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분야 전체
크레마클럽 허브

융합의 시대 : 공공 언어, 공적 리터러시

박영순,윤신원,임진숙,김윤경,송현주 저 외 14명 정보 더 보기/감추기 | 한국문화사 | 2022년 7월 30일 리뷰 총점 0.0 (0건)정보 더 보기/감추기
  •  종이책 리뷰 (0건)
  •  eBook 리뷰 (0건)
  •  종이책 한줄평 (0건)
  •  eBook 한줄평 (0건)
분야
대학교재 > 사회계열
파일정보
PDF(DRM) 7.88MB
지원기기
크레마 PC(윈도우 - 4K 모니터 미지원) 아이폰 아이패드 안드로이드폰 안드로이드패드 전자책단말기(저사양 기기 사용 불가) PC(Mac)
이용안내
TTS 가능 TTS 안내

융합의 시대 : 공공 언어, 공적 리터러시

책 소개

저자 소개 (19명)

저 : 박영순
중국 푸단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국민대학교 중국인문사회연구소 HK교수이다. 최근 주로 고대 문인집단, 지식 교류와 수용, 문학의 지리학, 유민문학과 유배문학 등을 연구하고 있다. 중국 푸단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국민대학교 중국인문사회연구소 HK교수이다. 최근 주로 고대 문인집단, 지식 교류와 수용, 문학의 지리학, 유민문학과 유배문학 등을 연구하고 있다.
저 : 윤신원
가톨릭대학교에서 독서학과 국어국문학을 공부했습니다. 현재는 경기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아동 독서와 디지털 문해력에 대한 연구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인문콘텐츠의 교육적 활용》, 《대중매체 언어 읽기》 등의 책을 썼습니다. 가톨릭대학교에서 독서학과 국어국문학을 공부했습니다. 현재는 경기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아동 독서와 디지털 문해력에 대한 연구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인문콘텐츠의 교육적 활용》, 《대중매체 언어 읽기》 등의 책을 썼습니다.
저 : 임진숙
부산외국어대학교에서 한국어교육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부산외국어대학교 한국어문화학부 교수로 재직중이다. 공저로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수법』, 『표준 한국어 1~6』 등이 있다. 쓰기 논문 다수와 「한국어 교육에서 부정 의미 ‘말다’ 반복구성에 대한 연구」, 「한국어 교육에서 이유 표현 ‘(으)로 인하여’, ‘(으)로 말미암아’ 연구: 조사·불완전 용언 활용형 결합의 복합 형태의 관점에서」, 「한국어 교육에서 명사 후치 표현에 대한 연구: 동사적 구성을 중심으로」, 「종결기능 연결어미 ‘(으)ㄴ/는데’의 연구: 한국어능력시험 듣기 텍스트를 중심으로」, 「한국어 교육에서 복합... 부산외국어대학교에서 한국어교육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부산외국어대학교 한국어문화학부 교수로 재직중이다. 공저로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수법』, 『표준 한국어 1~6』 등이 있다. 쓰기 논문 다수와 「한국어 교육에서 부정 의미 ‘말다’ 반복구성에 대한 연구」, 「한국어 교육에서 이유 표현 ‘(으)로 인하여’, ‘(으)로 말미암아’ 연구: 조사·불완전 용언 활용형 결합의 복합 형태의 관점에서」, 「한국어 교육에서 명사 후치 표현에 대한 연구: 동사적 구성을 중심으로」, 「종결기능 연결어미 ‘(으)ㄴ/는데’의 연구: 한국어능력시험 듣기 텍스트를 중심으로」, 「한국어 교육에서 복합 형태 ‘에 대해(서)’, ‘에 대한’의 연구」의 문법 연구와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을 적용한 시사 한국어 수업 사례 연구: 플립러닝과 PBL의 절충교수법을 중심으로」, 「FonF와 PBL의 절충적 문법 수업 사례 연구」 등의 수업 사례 연구 등이 있다.
저 : 김윤경
동국대학교에서 국어국문학을 전공하고 같은 대학에서 현대문학 소설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동국대학교 다르마칼리지에서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1950~1960년대 독자사회학 분야에 관심을 갖고 대중독자 시대의 글쓰기와 독서의 문화적 의미를 연구하고 있다. 공저로 《미국과 아시아: 1950년대 세계성의 심상지리》, 논문으로 〈1950~60년대 펄벅 수용과 미국〉, 〈1950년대 미국문명의 인식과 교양여성담론: 여성독자의 글쓰기를 중심으로〉, 〈1950년대 근대 가족담론의 소설적 재현양상〉 등이 있다. 동국대학교에서 국어국문학을 전공하고 같은 대학에서 현대문학 소설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동국대학교 다르마칼리지에서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1950~1960년대 독자사회학 분야에 관심을 갖고 대중독자 시대의 글쓰기와 독서의 문화적 의미를 연구하고 있다. 공저로 《미국과 아시아: 1950년대 세계성의 심상지리》, 논문으로 〈1950~60년대 펄벅 수용과 미국〉, 〈1950년대 미국문명의 인식과 교양여성담론: 여성독자의 글쓰기를 중심으로〉, 〈1950년대 근대 가족담론의 소설적 재현양상〉 등이 있다.
