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분야 전체
크레마클럽 허브

경기만의 어제와 오늘

윤명철,임영상,김순래,김갑곤,이정훈 저 외 7명 정보 더 보기/감추기 | 푸른길 | 2023년 6월 30일 리뷰 총점 0.0 (0건)정보 더 보기/감추기
  •  종이책 리뷰 (0건)
  •  eBook 리뷰 (0건)
  •  종이책 한줄평 (0건)
  •  eBook 한줄평 (0건)
분야
사회 정치 > 사회학산책
파일정보
PDF(DRM) 7.74MB
지원기기
크레마 PC(윈도우 - 4K 모니터 미지원) 아이폰 아이패드 안드로이드폰 안드로이드패드 전자책단말기(저사양 기기 사용 불가) PC(Mac)
이용안내
TTS 가능 TTS 안내

책 소개

목차

저자 소개 (12명)

저 : 윤명철 (尹明喆)
동국대학교 교수, 터키 국립 이스탄불대학교 객원교수로 재직했으며, 현재 동국대학교 명예교수, 우즈베키스탄 국립 사마르칸드대학교 교수다. 고구려연구회 부회장, 한민족학회 회장, 고조선단군학회 회장을 거쳐 현재 한국해양정책학회 부회장 등을 맡고 있다. 유튜브 <윤명철 교수의 역사대학> 운영 대한민국 근정포장 수상 동아일보 창립 90주년 ‘2020년 한국을 빛낼 100인’에 선정 연암문학상 대상(시), 봉암 역사학술상 등 수상 한민족의 정체성을 찾아 1982년부터 일본, 만주, 연해주, 바이칼, 알타이, 파미르 등 유라시아 세계의 현장을 지속적으로 조사해오고 있... 동국대학교 교수, 터키 국립 이스탄불대학교 객원교수로 재직했으며, 현재 동국대학교 명예교수, 우즈베키스탄 국립 사마르칸드대학교 교수다. 고구려연구회 부회장, 한민족학회 회장, 고조선단군학회 회장을 거쳐 현재 한국해양정책학회 부회장 등을 맡고 있다.

유튜브 <윤명철 교수의 역사대학> 운영
대한민국 근정포장 수상
동아일보 창립 90주년 ‘2020년 한국을 빛낼 100인’에 선정
연암문학상 대상(시), 봉암 역사학술상 등 수상

한민족의 정체성을 찾아 1982년부터 일본, 만주, 연해주, 바이칼, 알타이, 파미르 등 유라시아 세계의 현장을 지속적으로 조사해오고 있다.

『역사는 진보하는가』, 『동아지중해와 고대 일본』, 『고구려 해양사 연구』, 『광개토태왕과 한고려의 꿈』, 『장수왕 장보고 그들에게 길을 묻다』, 『단군신화, 또 하나의 해석』, 『윤명철 해양 논문선집 8권』, 『한국해양사 연구』, 『고구려, 역사에서 미래로』, 『고조선 문명권과 해륙 활동』, 『동아시아의 영토분쟁과 역사 갈등』, 『우산국, 울릉도와 독도의 나라』, 『한민족 해양 활동 이야기 1, 2』,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등 60여 권의 저서와 단군신화 서사시 2부를 비
롯해 『고구려 겨울』, 『고구려 소리』, 『바이칼에서 우랄, 알타이 너머』 등 16권의 시집을 펴냈다.
저 : 임영상
2018년 2월, 한국외국어대학교 퇴직 후 대한민국으로 귀환하는 고려인동포와 중국동포의 ‘한국살이’에 관심을 두기 시작했다. 2019~2020년 아시아발전재단 프로젝트(‘한국에서 아시아를 찾다’)를 공동으로 수행하면서 수도권의 귀환동포?·?외국인 집거지와 지방의 고려인마을을 탐방했다. 그 성과로 ADF 총서1 『한국에서 아시아를 찾다』(아시아발전재단, 2021)를 함께 냈다. 이어서 ‘아시아 지역 17개 국가에서 온 21명의 활동가·이주민대표·유학생 이야기’ 글쓰기에 참여해 ADF 총서2 『한국에서 아시아의 비전을 찾다』(아시아발전재단, 2023) 또한 함께 냈다. Great A... 2018년 2월, 한국외국어대학교 퇴직 후 대한민국으로 귀환하는 고려인동포와 중국동포의 ‘한국살이’에 관심을 두기 시작했다. 2019~2020년 아시아발전재단 프로젝트(‘한국에서 아시아를 찾다’)를 공동으로 수행하면서 수도권의 귀환동포?·?외국인 집거지와 지방의 고려인마을을 탐방했다. 그 성과로 ADF 총서1 『한국에서 아시아를 찾다』(아시아발전재단, 2021)를 함께 냈다. 이어서 ‘아시아 지역 17개 국가에서 온 21명의 활동가·이주민대표·유학생 이야기’ 글쓰기에 참여해 ADF 총서2 『한국에서 아시아의 비전을 찾다』(아시아발전재단, 2023) 또한 함께 냈다. Great Asia! 다시 아시아로! 한국에서 아시아 커뮤니티가 잘 운영되는 도시를 중심으로 『한국에서 아시아 커뮤니티를 찾다』 책도 나오기를 희망한다.

