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분야 전체
크레마클럽 허브

한국어 영논항을 어떻게 볼 것인가

박소영,최기용,안희돈,문귀선,조성은 저 외 6명 정보 더 보기/감추기 | 도서출판 역락 | 2023년 3월 31일 리뷰 총점 0.0 (0건)정보 더 보기/감추기
  •  종이책 리뷰 (0건)
  •  eBook 리뷰 (0건)
  •  종이책 한줄평 (0건)
  •  eBook 한줄평 (0건)
분야
수험서 자격증 > 기타 자격증
파일정보
PDF(DRM) 5.09MB
지원기기
크레마 PC(윈도우 - 4K 모니터 미지원) 아이폰 아이패드 안드로이드폰 안드로이드패드 전자책단말기(저사양 기기 사용 불가) PC(Mac)
이용안내
TTS 가능 TTS 안내

한국어 영논항을 어떻게 볼 것인가

책 소개

저자 소개 (11명)

저 : 박소영
부산대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부산대 국제언어교육원 센터장을 역임했다. 서울대 언어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언어학 석사학위를, 미국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에서 통사이론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저서로는 《한국어 생성 통사론》, 《한국어 동사구 수식 부사와 사건구조》 등이 있다. 부산대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부산대 국제언어교육원 센터장을 역임했다. 서울대 언어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언어학 석사학위를, 미국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에서 통사이론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저서로는 《한국어 생성 통사론》, 《한국어 동사구 수식 부사와 사건구조》 등이 있다.
저 : 최기용
광운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대표 논저: 「한국어에서 형용사 구하기」(2019), 「피동 구문의 VP periphery」(2018), 「피결속-변항 대명사로서의 ‘자기’」(2014), 「한국어 격과 조사의 생성 통사론」(2009) 광운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대표 논저: 「한국어에서 형용사 구하기」(2019), 「피동 구문의 VP periphery」(2018), 「피결속-변항 대명사로서의 ‘자기’」(2014), 「한국어 격과 조사의 생성 통사론」(2009)
저 : 안희돈
한국외대 영어과를 졸업하고 미국 위스콘신대에서 언어학 석박사학위를 받았다. 건국대 영문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한국언어학회 회장, 건국대 다언어다문화연구소 소장과 건국대 인류세인문학단 단장도 맡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조각문연구: 영어와 한국어를 중심으로』 『영어통사론』(공저) 등이 있다. 한국외대 영어과를 졸업하고 미국 위스콘신대에서 언어학 석박사학위를 받았다. 건국대 영문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한국언어학회 회장, 건국대 다언어다문화연구소 소장과 건국대 인류세인문학단 단장도 맡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조각문연구: 영어와 한국어를 중심으로』 『영어통사론』(공저) 등이 있다.
저 : 문귀선
한성대학교 크리에이티브인문학부 명예교수 대표 논저: On the Validity of the Skolemized Choice Function Approach to small pro anaphora in Korean(2019), A Non-Isomorphism Approach to Null Argument Anaphora in Korean (2015), 영논항의 속성 재조명(2010), 저서 『형식의미론 입문』(2011) 한성대학교 크리에이티브인문학부 명예교수
대표 논저: On the Validity of the Skolemized Choice Function Approach to small pro anaphora in Korean(2019), A Non-Isomorphism Approach to Null Argument Anaphora in Korean (2015), 영논항의 속성 재조명(2010), 저서 『형식의미론 입문』(2011)
저 : 조성은
영남대학교 영어교육과 교수 대표 논저: Temporal adjectives and the structure of possessive DPs(Natural Language Semantics 11), The semantics of?ship suffixation(Linguistic Inquiry 32) 영남대학교 영어교육과 교수
대표 논저: Temporal adjectives and the structure of possessive DPs(Natural Language Semantics 11), The semantics of?ship suffixation(Linguistic Inquiry 32)
저 : 엄홍준
계명대학교 한국어문학부 국어국문전공 부교수 현, 현대문법학회 회장 저서(공저) 『국어학과 통계학은 어떻게 만나는가』(2023. 작품미디어), 『한국어 영논항을 어떻게 볼 것인가』(2020. 역락) 대표 논문 ?비격식체 상대높임법 구문의 도출과정에서의 반순환성?(2022), ?사동구문과 피동구문에서의 운율구조와 통사구조의 상호작용?(2021), ?한국어 재귀사 ‘자기’의 속성?(2014) 등 계명대학교 한국어문학부 국어국문전공 부교수
현, 현대문법학회 회장

