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분야 전체
크레마클럽 허브

OTT 트렌드 2023

유건식,노창희,한정훈 | 형설이엠제이 | 2022년 12월 16일 리뷰 총점 10.0 (2건)정보 더 보기/감추기
  •  종이책 리뷰 (0건)
  •  eBook 리뷰 (1건)
  •  종이책 한줄평 (0건)
  •  eBook 한줄평 (1건)
분야
경제 경영 > 경제
파일정보
PDF(DRM) 22.04MB
지원기기
크레마 PC(윈도우 - 4K 모니터 미지원) 아이폰 아이패드 안드로이드폰 안드로이드패드 전자책단말기(저사양 기기 사용 불가) PC(Mac)
이용안내
TTS 가능 TTS 안내

책 소개

목차

저자 소개 (3명)

저 : 유건식
현재 KBS에 재직하고 있으며, KBS사회봉사단 단장, 성균관대 미디어문화융합대학원 초빙교수, 문화체육관광부 리더스포럼 위원, 한국OTT포럼 부회장, [방송작가], [신문과 방송] 등에 기고 활동을 하고 있다. 주요 경력으로는 KBS America 대표, KBS 공영미디어연구소장, KBS 드라마국 팀장, KBSi 전략기획실장을 역임했다. 참여한 작품으로는 [성균관 스캔들](KBS2, 2010), [학교 2013](KBS2, 2012), [드림하이 2] (KBS, 2012) 등을 프로듀싱했고, [굿닥터]를 미국 ABC에서 리메이크([The Good Doctor]) 시켜 시즌7(20... 현재 KBS에 재직하고 있으며, KBS사회봉사단 단장, 성균관대 미디어문화융합대학원 초빙교수, 문화체육관광부 리더스포럼 위원, 한국OTT포럼 부회장, [방송작가], [신문과 방송] 등에 기고 활동을 하고 있다. 주요 경력으로는 KBS America 대표, KBS 공영미디어연구소장, KBS 드라마국 팀장, KBSi 전략기획실장을 역임했다. 참여한 작품으로는 [성균관 스캔들](KBS2, 2010), [학교 2013](KBS2, 2012), [드림하이 2] (KBS, 2012) 등을 프로듀싱했고, [굿닥터]를 미국 ABC에서 리메이크([The Good Doctor]) 시켜 시즌7(2017~2025)까지 프로듀서로 참여했다.

2015년 광운대에서 언론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미드와 한드, 무엇이 다른가』(2013, 세종도서 학술부분 선정), 『넷플릭소노믹스』(2019, 방송학회 학술상 저술 부문 수상), 『오징어 게임과 콘텐츠 혁명』(공저, 2022, 세종도서 학술부분 선정), 『한국 방송콘텐츠의 미래를 열다』(2018), 『넷플릭스 효과』(2020), 『넷플릭스, 한국 드라마 시장을 바꾸다』(2021), 『미디어 구독모델』(2021), 『OTT 서비스와 AI』(2024), 『남한산성을 걷다』(2022), 『여수, 마음껏 걸어보자』(2024), 『OTT 트렌드 2023~2025』(2022~2024), 『생성형 AI 시대, 리터리시와 시민성 증진 방안』(공저, 2025) 등의 저술이 있다.
저 : 노창희
디지털산업정책연구소에서 소장으로 근무하고 있다. 미디어 산업 전반, OTT 산업 및 정책, 콘텐츠·문화산업과 관련해서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있다. 문화적인 관점에서 OTT 산업의 변화와 이용자의 소비 행태에 대해 글을 쓰는 것에도 관심을 가지고 있다. 중앙대학교, 카이스트, 경희대학교 등에서 미디어산업, 문화산업, 미디어정책과 관련해서 강의했다. 한국대학신문에 미디어, 콘텐츠, 문화와 관련된 글을 기고하고 있다. 『스트리밍 이후의 플랫폼(스리체어스)』, 『코로나19 이후의 한류(공저, 한국문화교류진흥원)』, 『한류 생태계와 지속가능성(공저,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 『산... 디지털산업정책연구소에서 소장으로 근무하고 있다. 미디어 산업 전반, OTT 산업 및 정책, 콘텐츠·문화산업과 관련해서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있다. 문화적인 관점에서 OTT 산업의 변화와 이용자의 소비 행태에 대해 글을 쓰는 것에도 관심을 가지고 있다. 중앙대학교, 카이스트, 경희대학교 등에서 미디어산업, 문화산업, 미디어정책과 관련해서 강의했다. 한국대학신문에 미디어, 콘텐츠, 문화와 관련된 글을 기고하고 있다.

『스트리밍 이후의 플랫폼(스리체어스)』, 『코로나19 이후의 한류(공저, 한국문화교류진흥원)』, 『한류 생태계와 지속가능성(공저,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 『산업적 지속가능성을 위한 방송영상산업의 재구조화(공저, 시간의 물레)』 등의 책을 썼다. 한국방송학회 총무이사를 맡고 있으며, 학술행사를 중심으로 대한민국 OTT 산업 진흥을 위해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는 한국 OTT 포럼의 연구이사를 맡고 있다.
저 : 한정훈
엔터테크(Entertainment Technology) 분야 전문 뉴스미디어 & 스튜디오 ‘K-엔터테크허브’의 대표. 2003년 언론사 입사 후 22년간 미디어 정책, 산업, 뉴미디어 저널리즘, 콘텐트, 스트리밍 서비스 등을 연구하고 취재했다. 현재,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부가가치를 높이고 이용자들의 몰입도를 강화하는 기술인 엔터테크 분야를 중점적으로 취재·연구하는 ‘K-엔터테크허브’를 이끌고 있으며, 스트리밍·FAST·뉴스 미디어 포맷·크리에이터 이코노미·AI·메타버스 등에 관한 연구와 보도에 집중하고 있다. 2019년부터 1년간 미국 네바다주립대학교 레이놀즈 스쿨 방문 ... 엔터테크(Entertainment Technology) 분야 전문 뉴스미디어 & 스튜디오 ‘K-엔터테크허브’의 대표. 2003년 언론사 입사 후 22년간 미디어 정책, 산업, 뉴미디어 저널리즘, 콘텐트, 스트리밍 서비스 등을 연구하고 취재했다. 현재,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부가가치를 높이고 이용자들의 몰입도를 강화하는 기술인 엔터테크 분야를 중점적으로 취재·연구하는 ‘K-엔터테크허브’를 이끌고 있으며, 스트리밍·FAST·뉴스 미디어 포맷·크리에이터 이코노미·AI·메타버스 등에 관한 연구와 보도에 집중하고 있다.

2019년부터 1년간 미국 네바다주립대학교 레이놀즈 스쿨 방문 연구원으로 활동하던 당시, 스트리밍이 확산하는 순간을 포착한 책 《스트리밍 전쟁》을 펴냈고, 이후 팬데믹 기간에 크리에이터 이코노미의 급부상을 기록한 《넥스트 인플루언서》, 엔터테인먼트 산업 현황과 미래 전망을 담은 《AI 시대 엔터테인먼트의 미래》와 《글로벌 미디어 NOW》 시리즈를 출간했다.

회원 리뷰 (1건)

한줄평 (1건)

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