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분야 전체
크레마클럽 허브

경제위기 이후 복지정치와 사회정책

남회근,손영우 ,장선화,홍이진,손정욱 저 외 7명 정보 더 보기/감추기 | 한국학술정보 | 2022년 6월 16일 리뷰 총점 0.0 (0건)정보 더 보기/감추기
  •  종이책 리뷰 (0건)
  •  eBook 리뷰 (0건)
  •  종이책 한줄평 (0건)
  •  eBook 한줄평 (0건)
분야
사회 정치 > 법률/행정/복지
파일정보
PDF(DRM) 2.57MB
지원기기
크레마 PC(윈도우 - 4K 모니터 미지원) 아이폰 아이패드 안드로이드폰 안드로이드패드 전자책단말기(저사양 기기 사용 불가) PC(Mac)
이용안내
TTS 가능 TTS 안내

경제위기 이후 복지정치와 사회정책

책 소개

목차

저자 소개 (12명)

저 : 남회근
1918년 절강성 온주에서 태어나 어릴 때부터 서당 교육을 받으며 사서오경을 읽었다. 17세에 항주국술원에 들어가 각 문파 고수들로부터 무예를 배우는 한편 문학, 서예, 의약, 역학, 천문 등을 익혔다. 1937년 중일전쟁이 발발하자 사천으로 내려가 장개석이 교장으로 있던 중앙군관학교에서 교관을 맡으며 사회복지학을 공부하였다. 교관으로 일하던 시절, 선생에게 큰 영향을 준 스승 원환선을 만나 삶의 일대 전환을 맞는다. 1942년 25세에 원환선이 만든 유마정사에 합류하여 수석 제자가 되었고, 스승을 따라 근대 중국 불교계 중흥조로 알려진 허운선사의 가르침을 배웠다. 불법을 더 깊... 1918년 절강성 온주에서 태어나 어릴 때부터 서당 교육을 받으며 사서오경을 읽었다. 17세에 항주국술원에 들어가 각 문파 고수들로부터 무예를 배우는 한편 문학, 서예, 의약, 역학, 천문 등을 익혔다. 1937년 중일전쟁이 발발하자 사천으로 내려가 장개석이 교장으로 있던 중앙군관학교에서 교관을 맡으며 사회복지학을 공부하였다. 교관으로 일하던 시절, 선생에게 큰 영향을 준 스승 원환선을 만나 삶의 일대 전환을 맞는다. 1942년 25세에 원환선이 만든 유마정사에 합류하여 수석 제자가 되었고, 스승을 따라 근대 중국 불교계 중흥조로 알려진 허운선사의 가르침을 배웠다. 불법을 더 깊이 공부하기 위해 중국 불교 성지 아미산에서 폐관 수행을 하며 대장경을 독파하였고, 이후 티베트로 가서 여러 종파 스승으로부터 밀교의 정수를 전수 받고 수행 경지를 인증 받았다. 1947년 고향으로 돌아가 절강성 성립도서관에 보관되어 있던 문연각 사고전서와 백과사전인 고금도서집성을 열람하고, 이후 여산 천지사 곁에 오두막을 짓고 수행에 전념하였다. 전쟁이 끝난 후 1949년 봄 대만으로 건너가 문화대학, 보인대학 등과 사회단체에서 강의하며 수련과 저술에 몰두하였다. 1985년 워싱턴으로 가서 동서학원을 창립하였고, 1988년 홍콩으로 거주지를 옮겨 칠일간 참선을 행하는 선칠 모임을 이끌며 교화 사업을 하였다. 1950년대 대만으로 건너간 후부터 일반인과 전문가를 대상으로 유불도가 경전을 강의하며 수많은 제자를 길렀고, 강의 내용을 바탕으로 40여 권이 넘는 책을 출간하여 동서양 많은 독자로부터 사랑을 받아 왔다. 선생의 강의는 유불도를 비롯한 동양 사상과 역사에 대한 해박한 지식, 깊은 수행 체험에서 우러나오는 엄중한 가르침, 철저히 현실에 기초한 삶의 자세, 사람을
유머를 두루 갖춘 것으로 정평 있다. 2006년 이후 중국 강소성 오강시에 태호대학당을 만들어 교육 사업에 힘을 쏟다가 2012년 9월 29일 세상을 떠났다.
저 : 손영우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전문위원 프랑스 파리8대학 정치학 박사 사회적 대화 : 노동은 어떻게 프랑스 사회를 운영하는 주체가 됐나 (2018), 사회 양극화 개선과 ‘을’ 간의 사회적 대화(2018). 역서: 사회운동 : 어디에서 오고, 무엇이며, 어디로 갈까(2015).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전문위원
프랑스 파리8대학 정치학 박사
사회적 대화 : 노동은 어떻게 프랑스 사회를 운영하는 주체가 됐나
(2018), 사회 양극화 개선과 ‘을’ 간의 사회적 대화(2018).
역서: 사회운동 : 어디에서 오고, 무엇이며, 어디로 갈까(2015).
저 : 장선화
대전대학교 글로벌문화콘텐츠학전공 조교수 이화여자대학교 정치학 박사 논문: 코로나 19 팬데믹과 위기 거버넌스: 독일, 대만, 한국, 영국, 스웨덴 초기 대응 사례를 중심으로(2020), 북유럽 포퓰리스트 우파정당의 성장 과 정당 체제 변화: 스웨덴민주당과 핀란드인당을 중심으로(2017), 한국 정당민주주의의 제도적 특징과 개혁과제: 독일, 영국, 스웨덴과 비교적 관점에서(2015), 사회협약의 정치: 세계화 시대 경제위기와 집권 정당의 위기극복 전략(핀란드, 벨기에, 스페인, 아일랜드)(2014). 대전대학교 글로벌문화콘텐츠학전공 조교수
