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이노 저
임솔아 저
애나 렘키 저/김두완 역
로랑스 드빌레르 저/이주영 역
천선란 저
백온유 저
역사를 움직인 위대한 사람들
<세계사를 움직인 100인>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역사에 이름을 남긴 위대한 인물 100인을 간추린 책이다. 책에 먼저 소개되는 동양의 인물을 살펴보면 통치자나 종교인, 유학자에서 시인, 사상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인물들이 포진해 있다. 특히 통일제국을 완성하고 문물을 정비했던 중국의 여러 왕들이 비중 있게 소개되고 있다. 혼란한 시기에 태어나 갖은 수를 다해 정적을 무찌르고 왕위에 올라 위대한 업적을 쌓은 그들은 광활한 중국대륙을 아주 이상적인 방법으로 통치했으니 100인에 소개되는 것도 이상한 일은 아니다.
중국과 일본, 인도의 여러 인물들이 동양의 위대한 사람들에 이름을 올렸지만 아쉽게도 그 속에서 한국인은 찾을 수 없었다. 정녕 우리는 세계 역사의 흐름에 조금의 영향도 끼치지 않은 걸까? 한글을 만든 세종, 무패를 자랑한 이순신,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한 안중근 정도는 당당히 세계사에 이름을 올려도 되지 않을까? 세계 최초의 금속활자를 만들어 지식의 무한 확장과 계급사회의 붕괴를 촉발한 것도 다름 아닌 우리인데 세계사의 한 켠에 그 이름을 올리는 데에 너무 인색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든다.
한편으로는 뚜렷한 기준 없이 기존의 세계사에서 잘 언급되지 않았던 단 몇몇 인물만을 새로이 추가해서 ‘세계사를 움직인 100인’이라는 다소 상업적인 타이틀을 정하지 않았나 싶다. 정치사, 사상사, 미술사, 음악사 등등의 개별 역사에서 왜 꼭 이 100인 나오게 됐는지, 그들이 어떤 힘을 발휘해 세계사를 움직이게 했는지에 관해서 좀 더 밀도 있는 접근이 필요해 보인다. 그런 게 없다면 이 책의 의미는 단순히 역사에 등장한 ’영향력 있는 인물들의 나열’에 그치고 말 것이기 때문이다.
더불어 아틸라나 막사이사이처럼 세계사에 괄목할만한 영향을 끼친 인물들의 누락에 관해서도 한 번 생각해 볼 일이다. 세계사를 움직인 100인을 추리는 건 아주 어려운 일임에 분명하지만 ‘세계사를 움직일 만큼’의 영향력 있었던 인물들을 등장시키는 시도라면 각 인물들의 어떤 점이 세상을 움직일만한 힘이 있었는지에 관해서 공통적인 답을 주어야 했다고 생각한다. 그렇지 않고서야 이 사람들을 세계사를 움직인 100인이라 부르기 마땅찮을 테니까 말이다.
한 권에 모든 걸 집약해 놓은 책들이 늘 그러하듯 이 책 역시 한계점이 많은 책이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이 책을 통해 세계사 전반에 관심을 갖게 되고, 언급된 인물들에 관해서 구체적으로 알고 싶은 욕구를 느끼게 된다는 장점도 지니고 있다. 특히 다른 세계사 책에서 좀처럼 찾아 볼 수 없었던 텐진 가쵸, 시몬 볼리바르, 블라드 3세와 같은 인물들과 만남으로써 어두웠던 세계사의 영역이 환하게 확장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주기도 한다.
<세계사를 움직인 100인>, 이 한 권의 책으로 세계사 전반을 이해하는 건 어렵겠지만 세계사의 한 길목에서 화려한 업적과 명성을 쌓고, 수대에 그 이름을 널리 떨친 위대한 인물들과 만나 그들이 활약한 역사와 만날 수 있다. 그들은 사상가이거나 예술가 혹은 정치가 일수도 있으며 자신의 조국은 물론 주변의 여러 국가들, 나아가 시대를 관통하는 영향력을 가졌다. 따라서 우리는 그들이 수놓은 역사를 통해 세계사를 움직이는 다양한 능력과 힘에 한번쯤 생각해 볼 수 있다.
분명한 것은 그들 모두가 아주 다양한 방식으로 세계를 향해 영향력을 발휘했다는 것이다. 예술성과 통치력, 종교적인 이념과 혁명정신, 실험적인 노력과 과학적인 연구에 이르기까지 그들은 자신이 주력할 분야를 찾아내고, 부단히 노력해 후대에도 인정받을 능력을 키워냈다. 게다가 그 능력은 역사를 움직일 정도로 뛰어났으니 그들을 가리켜 ‘위인’이라 불러도 무방할 것이다. 세계사를 움직인 과거의 그들처럼 오늘의 역사는 또 누구에 의해 움직이고 있는지 사뭇 궁금해진다.