2021년 6월 11일 경기도 안성시 대덕면 고려인마을을 시작으로 2023년 10월 24일 충청북도 제천시 재외동포지원센터(고려인마을)까지 2년 4개월 동안 전국의 고려인마을 28곳을 찾았다. 한국어를 상실한 고려인동포 가족이 지역사회의 배려 속에 공동체를 이루고 자녀교육도 잘할 수 있는 지방의 중소도시가 어디일까? 몇몇 도시들이 노력하고 있지만, 첫 성과가 바로 제천시에서 나올 것이다.
저 : 김순래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원 환경생태학 석사 강화도시민연대 생태보전위원장 한국습지NGO네트워크 운영위원장 한국내셔널트러스트 매화마름위원장 EA AFP-인천경기생태지역 TF 의장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원 환경생태학 석사
강화도시민연대 생태보전위원장
한국습지NGO네트워크 운영위원장
한국내셔널트러스트 매화마름위원장
EA AFP-인천경기생태지역 TF 의장
저 : 김갑곤
경기만포럼 사무처장 경기만포럼 사무처장
저 : 이정훈
경기연구원 북부연구센터장·경기학회장 경기연구원 북부연구센터장·경기학회장
저 : 정현채
김포시 시사편찬위원 김포시 시사편찬위원
저 : 김용국
아시아문화연구원 원장·안양대학교 겸임교수 아시아문화연구원 원장·안양대학교 겸임교수
저 : 박대진
화성향토역사문화연구소 대표 화성향토역사문화연구소 대표
저 : 방문식
평택시문화재단 차장 평택시문화재단 차장
저 : 이수경
안중도서관장 안중도서관장
저 : 장연환
평택인문연구소 연구위원 평택인문연구소 연구위원
감수 : 김해규
충남 서천에서 태어났으며 한신대학교 일반대학원 한국사학과 박사 과정을 수료했습니다. 현재 한광중학교 역사 교사이며, 평택지역문화연구소장으로 활동합니다.《평택의 마을과 지명 이야기(전 3권)》, 《근현대 평택을 걷다(공저)》, 《평택 역사 산책》, 《오성면 역사와 삶-다섯 가지 이야기》 외 여러 책을 썼습니다. 충남 서천에서 태어났으며 한신대학교 일반대학원 한국사학과 박사 과정을 수료했습니다. 현재 한광중학교 역사 교사이며, 평택지역문화연구소장으로 활동합니다.《평택의 마을과 지명 이야기(전 3권)》, 《근현대 평택을 걷다(공저)》, 《평택 역사 산책》, 《오성면 역사와 삶-다섯 가지 이야기》 외 여러 책을 썼습니다.

출판사 리뷰

한줄평 (0건)

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