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분야 전체
크레마클럽 허브

데이터 과학자의 일

금융, 게임에서 스포츠까지 현장에서 찾아낸 데이터 과학의 오늘

박준석 ,손승우 ,우지환,이은조 ,박영호 저 외 6명 정보 더 보기/감추기 | 휴머니스트 | 2021년 10월 13일 리뷰 총점 10.0 (9건)정보 더 보기/감추기
  •  종이책 리뷰 (6건)
  •  eBook 리뷰 (0건)
  •  종이책 한줄평 (3건)
  •  eBook 한줄평 (0건)
분야
자연과학 > 과학일반
파일정보
EPUB(DRM) 36.38MB
지원기기
크레마 PC(윈도우 - 4K 모니터 미지원) 아이폰 아이패드 안드로이드폰 안드로이드패드 전자책단말기(저사양 기기 사용 불가) PC(Mac)
이용안내
TTS 가능 TTS 안내

책 소개

목차

상세 이미지

상세 이미지

저자 소개 (11명)

저 : 박준석
통계학 석사학위와 계량심리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졸업 후에는 산업 현장으로 진출하여 미국 서부 해안에서 데이터과학자로 일하고 있다. 페이스북 페이지 〈오하이오의 낚시꾼〉을 통해 대중에 통계학과 데이터과학을 소개하고 있으며, 대중의 데이터 문해력 증진 및 통계학 대중화에 관심이 많다. 저서로는 사람들이 왜 가짜뉴스를 믿게 되는지를 심리학적으로 고찰한 『가짜뉴스의 심리학』, 관련 전문가들과 함께 데이터과학 및 산업의 현재를 조망한 공저 『데이터 과학자의 일』이 있다. 통계학 석사학위와 계량심리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졸업 후에는 산업 현장으로 진출하여 미국 서부 해안에서 데이터과학자로 일하고 있다. 페이스북 페이지 〈오하이오의 낚시꾼〉을 통해 대중에 통계학과 데이터과학을 소개하고 있으며, 대중의 데이터 문해력 증진 및 통계학 대중화에 관심이 많다.
저서로는 사람들이 왜 가짜뉴스를 믿게 되는지를 심리학적으로 고찰한 『가짜뉴스의 심리학』, 관련 전문가들과 함께 데이터과학 및 산업의 현재를 조망한 공저 『데이터 과학자의 일』이 있다.
저 : 손승우
마이크로소프트 데이터·응용과학자. 머신러닝을 활용한 각종 자연어처리 및 추천 시스템을 개발하여 Windows, Bing.com 등의 제품에 출시하는 업무를 담당한다. 마이크로소프트 데이터·응용과학자. 머신러닝을 활용한 각종 자연어처리 및 추천 시스템을 개발하여 Windows, Bing.com 등의 제품에 출시하는 업무를 담당한다.
저 : 우지환
AI를 20년째 연구하고 있는 연구자다. KAIST 전기및전자공학과에서 Computer Vision을 전공해 학사·석사 학위를 받았고, 경영대학원에서 MBA, 고려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에서 공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AI를 활용한 다양한 산업에서의 Digital Transformation을 연구 중이다. 삼성전자와 신한은행, 카카오뱅크에서 제조업과 금융 산업에 필요한 AI를 연구했고, 고려대학교와 KAIST 경영대학원에서 겸임교수를 지냈다. 또한 카네기멜런대학교 로봇연구소에 방문 연구원으로 있었다. 디지털소사이어티 정회원, 민간 R&D협의체 AI분과 전문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 AI를 20년째 연구하고 있는 연구자다. KAIST 전기및전자공학과에서 Computer Vision을 전공해 학사·석사 학위를 받았고, 경영대학원에서 MBA, 고려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에서 공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AI를 활용한 다양한 산업에서의 Digital Transformation을 연구 중이다. 삼성전자와 신한은행, 카카오뱅크에서 제조업과 금융 산업에 필요한 AI를 연구했고, 고려대학교와 KAIST 경영대학원에서 겸임교수를 지냈다. 또한 카네기멜런대학교 로봇연구소에 방문 연구원으로 있었다. 디지털소사이어티 정회원, 민간 R&D협의체 AI분과 전문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 『데이터 과학자의 일』(2021)이 있으며, 한국, 미국, 유럽, 일본, 중국 등에 45개의 등록된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 10편 이상의 논문을 KCI, SCIE 등의 등재 학술지에 게재했다.
저 : 이은조
게임 회사에서 데이터 분석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데이터 과학자. 서비스 개선이나 운영을 위해 사용자의 게임 속 행태를 살펴보고 게임 데이터 분석에 관한 연구를 접하며, 게임 데이터가 지닌 사회과학적 가치를 깨달았다. 가상 세계의 일들이 모두 기록되는 로그 데이터는 현실 세계에서 얻을 수 있는 데이터보다 훨씬 정밀하기에, 인간의 행동과 사회 현상을 구체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귀한 자료이다. 비록 아직 널리 알려지지 않았지만 이 책에서 소개하는 팬데믹, 종말, 인센티브, 조직 경영, 아이템 현금 거래, 호혜성 등에 관한 연구는 이 같은 게임 사회학의 무궁무진한 가능성을 보여준다. 게임... 게임 회사에서 데이터 분석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데이터 과학자. 서비스 개선이나 운영을 위해 사용자의 게임 속 행태를 살펴보고 게임 데이터 분석에 관한 연구를 접하며, 게임 데이터가 지닌 사회과학적 가치를 깨달았다. 가상 세계의 일들이 모두 기록되는 로그 데이터는 현실 세계에서 얻을 수 있는 데이터보다 훨씬 정밀하기에, 인간의 행동과 사회 현상을 구체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귀한 자료이다. 비록 아직 널리 알려지지 않았지만 이 책에서 소개하는 팬데믹, 종말, 인센티브, 조직 경영, 아이템 현금 거래, 호혜성 등에 관한 연구는 이 같은 게임 사회학의 무궁무진한 가능성을 보여준다. 게임 데이터를 폭넓게 활용한다면 우리가 현실 세계의 사회, 경제, 문화 등을 더 깊이 이해하게 되리라 확신한다.

