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분야 전체
크레마클럽 허브

뉴노멀 시대 일본교육의 변화와 실제

한용진,윤종혁,최순자,공병호,이정희 저 외 5명 정보 더 보기/감추기 | 한국학술정보 | 2023년 7월 17일 리뷰 총점 0.0 (0건)정보 더 보기/감추기
  •  종이책 리뷰 (0건)
  •  eBook 리뷰 (0건)
  •  종이책 한줄평 (0건)
  •  eBook 한줄평 (0건)
분야
사회 정치 > 교육/환경
파일정보
PDF(DRM) 5.86MB
지원기기
크레마 PC(윈도우 - 4K 모니터 미지원) 아이폰 아이패드 안드로이드폰 안드로이드패드 전자책단말기(저사양 기기 사용 불가) PC(Mac)
이용안내
TTS 가능 TTS 안내

뉴노멀 시대 일본교육의 변화와 실제

책 소개

목차

저자 소개 (10명)

저 : 한용진
고려대학교 교육학 박사, 나고야대학 및 도호쿠대학 방문교수. 전) 한국교육사학회 회장, 한국일본교육학회 회장. 현) 고려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저서 및 역서> 『근대 이후 일본의 교육』, 『근대 한국 고등교육 연구』, 『기초주의의 세계』(공편),『한국 근대대학의 성립과 전개』(역), 『일본의 교육인간학』(공역) 외 다수 고려대학교 교육학 박사, 나고야대학 및 도호쿠대학 방문교수.
전) 한국교육사학회 회장, 한국일본교육학회 회장.
현) 고려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저서 및 역서> 『근대 이후 일본의 교육』, 『근대 한국 고등교육 연구』, 『기초주의의 세계』(공편),『한국 근대대학의 성립과 전개』(역), 『일본의 교육인간학』(공역) 외 다수
저 : 윤종혁
고려대학교(학사, 석사)와 일본나고야대학 교육학연구과를 거쳐 고려대학교에서 교육학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 사회에서 실천해야 할 교육변화의 쟁점을 민족과 지구촌 두 가지 수준에서 비교·검토하는 것에 많은 관심을 두고 있다. 그래서 교육을 통해 개인이 자아 완성을 하고, 미래 사회를 개척할 수 있는 주체로 발전할 수 있는 실천과정에 대한 연구를 주로 한다. 최근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교육을 실천하는 전략으로서 글로벌 교류협력 이외에 국내 교육발전현황에 대해서도 주목하고 있다. (전) 한국교육개발원 부원장 (현) 한국교육개발원 선임연구위원 고려대학교(학사, 석사)와 일본나고야대학 교육학연구과를 거쳐 고려대학교에서 교육학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 사회에서 실천해야 할 교육변화의 쟁점을 민족과 지구촌 두 가지 수준에서 비교·검토하는 것에 많은 관심을 두고 있다. 그래서 교육을 통해 개인이 자아 완성을 하고, 미래 사회를 개척할 수 있는 주체로 발전할 수 있는 실천과정에 대한 연구를 주로 한다. 최근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교육을 실천하는 전략으로서 글로벌 교류협력 이외에 국내 교육발전현황에 대해서도 주목하고 있다. (전) 한국교육개발원 부원장 (현) 한국교육개발원 선임연구위원
저 : 최순자
국제아동발달교육연구원 원장이자 공명재학당 학장이며 대학과 대학원에서 아동발달·부모교육·발달심리 등을 가르친다. 역사학도로 격동의 80년대를 겪으면서 국가 지도자의 사고형성에 관심을 가졌다. 덕분에 사고와 인격이 형성되는 영유아기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대학 졸업후 관련 공부를 했다. 대학 강의를 하던 중 더 깊고 넓은 공부를 위해 대한해협을 건넜다. 국제교류기금연구원을 포함한 7년 동안, 도쿄에서 영유아심리·발달임상학·몬테소리 교육을 공부하고 연구했다. 귀국 후에는 교육심리를 전공했다. 또 한 사람이 건강하게 성장하기 위해서는 부모와의 애착형성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부모교... 국제아동발달교육연구원 원장이자 공명재학당 학장이며 대학과 대학원에서 아동발달·부모교육·발달심리 등을 가르친다. 역사학도로 격동의 80년대를 겪으면서 국가 지도자의 사고형성에 관심을 가졌다. 덕분에 사고와 인격이 형성되는 영유아기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대학 졸업후 관련 공부를 했다. 대학 강의를 하던 중 더 깊고 넓은 공부를 위해 대한해협을 건넜다. 국제교류기금연구원을 포함한 7년 동안, 도쿄에서 영유아심리·발달임상학·몬테소리 교육을 공부하고 연구했다. 귀국 후에는 교육심리를 전공했다.