저서(공저) 『국어학과 통계학은 어떻게 만나는가』(2023. 작품미디어), 『한국어 영논항을 어떻게 볼 것인가』(2020. 역락)
대표 논문 ?비격식체 상대높임법 구문의 도출과정에서의 반순환성?(2022), ?사동구문과 피동구문에서의 운율구조와 통사구조의 상호작용?(2021), ?한국어 재귀사 ‘자기’의 속성?(2014) 등
저 : 이우승
건국대학교 영어교육과 부교수 대표 논저: Adjunct ellipsis in Korean(2019), Argument ellipsis vs. V-stranding VP ellipsis in Korean: Evidence from disjunction(2016), Copy theory of movement and apparent ECM constructions(2014) 건국대학교 영어교육과 부교수
대표 논저: Adjunct ellipsis in Korean(2019), Argument ellipsis vs. V-stranding VP ellipsis in Korean: Evidence from disjunction(2016), Copy theory of movement and apparent ECM constructions(2014)
저 : 이혜란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 교수 대표 논저: A Study on Scrambling in Korean: The Minimalist Approach(2006), Embedded Imperatives in Korean and Their Implication to Parameterization(2012), Free Merge or Maximality: On Criterial Freezing(공저, 2020)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 교수
대표 논저: A Study on Scrambling in Korean: The Minimalist Approach(2006), Embedded Imperatives in Korean and Their Implication to Parameterization(2012), Free Merge or Maximality: On Criterial Freezing(공저, 2020)
저 : 박종언
동국대학교 글로벌어문학부 영어영문학전공 부교수 대표 논저: Clause Structure and Null Subjects: Referential Dependencies in Korean(2011), Negation in Let Imperatives in English and Key-ha-la Imperatives in Korean(2013), 저서 ??언어 현상과 언어학적 분석??(공저, 2015) 동국대학교 글로벌어문학부 영어영문학전공 부교수
대표 논저: Clause Structure and Null Subjects: Referential Dependencies in Korean(2011), Negation in Let Imperatives in English and Key-ha-la Imperatives in Korean(2013), 저서 ??언어 현상과 언어학적 분석??(공저, 2015)
저 : 강아름
고려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연구교수 대표 논저: From inquisitive disjunction to nonveridical equilibrium: modalized questions in Korean(2020), The subjunctive complementizer in Korean: the interaction between inquisiti- veness and nonveridicality(2019), Negative politeness in Korean questions: interaction between epistemic uncertainty and convent... 고려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연구교수
대표 논저: From inquisitive disjunction to nonveridical equilibrium: modalized questions in Korean(2020), The subjunctive complementizer in Korean: the interaction between inquisiti- veness and nonveridicality(2019), Negative politeness in Korean questions: interaction between epistemic uncertainty and conventional indirectness(2018)
편 : 박명관
현) 동국대학교 영어학부 교수. 미국 코네티컷대 언어학 박사. 전) 한국생성문법학회 회장, 한국영어학회 회장, 현대문법학회 회장, 한국언어학회 부회장, 대한언어학회 부회장, 한국코퍼스언어학회 부회장. 현) 동국대학교 영어학부 교수.
미국 코네티컷대 언어학 박사.
전) 한국생성문법학회 회장, 한국영어학회 회장, 현대문법학회 회장, 한국언어학회 부회장, 대한언어학회 부회장, 한국코퍼스언어학회 부회장.

한줄평 (0건)

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