제목이 멋있당.. 세계역사를 움직인 위대한 인물 100을 선정한것 같아~~ㅋㅋ
600페이지가 넘는당~~ 동양과 서양으로 나뉘어져 있는뎅~
개인적으로 걍 섞었으면 하는 바램도 있당;; 서양사가 더 잼나서;;섞어보면 좀 덜 지루하지 않을까 하는 나만의 생각이..ㅋㅋ
암튼 고대, 중세, 근대, 현대로 나뉘어지는..
근데 흔히 보는 위인전모아놓은 듯한 것은 아니다~
다들 이름은 한번 들어봤음직한 유명인물들 또 못들어본 인불도 있어서 더 관심이 간다~
여기나온이는 단순히 그나라의 인물뿐만 아니라 세계적(?) 음.. 적어도 여러나라에 영향을 끼친 인물들이닷~
멋있땅..ㅎㅎ
동양의 고대는 석가모니부터 서양의 고대는 람세스부터 ~~
동양의 현대는 아웅 산 수치, 서양의 현대는 사담후세인..-_-
역쉬 이책의 현대라함은 참 최근을 말해서 좋당;;
솔직히 난 학교에서의 배운 짧은 근현대사까지밖에의 인물만 아는뎅.. 오홋.. 동서양의 근현대사 인물은 유명해서 듣고보고는 했지만
이케 100인에 선정되어 나온것은 첨 봤당..ㅎㅎㅎ
근데 책의 제본상태가 두꺼워서 그런지;; 페이지를 넘겨서 쫙펴면 윗부분이 찢어진다는;;;
요건 풀칠이 좀 느슨한 책이 걸린건가..ㅠㅠ
아.. 이책의 중요포인트~~
인물뒤에 그 인물과 관련된 그나라 상황이라던지 관련 인물 아니면 그 인물의 Behind Story같은 읽을거리 소스가 있어서
더 즐겁게 읽을수 있었당~~
100명의 위대한 인물들을 간략하고 정확하고 재밌게 만나고 왔음^-^!
역사라 하면 사전에서 쉽게 찾아 볼 수 있듯이 ‘인간이 거쳐 온 모습이나 인간의 행위로 일어난 사실이나 그 사실에 대한 기록’을 말한다. 지난 세월 동안 헤아릴 수 없는 많은 사람이 살았고, 지금도 엄청난 수의 사람이 이 세상에 살아 숨 쉬고 있다. 한 사람이 평생 동안에 할 수 있는 일이 한 가지라 가정하더라도 그들의 행위는 셀 수 없다. 하지만 사람이라는 동물이 하는 일은 하루에도 얼마나 다양하고 많은가. 이렇게 많은 행동과 사건들 중 인고에 회자될 만한 일을 행한 사람 100인을 꼽아 엮은 책이 바로 <세계사를 움직인 100인>이다.
책은 크게 동양과 서양으로 나뉘어져 있다. 그리고 각각의 장은 다시 시대별로 고대, 중세, 근대, 현대로 나뉘어 서사적 구성을 취하고 있다. 동양은 ‘석가모니’부터 ‘아웅 산 수 치’까지 서양은 ‘람세스 3세’부터 ‘사담 후세인’까지 소개하고 있다. 소개하는 각각의 인물들은 인고에 회자될 업적을 남긴 사람들이라 수권의 책으로 소개해도 모자람이 없다. 그래서 640페이지라는 적지 않은 두께에도 만족감이 들지 않는 독자가 있다면 이는 당연한 일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서문에서도 엮은이가 분명히 밝혔듯이 이 책의 목적은 각각의 인물에 대한 정보를 샅샅이 파헤쳐 보자는 게 아니다.
「 이 책을 읽게 될 독자들이 다양한 인물들의 생애를 통해 각국의 역사와 세계사적인 흐름에 대해 더 많은 것을 알게 되고, 또 더 자세히 알아보고 싶은 위인을 가지게 된다면 그만 한 기쁨이 없을 것 같다. 」
어디까지나 간단한 소개를 해 주는 것일 뿐 더 자세히 알아보는 것은 책을 읽은 뒤 독자에게 맡긴다는 메시지를 명확히 해 놓았으므로 자세한 사례나 설명이 부족하다는 평은 엮은이에게 실망감만 주는 게 아닐까?
현대사회는 이전에 비해 일의 다양함이나 방대함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 ‘지금’에 집중만 하더라도 시간이 부족하다. 하지만 현재를 좀 더 잘 알고 바른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는 혜안에 도움을 주는 것이 역사이고 과거이다. 그럼에도 수능에서도 국사가 선택과목으로 바뀌고 각종 시험에서도 ‘국사’라는 항목이 필수에서 제외 되는 모습은 참 안타깝다.
그리 어렵지 않은 수준의 책인 <세계사를 움직인 100인>이라면 여태껏 관심이 없던 사람에게는 역사라는 분야에 대해 흥미를 붙여 줄 수 있을 것이고, 역사를 좋아하던 사람에게는 이미 알고 있는 지식에 살을 보태고 체계를 잡아 정리해주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