이화여자대학교 정치학 박사
논문: 코로나 19 팬데믹과 위기 거버넌스: 독일, 대만, 한국, 영국, 스웨덴
초기 대응 사례를 중심으로(2020), 북유럽 포퓰리스트 우파정당의 성장
과 정당 체제 변화: 스웨덴민주당과 핀란드인당을 중심으로(2017), 한국
정당민주주의의 제도적 특징과 개혁과제: 독일, 영국, 스웨덴과 비교적
관점에서(2015), 사회협약의 정치: 세계화 시대 경제위기와 집권 정당의
위기극복 전략(핀란드, 벨기에, 스페인, 아일랜드)(2014).
저 : 홍이진
중산(中山)대학교 정부학과 부교수 연세대학교 사회복지학박사 논문: Measuring Social Policy Change in Comparative Research: Survey Data Evidence from South Korea. Journal of Comparative Policy Analysis: Research and Practice(2019), Is South Korea as leftist as it gets? Labour market reforms under the Moon presidency(2019), Evaluation of a community d... 중산(中山)대학교 정부학과 부교수
연세대학교 사회복지학박사
논문: Measuring Social Policy Change in Comparative Research:
Survey Data Evidence from South Korea. Journal of Comparative
Policy Analysis: Research and Practice(2019), Is South Korea as leftist
as it gets? Labour market reforms under the Moon presidency(2019),
Evaluation of a community development program in Nepal. A
Propensity Score Analysis(2018)
공저: Welfare Reform and Social Investment Policy in Europe and East
Asia(2021).
저 : 손정욱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연구위원 서울대학교 정치학 박사 논문: Dynamic Services, District Magnitude, and the Trilemma of the Service Economy (2020), Welfare States with Work: Government Partisanship and Policy Responsiveness in the Netherlands(2020), The Effect of Partisan Identity on Individual’s Economic and Political Attitudes: An Empirical An...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연구위원
서울대학교 정치학 박사
논문: Dynamic Services, District Magnitude, and the Trilemma of
the Service Economy (2020), Welfare States with Work: Government
Partisanship and Policy Responsiveness in the Netherlands(2020),
The Effect of Partisan Identity on Individual’s Economic and Political
Attitudes: An Empirical Analysis on South Korea Case(2020).
저 : 김영필
국회 고성연수원 교수 일본 가나자와(金.)대학교 법학박사 후발산업국 일본의 복지국가 전략(2006), 일본의 고령화와 ‘복지사회’로 의 이행(2008). 역서: 실버 데모크라시-고령화 시대의 새로 쓰는 정치학(2006). 국회 고성연수원 교수
일본 가나자와(金.)대학교 법학박사
후발산업국 일본의 복지국가 전략(2006), 일본의 고령화와 ‘복지사회’로
의 이행(2008).
역서: 실버 데모크라시-고령화 시대의 새로 쓰는 정치학(2006).
저 : 임유진
