, 서사의학 프로그램 설립 교수이다.
저 : 에드거 리베라콜론 (Edgar Rivera-Colon)
컬럼비아대학교 서사의학 프로그램 교수로 질적 연구방법을 가르친다. 컬럼비아대학교 서사의학 프로그램 교수로 질적 연구방법을 가르친다.
저 : 대니엘 스펜서 (Danielle Spencer)
컬럼비아대학교 서사의학 프로그램 및 아인슈타인-카르도조 생명윤리 석사과정 교수이다. 컬럼비아대학교 서사의학 프로그램 및 아인슈타인-카르도조 생명윤리 석사과정 교수이다.
저 : 마우라 스피겔 (Maura Spiegel)
20년 동안 컬럼비아대학교와 바너드대학에서 소설과 영화를 가르쳐온 영문과 교수로, 컬럼비아대학교 의과대학 서사의학 프로그램 설립자 중 한 명이다 20년 동안 컬럼비아대학교와 바너드대학에서 소설과 영화를 가르쳐온 영문과 교수로, 컬럼비아대학교 의과대학 서사의학 프로그램 설립자 중 한 명이다
역 : 김준혁
의료윤리학자. 의료윤리는 환자와 보호자, 의료인이 서로의 입장을 충분히 살피고, 각 의료적 쟁점의 다양한 맥락을 검토한 뒤 내리는 ‘인간의 건강과 삶에 대한 윤리적 판단’이자 ‘최선의 선택’을 가리킨다. 그 어느 때보다 긴박하게 돌아가고 있는 의료 현장에서 ‘환자와 의료인이 각자의 필요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질환으로 인해 몸과 마음이, 삶과 생활이 깨진 이들을 다시 하나로 불러 모으는 일’은 의료윤리만이 할 수 있다고 믿는다. 약자를 위한 의료, 서로를 보듬어 안는 의료윤리를 꿈꾸고 있다. 현재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치의학교육학교실 조교수이자 한국의철학회 편집이사다. 연세대학... 의료윤리학자. 의료윤리는 환자와 보호자, 의료인이 서로의 입장을 충분히 살피고, 각 의료적 쟁점의 다양한 맥락을 검토한 뒤 내리는 ‘인간의 건강과 삶에 대한 윤리적 판단’이자 ‘최선의 선택’을 가리킨다. 그 어느 때보다 긴박하게 돌아가고 있는 의료 현장에서 ‘환자와 의료인이 각자의 필요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질환으로 인해 몸과 마음이, 삶과 생활이 깨진 이들을 다시 하나로 불러 모으는 일’은 의료윤리만이 할 수 있다고 믿는다. 약자를 위한 의료, 서로를 보듬어 안는 의료윤리를 꿈꾸고 있다.

현재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치의학교육학교실 조교수이자 한국의철학회 편집이사다.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졸업 후 동 병원에서 소아치과 수련 과정을 마쳤다. 군의관 복무 중 의료인문학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펜실베이니아대학교 의과대학 의료윤리 및 건강정책 교실에서 생명윤리 석사를, 부산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에서 의료인문학 박사를 마쳤다. 주요 저·역서로 『모두를 위한 의료윤리』, 『누구를 어떻게 살릴 것인가』, 『서사의학이란 무엇인가』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코로나19로 인한 응급 상황에서 의료자원 분배 및 백신 접종의 우선순위 설정」, 「능력으로서의 건강 개념과 그 의료정의론적 적용」 등이 있다.

출판사 리뷰

회원 리뷰 (6건)

한줄평 (0건)

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