또 한 사람이 건강하게 성장하기 위해서는 부모와의 애착형성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부모교육(보건복지부) 강사로 이를 전한다. 서울시 동작구·파주시 보육정책위원, 삼성아동교육문화센터 해외보육 집필, 월간 폴라리스 부모교육 집필, 보육계획안 감수, 포천시지역사회보장협의체 아동청소년분과위원, 에이블뉴스 부모교육·아동발달 칼럼니스트, 한국일본교육학회 회장, 대통령 선거 교육특보 · 정책자문위원회 아동교육분과위원장 등으로 활동했다.

평생교육 공로를 인정받아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상(2014) 수상, 국무총리실 산하 육아정책연구소 우수서포터즈상(2013)을 수상(2013)했다.

아이 발달은 아이들이 가장 사랑받고 싶은 대상인 부모역할이 중요하다고 보고, 박사논문으로 아이발달과 부모 양육태도와의 관계에 대해 한국과 일본(유학 7년)을 비교했다. 저서(공저 포함)와 역서로 《아이가 보내는 신호들》, 《부모와 자녀 사이》, 《별을 찾는 아이들》, 《글로벌시대 부모교육》, 《발달심리학자 입장에서 본 조기교육론》, 《0세에서 7세까지의 슈타이너교육》, 《다문화를 살아가는 어린이들(동경)》, 《한국·중국·일본·베트남 영화로 만나는 문화토론, 원탁시네마》, 《어린이와 용돈의 문화발달심리학(동경)》, 《일본의 지역교육력 이해와 실제》, 《일본의 재난방지 안전 · 안심교육》 등이 있다.

강의, 강연 외에 현재 연구원을 운영하면서 상담, 세미나, 연구회를 통해 부모, 유치원·어린이집 원장과 교사를 만나고, 대학과 대학원에서 후학을 양성한다.
저 : 공병호
일본 나고야대학에서 박사학위(교육학)를 취득했다. 덕성여자대학교 교수를 역임했으며, 현재는 오산대학교 교수이다. 역서로 『MIMAMORU 지켜보는 보육』(리틀트리, 2016), 『0,1,2세 보육』((주)에듀넷, 2021)이 있다. 일본 나고야대학에서 박사학위(교육학)를 취득했다. 덕성여자대학교 교수를 역임했으며, 현재는 오산대학교 교수이다. 역서로 『MIMAMORU 지켜보는 보육』(리틀트리, 2016), 『0,1,2세 보육』((주)에듀넷, 2021)이 있다.
저 : 이정희
부산교육대학교에서 학사, 석사를 마치고 히로시마대학에서 교육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6년부터 2013년 8월까지 초등학교에서 근무하였으며 2013년 9월부터 광주교육대학교에 재직하고 있다. 주로 수업 연구, 교육과정, 교과서 연구, 방재교육, 시민성 교육 등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있다. 주요 논문에는 ‘사회과 북한이탈주민 관련 다문화 인권교육의 과제와 방향’, ‘초등사회과 자연재해·방재교육의 변천과 특징’, ‘일본의 자질·능력 중심 사회과 교육과정’ 등 다수 있다. 저서에는 『일본의 재난방지 안전 안심 교육(공저)』, 『東アジア法規範?育の構築(共著)(동아시아 법규범교육... 부산교육대학교에서 학사, 석사를 마치고 히로시마대학에서 교육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6년부터 2013년 8월까지 초등학교에서 근무하였으며 2013년 9월부터 광주교육대학교에 재직하고 있다.
주로 수업 연구, 교육과정, 교과서 연구, 방재교육, 시민성 교육 등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있다. 주요 논문에는 ‘사회과 북한이탈주민 관련 다문화 인권교육의 과제와 방향’, ‘초등사회과 자연재해·방재교육의 변천과 특징’, ‘일본의 자질·능력 중심 사회과 교육과정’ 등 다수 있다.
저서에는 『일본의 재난방지 안전 안심 교육(공저)』, 『東アジア法規範?育の構築(共著)(동아시아 법규범교육의 구축(공저)』, 『社?形成科社?科論-批判主義社?科の?承と革新-(共著)(사회형성과 사회과론-비판주의 사회과의 계승과 혁신-(공저)』, 『國境·國土·領土‘敎育の論點爭點’(共著)(국경·국토·영토‘교육의 논점 쟁점’(공저)』가 있다.
저 : 박주언
(전) 도쿄여자대학교 강사 (현)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구원 (전) 도쿄여자대학교 강사
(현)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구원
저 : 이성한
(전) 영남대학교 강사 (현) 고신대학교 교수 (전) 영남대학교 강사
(현) 고신대학교 교수
저 : 이은주
(전) 명지전문대학 겸임교수 (현) 명지전문대학 조교수 (전) 명지전문대학 겸임교수
(현) 명지전문대학 조교수
저 : 장지은
(전) 고려대학교 연구교수 (현) 성균관대학교 초빙교수 (전) 고려대학교 연구교수
(현) 성균관대학교 초빙교수
저 : 조규복
(전) 동경대학 객원준교수·연구원 (현)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책임연구원 (전) 동경대학 객원준교수·연구원
(현)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책임연구원

한줄평 (0건)

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