강원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조교수 연세대학교 정치학 박사 논문: 복지와 세대 갈등의 상관성에 대한 비판적 검토(2021), 한국 경제민주 화의 성과와 한계(2020), 국제기구의 청년 담론과 한국의 청년 정책(2020) 공저: Historical Evolution of the Welfare Mix in Colonial Korea(2019). 강원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조교수
연세대학교 정치학 박사
논문: 복지와 세대 갈등의 상관성에 대한 비판적 검토(2021), 한국 경제민주
화의 성과와 한계(2020), 국제기구의 청년 담론과 한국의 청년 정책(2020)
공저: Historical Evolution of the Welfare Mix in Colonial Korea(2019).
편 : 은민수
정치학자, 사회복지학자 전 경기대학교 교수 전 한국복지국가연구회 회장 현 고려대학교(세종) 공공정책대학 학술연구교수 정치학자, 사회복지학자
전 경기대학교 교수
전 한국복지국가연구회 회장
현 고려대학교(세종) 공공정책대학 학술연구교수
편 : 박성호
연세대학교 미래 캠퍼스 교수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정 치학 박사 논문: Capital Taxation in Japan and South Korea, the 1990s.2010s: Similar Outcomes, Different Trajectories(2020), Tax Burdens in Japan and South Korea: Measurement Using Average Effective Tax Rates(2020), Wage Moderation in the Public Sector:... 연세대학교 미래 캠퍼스 교수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정
치학 박사
논문: Capital Taxation in Japan and South Korea, the 1990s.2010s:
Similar Outcomes, Different Trajectories(2020), Tax Burdens in
Japan and South Korea: Measurement Using Average Effective Tax
Rates(2020), Wage Moderation in the Public Sector: The Experiences of
11 EMU Countries in the Recent Economic Crisis, 2008-2010(2015).
편 : 연성건
역 : 송찬문
1956년 태어나 20여 년간 금융기관에 근무하면서 밤에는 대학에서 중국어를 공부했다. 1990년 대만 담강대에서 어학연수를 마치고, 이듬해인 1991년 대만경제연구원과 대북시은행에서 대만경제와 은행 제도를 연구하였다. 1997년 중국 각지를 여행한 후 2000년 남학연구회(南學硏究會)를 창설하였다. 현재는 서울 인사동에서 유마서원을 개원하여 21세기 한자 문화 교육과 한자 교육을 위한 한문 교재를 꾸준히 개발하고 있다. 1956년 태어나 20여 년간 금융기관에 근무하면서 밤에는 대학에서 중국어를 공부했다. 1990년 대만 담강대에서 어학연수를 마치고, 이듬해인 1991년 대만경제연구원과 대북시은행에서 대만경제와 은행 제도를 연구하였다. 1997년 중국 각지를 여행한 후 2000년 남학연구회(南學硏究會)를 창설하였다. 현재는 서울 인사동에서 유마서원을 개원하여 21세기 한자 문화 교육과 한자 교육을 위한 한문 교재를 꾸준히 개발하고 있다.
기획 : 한국복지국가연구회
한국복지국가연구회는 2001년 한국 복지국가의 가능성을 확신한 정치학자, 사회학자, 사회복지학자들이 결성한 연구단체이다. 복지와 관련한 다양한 문제를 정치경제학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대안을 제시함으로써 한국 복지국가 발전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결성 초기부터 현재까지 매월 한 차례씩 월례 세미나를 개최하여 복지국가의 길을 연구해왔다. 한국복지국가연구회는 2001년 한국 복지국가의 가능성을 확신한 정치학자, 사회학자, 사회복지학자들이 결성한 연구단체이다. 복지와 관련한 다양한 문제를 정치경제학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대안을 제시함으로써 한국 복지국가 발전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결성 초기부터 현재까지 매월 한 차례씩 월례 세미나를 개최하여 복지국가의 길을 연구해왔다.

한줄평 (0건)

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