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분야 전체
크레마클럽 허브

세븐 웨이브

팬데믹 이후, 대한민국 뉴노멀 트렌드를 이끌 7가지 거대한 물결

조동준,임동균,한소원,이준환,홍석철 저 외 2명 정보 더 보기/감추기 | 21세기북스 | 2022년 10월 14일 리뷰 총점 9.5 (31건)정보 더 보기/감추기
  •  종이책 리뷰 (29건)
  •  eBook 리뷰 (1건)
  •  종이책 한줄평 (0건)
  •  eBook 한줄평 (1건)
분야
사회 정치 > 사회학이해
파일정보
EPUB(DRM) 37.17MB
지원기기
크레마 PC(윈도우 - 4K 모니터 미지원) 아이폰 아이패드 안드로이드폰 안드로이드패드 전자책단말기(저사양 기기 사용 불가) PC(Mac)
이용안내
TTS 가능 TTS 안내

책 소개

목차

상세 이미지

상세 이미지

저자 소개 (7명)

저 : 조동준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펜실베니아주립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국제기구, 핵무기, 전쟁 등을 중심으로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정치 과제들을 연구하고 있다. 주요 논저로는 「코로나-19와 지구화의 변화」 (2020), 「신호이론으로 분석한 2013년 한반도 위기」 (2018) 등이 있다.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펜실베니아주립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국제기구, 핵무기, 전쟁 등을 중심으로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정치 과제들을 연구하고 있다. 주요 논저로는 「코로나-19와 지구화의 변화」 (2020), 「신호이론으로 분석한 2013년 한반도 위기」 (2018) 등이 있다.
저 : 임동균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서울대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하버드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를 마쳤다. 주요 연구 분야는 사회심리학이며 민주주의가 뿌리내릴 수 있는 사회심리적 토대와 메커니즘을 연구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플랫폼 사회가 온다: 디지털 플랫폼의 도전과 사회질서의 재편』 (공저, 2021), 『서울의 미래세대』 (공저, 2021), 『공정한 사회의 길을 묻다』 (공저, 2021) 등이 있다.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서울대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하버드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를 마쳤다. 주요 연구 분야는 사회심리학이며 민주주의가 뿌리내릴 수 있는 사회심리적 토대와 메커니즘을 연구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플랫폼 사회가 온다: 디지털 플랫폼의 도전과 사회질서의 재편』 (공저, 2021), 『서울의 미래세대』 (공저, 2021), 『공정한 사회의 길을 묻다』 (공저, 2021) 등이 있다.
저 : 한소원
서울대학교 심리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일리노이주립대학에서 인지심리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오클라호마주립대학 심리학과 교수로 10여 년간 연구하며 학생들을 지도한 뒤, 현재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인지과학과 인간공학심리학, 정서과학 등을 강의하고 있으며, 특히 뇌 가소성, 심리학과 인공지능, 인간-로봇 상호작용, 스마트 에이징 등을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하지만 학자로서의 삶 외에도 베이스기타 교습을 받고 교수합창단에서 노래를 부르고 예술활동과 운동을 즐기며 건강하게 살아가는 한 개인으로서의 삶 또한 치열하게 꾸려간다. 공부하고, 춤추고, 노래하는 삶……... 서울대학교 심리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일리노이주립대학에서 인지심리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오클라호마주립대학 심리학과 교수로 10여 년간 연구하며 학생들을 지도한 뒤, 현재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인지과학과 인간공학심리학, 정서과학 등을 강의하고 있으며, 특히 뇌 가소성, 심리학과 인공지능, 인간-로봇 상호작용, 스마트 에이징 등을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하지만 학자로서의 삶 외에도 베이스기타 교습을 받고 교수합창단에서 노래를 부르고 예술활동과 운동을 즐기며 건강하게 살아가는 한 개인으로서의 삶 또한 치열하게 꾸려간다. 공부하고, 춤추고, 노래하는 삶…… 이것이 곧 이 책에서 말하고자 하는 ‘뇌 가소성’의 해법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뇌 가소성은 어렵고 먼 주제가 아니라 모든 인간들이 공통적으로 소유하는 ‘내 몸과 삶’의 연결고리이다. 뇌는 고정되지 않고 죽기 직전까지 변한다는 사실, 즉 딱딱하게 굳지 않고 얼마든지 가변적이라는 뇌의 가소성을, 저자는 이 책에서 자신의 아주 개인적인 고백과 에피소드를 적용해가며 최대한 쉽고 친근하게 풀어준다.
