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분야 전체
크레마클럽 허브
분야
대학교재 > 인문계열
파일정보
PDF(DRM) 17.93MB
지원기기
크레마 PC(윈도우 - 4K 모니터 미지원) 아이폰 아이패드 안드로이드폰 안드로이드패드 전자책단말기(저사양 기기 사용 불가) PC(Mac)
이용안내
TTS 가능 TTS 안내

책 소개

저자 소개 (17명)

저 : 류수열
한양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및 동 대학원 국어교육학 박사과정을 졸업하였다. 대표 논저로는 『문학교육을 위한 고전시가작품론』(사회평론아카데미, 공저), 『청소년을 위한 고전소설 에세이』(해냄), 『문학교육개론 Ⅱ』(역락, 공저), 「수능 국어 영역에 대한 비판적 점검과 발전적 방향 모색─수능 평가의 본질 회복을 향하여」 외 다수가 있다. 한양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및 동 대학원 국어교육학 박사과정을 졸업하였다. 대표 논저로는 『문학교육을 위한 고전시가작품론』(사회평론아카데미, 공저), 『청소년을 위한 고전소설 에세이』(해냄), 『문학교육개론 Ⅱ』(역락, 공저), 「수능 국어 영역에 대한 비판적 점검과 발전적 방향 모색─수능 평가의 본질 회복을 향하여」 외 다수가 있다.
저 : 조은상
건국대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문학치료학으로 석, 박사과정을 마쳤다. 박사과정 재학 중 임상활동과 그것의 구체적 방법론에 대한 필요성을 느껴 상담심리 공부를 시작했으며 단국대 대학원에서 상담심리전공 박사 과정을 수료하였다. 현재 임상과 연구를 병행하고 있으며 상담 심리사(2급), 문학치료전문가(2급)이다. 논저로는 「‘기(奇)’자 평어와 관련된 한시의 특성과 문학치료적 효과에 대한 연구」, 「사설시조에 나타난 애정의 정신분석학적 의미와 윤리적 기여」, 「삼강행실도와 효자전에 나타난 자기파괴적 효행의 심리」, 「‘효(孝)’의 심리적 특성; ‘분리-개별화’와의 관... 건국대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문학치료학으로 석, 박사과정을 마쳤다. 박사과정 재학 중 임상활동과 그것의 구체적 방법론에 대한 필요성을 느껴 상담심리 공부를 시작했으며 단국대 대학원에서 상담심리전공 박사 과정을 수료하였다. 현재 임상과 연구를 병행하고 있으며 상담 심리사(2급), 문학치료전문가(2급)이다.
논저로는 「‘기(奇)’자 평어와 관련된 한시의 특성과 문학치료적 효과에 대한 연구」, 「사설시조에 나타난 애정의 정신분석학적 의미와 윤리적 기여」, 「삼강행실도와 효자전에 나타난 자기파괴적 효행의 심리」, 「‘효(孝)’의 심리적 특성; ‘분리-개별화’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설화 <새끼 서 발>에 나타난 과장과 허언의 심리적 의미와 효용」 등의 논문과 『우울성향과 문학치료』, 『옛이야기와 문학치료』의 저서가 있다.
단국대, 원광대 등에서 강의하였으며 현재 건국대, 서울시립대에서 문학과 심리학, 문학치료에 대한 강의로 학생들을 만나고 있다.
저 : 최귀묵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 주요 저서로 『베트남문학의 이해』(창비, 2010), 『김시습 조동오위요해(曹洞五位要解)의 역주 연구』(소명출판, 2006), 『(베트남 고전소설 대표작) 취교전(翠翹傳)』(소명출판, 2004), 『김시습의 사상과 글쓰기』(소명출판, 2001), 『고전산문교육의 이론』(집문당, 2000) 등이 있다.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 주요 저서로 『베트남문학의 이해』(창비, 2010), 『김시습 조동오위요해(曹洞五位要解)의 역주 연구』(소명출판, 2006), 『(베트남 고전소설 대표작) 취교전(翠翹傳)』(소명출판, 2004), 『김시습의 사상과 글쓰기』(소명출판, 2001), 『고전산문교육의 이론』(집문당, 2000) 등이 있다.
저 : 주재우
전북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박사학위를 받았다. 논저로 「남북한 초등학교 쓰기교육 내용 비교」(2017, 공저), 「고전 속 도덕적 딜레마를 활용한 논술교육 연구」(2017), 『고전을 활용한 글쓰기교육』(2013) 등이 있다. 전북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박사학위를 받았다. 논저로 「남북한 초등학교 쓰기교육 내용 비교」(2017, 공저), 「고전 속 도덕적 딜레마를 활용한 논술교육 연구」(2017), 『고전을 활용한 글쓰기교육』(2013) 등이 있다.
저 : 염은열
청주교육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문학교육연구자이자 인문학자로서 공부를 시작했으며, 수업비평과 읽기 따라잡기를 만나면서 많은 것을 새로 공부하고 배웠다. 지금은 학교 현장과 교사들의 의미 있는 도전에 고무되어 내가 서 있는 이 자리에서 무엇을 할 것인지, 어떻게 연대할 것인지 깊이 고민하고 있다. 저서로는 『독서교육의 이론과 실천』(공저), 『문학교육을 위한 고전시가작품론』(공저), 『유배, 그 무섭고도 특별한 여행』, 『문학교육개론 1』(공저), 『고전문학의 교육적 발견』 등이 있다. 청주교육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문학교육연구자이자 인문학자로서 공부를 시작했으며, 수업비평과 읽기 따라잡기를 만나면서 많은 것을 새로 공부하고 배웠다. 지금은 학교 현장과 교사들의 의미 있는 도전에 고무되어 내가 서 있는 이 자리에서 무엇을 할 것인지, 어떻게 연대할 것인지 깊이 고민하고 있다. 저서로는 『독서교육의 이론과 실천』(공저), 『문학교육을 위한 고전시가작품론』(공저), 『유배, 그 무섭고도 특별한 여행』, 『문학교육개론 1』(공저), 『고전문학의 교육적 발견』 등이 있다.
저 : 정충권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및 동 대학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였으며 현재 충북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판소리 문학을 중심으로 하여 고전소설과 구비문학을 함께 연구하고 있다. 제1회 판소리학술상과 제10회 성산학술상을 수상한 바 있다.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및 동 대학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였으며 현재 충북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판소리 문학을 중심으로 하여 고전소설과 구비문학을 함께 연구하고 있다. 제1회 판소리학술상과 제10회 성산학술상을 수상한 바 있다.
저 : 김기완
연세대학교 강사. 연세대학교 강사.
저 : 박경주
원광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원광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저 : 서영숙
한남대학교 국어교육과 한남대학교 국어교육과
저 : 손태도
서울대 사범대 국어교육과 졸업 서울대 인문대 국어국문학과 석?박사 (서울대) 한국문화연구소 연구원 한국예술종합학교 객원교수 (전)호서대학교 교수 전자우편: sontaedo@hanmail.net 저서: <광대 집단의 문화 연구 광대의 가창 문화> ; 2004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전통 구비문학과 근대 공연예술> Ⅰ?Ⅱ?Ⅲ(공저) ; 2008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우리 무형문화재의 현장에 서서> ; 2009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한국의 전통극, 그 새로운 연구로의 초대> ; 2014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고전문학... 서울대 사범대 국어교육과 졸업
서울대 인문대 국어국문학과 석?박사
(서울대) 한국문화연구소 연구원
한국예술종합학교 객원교수
(전)호서대학교 교수