저 : 송현주
경북대학교 문학박사(국어의미론 전공) 경북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경북대학교 문학박사(국어의미론 전공)
경북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저 : 윤효승
서울대학교 문학석사(노어노문학 전공) 부산대학교 박사과정(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전공) 서울대학교 문학석사(노어노문학 전공)
부산대학교 박사과정(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전공)
저 : 김이은
건국대학교 박사(문화콘텐츠 전공) 한양대학교 동양문화학과 교수 건국대학교 박사(문화콘텐츠 전공)
한양대학교 동양문화학과 교수
저 : 김상훈
상명대학교 교육학 박사수료(한국어교육 전공) 상명대학교 기획조정처 전략평가팀 과장 상명대학교 교육학 박사수료(한국어교육 전공)
상명대학교 기획조정처 전략평가팀 과장
저 : 임은영
동신대학교 문학박사(한국어교육 전공) 동신대학교 한국어교육학과 교수 동신대학교 문학박사(한국어교육 전공)
동신대학교 한국어교육학과 교수
저 : 이미혜
이화여자대학교 문학박사(국어국문학 전공)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수 이화여자대학교 문학박사(국어국문학 전공)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수
저 : 김의숙
숙명여자대학교 박사수료(국제한국어교육 전공) 단국대학교 자유교양대학 교수 숙명여자대학교 박사수료(국제한국어교육 전공)
단국대학교 자유교양대학 교수
저 : 김윤정
덕성여자대학교 차미리사교양대학 조교수다.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교육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웅진식품, CJ 제일제당에서 브랜드 마케팅을 담당했다(1999∼2008). 이화여대, 중앙대, 경인교대, 춘천교대 등에서 교사 화법, 커뮤니케이션, 국어 교육 관련 강의를 진행했고, 현재는 덕성여대에 재직하면서 대학글쓰기, 커뮤니케이션 강의를 진행하고 화법 교육 관련 다양한 연구를 하고 있다. 주요 저서(공저 포함)로 『말이 바뀌면 삶이 바뀐다』(2018), 『화법 교수학습 모형』(2017), 『사이버 의사소통과 국어교육』(2018) 등이 있다. “AI 면접을 대비하기 위한 화법 교육 방안”... 덕성여자대학교 차미리사교양대학 조교수다.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교육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웅진식품, CJ 제일제당에서 브랜드 마케팅을 담당했다(1999∼2008). 이화여대, 중앙대, 경인교대, 춘천교대 등에서 교사 화법, 커뮤니케이션, 국어 교육 관련 강의를 진행했고, 현재는 덕성여대에 재직하면서 대학글쓰기, 커뮤니케이션 강의를 진행하고 화법 교육 관련 다양한 연구를 하고 있다. 주요 저서(공저 포함)로 『말이 바뀌면 삶이 바뀐다』(2018), 『화법 교수학습 모형』(2017), 『사이버 의사소통과 국어교육』(2018) 등이 있다. “AI 면접을 대비하기 위한 화법 교육 방안”(2021). “대학 교양교육으로서 디지털 의사소통 연구: 유튜브 채널의 크리에이터 화법 분석을 기반으로”(2022), “대학생 인식 조사에 기반한 AI 면접 교육 범주 및 내용 연구”(2022), “교사의 준언어·비언어 의사소통 교육 연구: 교수자와 학습자 인식 분석과 AI 면접 시스템 활용을 중심으로”(2024) 등 디지털 의사소통, 매체 활용 화법 교육에 관한 다수의 논문을 게재했다.
저 : 이민경
이화여자대학교 석사과정(한국어교육 전공) 이화여자대학교 석사과정(한국어교육 전공)
저 : 김혜진
서울대학교 교육학박사(한국어교육 전공) 성균관대학교 학부대학 초빙교수 서울대학교 교육학박사(한국어교육 전공)
성균관대학교 학부대학 초빙교수
저 : 이양금
부산외국어대학교 교육학박사(한국어교육 전공) 부산외국어대학교 국제학부 초빙교수 부산외국어대학교 교육학박사(한국어교육 전공)
부산외국어대학교 국제학부 초빙교수
저 : 문혜영
연세대학교 석사과정(한국어교육 전공) 연세대학교 석사과정(한국어교육 전공)
저 : 정지은
한국외국어대학교 문학박사(한국어교육 전공) 한동대학교 글로벌한국학 교수 한국외국어대학교 문학박사(한국어교육 전공)
한동대학교 글로벌한국학 교수
저 : 이효진
연세대학교 석사과정(한국어교육 전공) 연세대학교 석사과정(한국어교육 전공)
저 : 정하길
연세대학교 석사과정(한국어교육 전공) 연세대학교 석사과정(한국어교육 전공)

한줄평 (0건)

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