저 : 이준환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 미국 카네기멜론대학 School of Computer Science에서 HCI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분야의 전문가다. 벤처창업과 IT와 콘텐츠 산업의 실무 경험을 가지고 있으며, Human-AI Interaction, 소셜컴퓨팅과 로봇저널리즘 분야의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저서로는 『호모마키나: 기계와 함께하는 인간의 미래』 (공저, 2020) 등이 있다.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 미국 카네기멜론대학 School of Computer Science에서 HCI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분야의 전문가다. 벤처창업과 IT와 콘텐츠 산업의 실무 경험을 가지고 있으며, Human-AI Interaction, 소셜컴퓨팅과 로봇저널리즘 분야의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저서로는 『호모마키나: 기계와 함께하는 인간의 미래』 (공저, 2020) 등이 있다.
저 : 홍석철
서울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서울대 경제학부를 졸업하고 시카고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를 마쳤다. 주요 연구 분야는 건강경제학이며 장기적인 관점에서 질병퇴치와 건강투자의 중요성을 연구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로버트 포겔 교수와 공저한 『변화하는 신체: 1700년 이후 서구 사회의 보건·영양·인간발달』 (공저, 2011)과 『정책의 시간』 (공저, 2021) 등이 있다. 서울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서울대 경제학부를 졸업하고 시카고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를 마쳤다. 주요 연구 분야는 건강경제학이며 장기적인 관점에서 질병퇴치와 건강투자의 중요성을 연구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로버트 포겔 교수와 공저한 『변화하는 신체: 1700년 이후 서구 사회의 보건·영양·인간발달』 (공저, 2011)과 『정책의 시간』 (공저, 2021) 등이 있다.
저 : 김수영 (金洙永)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서울대학교에서 언론정보학, 사회학, 사회복지학을 전공하고, 런던정치경제대학에서 사회정책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미래 사회의 디지털화와 개인화 양상을 주제로 연구하고 있다. 최근 논저로는 『디지털 시대의 사회복지 패러다임』 (2021), 「플랫폼 노동자가 경험하는 시공간 구조와 대응 전략」 (공저, 2022) 등이 있다.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서울대학교에서 언론정보학, 사회학, 사회복지학을 전공하고, 런던정치경제대학에서 사회정책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미래 사회의 디지털화와 개인화 양상을 주제로 연구하고 있다. 최근 논저로는 『디지털 시대의 사회복지 패러다임』 (2021), 「플랫폼 노동자가 경험하는 시공간 구조와 대응 전략」 (공저, 2022) 등이 있다.
저 : 이건학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를 졸업하고 미국 오하이오주립대학교 지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연구 분야는 지리정보시스템(GIS), 공간최적화 및 입지모델링, 공간 통계이며, 다양한 도시, 경제, 사회 이슈에 대한 지리공간적 분석을 수행하고 있다. 주요 저역서로는 『와이파이 공간과 모바일 정보 격차』 (2015), 『지리학 연구방법론』 (공역, 2022), 『지도학과 지리적 시각화』 (공역, 2014) 등이 있다.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를 졸업하고 미국 오하이오주립대학교 지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연구 분야는 지리정보시스템(GIS), 공간최적화 및 입지모델링, 공간 통계이며, 다양한 도시, 경제, 사회 이슈에 대한 지리공간적 분석을 수행하고 있다. 주요 저역서로는 『와이파이 공간과 모바일 정보 격차』 (2015), 『지리학 연구방법론』 (공역, 2022), 『지도학과 지리적 시각화』 (공역, 2014) 등이 있다.

출판사 리뷰

회원 리뷰 (30건)

한줄평 (1건)

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