전자우편: sontaedo@hanmail.net

저서:
<광대 집단의 문화 연구 광대의 가창 문화>
; 2004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전통 구비문학과 근대 공연예술> Ⅰ?Ⅱ?Ⅲ(공저)
; 2008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우리 무형문화재의 현장에 서서>
; 2009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한국의 전통극, 그 새로운 연구로의 초대>
; 2014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고전문학의 향유와 교육>(공저)
; 2022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외
저 : 조하연
아주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아주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저 : 조희정
조선대학교 국어교육과 조선대학교 국어교육과
저 : 하윤섭
충북대학교 국어교육과 충북대학교 국어교육과
저 : 하은하
서울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서울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저 : 서보영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대학원(석사 및 박사)을 졸업했다. 서울대학교 BK21+ 선임연구원 및 서울대, 수원대, 서울여대, 한국외대, 국민대 강사를 거쳐 현재는 선문대학교 교양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내가 재미있으니 남들도 함께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으로 고전소설, 판소리, 창작, 문화콘텐츠 등의 연구를 하고 있다. 저서로는 『논술세대를 위한 우리고전문학 강의 : 임진록』, 『한국고소설의 문화적 전변과 위상』, 『창의적 사고와 글쓰기』, 『테크니컬 라이팅』, 『학문 기초 읽기』, 『고전문학의 향유와 교육』, 『세상과 만나는 책읽기』, 『키워드로 ...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대학원(석사 및 박사)을 졸업했다. 서울대학교 BK21+ 선임연구원 및 서울대, 수원대, 서울여대, 한국외대, 국민대 강사를 거쳐 현재는 선문대학교 교양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내가 재미있으니 남들도 함께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으로 고전소설, 판소리, 창작, 문화콘텐츠 등의 연구를 하고 있다.

저서로는 『논술세대를 위한 우리고전문학 강의 : 임진록』, 『한국고소설의 문화적 전변과 위상』, 『창의적 사고와 글쓰기』, 『테크니컬 라이팅』, 『학문 기초 읽기』, 『고전문학의 향유와 교육』, 『세상과 만나는 책읽기』, 『키워드로 열어보는 고전문학교육』, 『질문으로 풀어내는 고전문학교육』, 『쉽게 읽는 고전소설 : 홍계월전?유충렬전』 등이 있다.
편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는 전신인 '청관고전문학회'로부터 시작하여 지금까지 30여 년 간을 한국고전문학과 고전문학교육의 발전을 위해 노력해 온 역사 깊은 학회이다.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는 전신인 '청관고전문학회'로부터 시작하여 지금까지 30여 년 간을 한국고전문학과 고전문학교육의 발전을 위해 노력해 온 역사 깊은 학회이다.

한줄평 (0건)

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