전산학으로 학사·석사학위를 받고 보안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엔씨소프트에서 데이터 분석 및 엔지니어링 조직 실장으로 일하고 있다. 회사에서 수행하는 데이터 분석 기술과 응용 사례를 외부에 홍보하기 위해 실원들과 함께 ‘DANBI(https://danbi-ncsoft.github.io)’라는 기술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데이터 과학자의 일』(공저)이 있다.
저 : 박영호
미시간대학교 스포츠경영학과 교수. 스포츠 마케팅학자이자 스포츠 소비자 및 경기력 데이터 분석가이며 양적 연구방법론, 스포츠 마케팅 분석 등에 대해 강의·연구한다. 미시간대학교 스포츠경영학과 교수. 스포츠 마케팅학자이자 스포츠 소비자 및 경기력 데이터 분석가이며 양적 연구방법론, 스포츠 마케팅 분석 등에 대해 강의·연구한다.
저 : 노인우
포털사이트 웹툰 서비스의 보안 개발자이자 데이터 과학자. 데이터 과학의 관점에서 보안을 다루는 연구를 주로 수행했고, 다양한 분야에 이를 접목하는 일을 하고 있다. 포털사이트 웹툰 서비스의 보안 개발자이자 데이터 과학자. 데이터 과학의 관점에서 보안을 다루는 연구를 주로 수행했고, 다양한 분야에 이를 접목하는 일을 하고 있다.
저 : 김범준
신경과 의사이며 분당 서울대병원 신경과 부교수. 뇌경색 환자의 진료 과정에서 수집하는 임상 자료를 바탕으로 새로운 진단 및 치료를 고안하는 임상 연구를 하고 있다. 신경과 의사이며 분당 서울대병원 신경과 부교수. 뇌경색 환자의 진료 과정에서 수집하는 임상 자료를 바탕으로 새로운 진단 및 치료를 고안하는 임상 연구를 하고 있다.
저 : 차현승
카카오브레인 AI 개발자. 교육 스타트업에서 데이터 엔지니어로 일하며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을 했다. 모두가 최적화된 교육을 받는 인공지능 튜터에 관심이 많다. 카카오브레인 AI 개발자. 교육 스타트업에서 데이터 엔지니어로 일하며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을 했다. 모두가 최적화된 교육을 받는 인공지능 튜터에 관심이 많다.
저 : 이지혜
존슨앤존슨 도쿄 지사 데이터 프로덕트의 기술 매니저. 한국과 일본의 여러 회사에서 일했다. 의료 및 심리학 업계에서 데이터 과학을 활용하는 활동에 관심이 많다. 존슨앤존슨 도쿄 지사 데이터 프로덕트의 기술 매니저. 한국과 일본의 여러 회사에서 일했다. 의료 및 심리학 업계에서 데이터 과학을 활용하는 활동에 관심이 많다.
저 : 김미애
아마존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소프트웨어학과, 컴퓨터·IT학과에서 공부했으며, 지금은 딥러닝 기술을 기반으로 수요 예측을 하는 엔지니어링팀에서 일하고 있다. 아마존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소프트웨어학과, 컴퓨터·IT학과에서 공부했으며, 지금은 딥러닝 기술을 기반으로 수요 예측을 하는 엔지니어링팀에서 일하고 있다.
저 : 김영민
계량심리학 연구자, 텍사스공과대학교 박사과정. 석사과정에서 심리측정학을 전공했고, 한국생산성본부 연구원으로 일했다. 결측데이터 분석, 심리검사 개발 등을 연구한다. 계량심리학 연구자, 텍사스공과대학교 박사과정. 석사과정에서 심리측정학을 전공했고, 한국생산성본부 연구원으로 일했다. 결측데이터 분석, 심리검사 개발 등을 연구한다.

출판사 리뷰

회원 리뷰 (6건)

한줄평 (3건)

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