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대학교 교양교육원 초빙교수, 국립국어원 민족생활어 조사 연구원, 경북지역 내방가사 조사·DB 구축 사업 연구원,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구축사업의 <옛한글 OCR 데이터>사업 품질관리단 활동.
「남해안 어민들의 바람에 대한 인지 양상 연구」(2020), 「한국 목공 관련 어휘 연구」(2020), 「경상도 지역의 임신·출산 관련 어휘 연구 2」(2017), 『시어 방언사전』(2015) 등
안동대학교 교양교육원 초빙교수, 국립국어원 민족생활어 조사 연구원, 경북지역 내방가사 조사·DB 구축 사업 연구원,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구축사업의 <옛한글 OCR 데이터>사업 품질관리단 활동.
「남해안 어민들의 바람에 대한 인지 양상 연구」(2020), 「한국 목공 관련 어휘 연구」(2020), 「경상도 지역의 임신·출산 관련 어휘 연구 2」(2017), 『시어 방언사전』(2015) 등
경북 영양에서 태어나 안동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및 경북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였으며 현재 안동대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경상북도 한글문화·콘텐츠 산업육성 민간위원회 위원,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구축사업의 [옛한글 OCR 데이터] 사업단장을 역임 중이다. 「고성이씨 소장 해도교거사의 국어학적 가치」(2016), 「훈민정음 해례본 텍스트의 오류」(2019), 『증보 정음발달사』(2016), 『경북북부지역 방언사전』(2019), 『광흥사 초간본 월인석보21』(2019, 세종학술우수도서), 『광흥사 월인석보 권7 권8』(2019, 세종학...
경북 영양에서 태어나 안동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및 경북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였으며 현재 안동대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경상북도 한글문화·콘텐츠 산업육성 민간위원회 위원,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구축사업의 [옛한글 OCR 데이터] 사업단장을 역임 중이다. 「고성이씨 소장 해도교거사의 국어학적 가치」(2016), 「훈민정음 해례본 텍스트의 오류」(2019), 『증보 정음발달사』(2016), 『경북북부지역 방언사전』(2019), 『광흥사 초간본 월인석보21』(2019, 세종학술우수도서), 『광흥사 월인석보 권7 권8』(2019, 세종학술우수도서) 등을 펴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