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분야 전체
크레마클럽 허브

철학과 삶

토론하는 철학수업

김현구,김기성,이향준,조우진,김현 저 외 4명 정보 더 보기/감추기 | 한국문화사 | 2024년 3월 11일 리뷰 총점 10.0 (1건)정보 더 보기/감추기
  •  종이책 리뷰 (0건)
  •  eBook 리뷰 (0건)
  •  종이책 한줄평 (1건)
  •  eBook 한줄평 (0건)
분야
인문 > 철학일반
파일정보
EPUB(DRM) 23.16MB
지원기기
크레마 PC(윈도우 - 4K 모니터 미지원) 아이폰 아이패드 안드로이드폰 안드로이드패드 전자책단말기(저사양 기기 사용 불가) PC(Mac)
이용안내
TTS 가능 TTS 안내

책 소개

목차

저자 소개 (9명)

저 : 김현구
현재 전남대학교, 군산대학교 철학과 강사. 전남대학교 대학원 철학과에서 석,박사학위를 받았다. 대표 논문으로는 「분별에 관한 인지언어학적 접근」, 「『중론』 시간에 관한 고찰의 철학적 확장성에 대한 탐구」 등이 있다. 저서로는 『철학의 이해』(공저), 『동서양횡단: 다원주의 철학적 관점』(공저)이 있다. 최근에는 무등일보 아트플러스 ‘인문지행의 세상읽기’ 칼럼리스트로 활동 중이며, 미국 버클리 대학교의 G. 레이코프의 정신과 언어 이론을 탐구하고 있다. 현재 전남대학교, 군산대학교 철학과 강사. 전남대학교 대학원 철학과에서 석,박사학위를 받았다. 대표 논문으로는 「분별에 관한 인지언어학적 접근」, 「『중론』 시간에 관한 고찰의 철학적 확장성에 대한 탐구」 등이 있다. 저서로는 『철학의 이해』(공저), 『동서양횡단: 다원주의 철학적 관점』(공저)이 있다. 최근에는 무등일보 아트플러스 ‘인문지행의 세상읽기’ 칼럼리스트로 활동 중이며, 미국 버클리 대학교의 G. 레이코프의 정신과 언어 이론을 탐구하고 있다.
저 : 김기성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과 호남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전공 분야는 사회 철학과 지역학이다. 공저로『공감장이란 무엇인가』(2017), 『감성적 근대와 한국 인의 정체성』(2018), 『철학과 삶』(2020), 『가족커뮤니티의 개념들. 관계편2 - 나와 타자』(2023)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 「지구화 시대의 지역학에 관한 철학적 성찰」(2022), 「경계투쟁과 아장스망 - 광주 광산구 고려인마을의 횡단지역성」(2022), 「마을공동체의 공공성과 공감장」(2023), 「21세기 한국 사회에서 가족의 구조변동에 관한 사회철학적 의미와 전망」(2024) 등이 있다. 사회비판이론과 감성...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과 호남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전공 분야는 사회 철학과 지역학이다. 공저로『공감장이란 무엇인가』(2017), 『감성적 근대와 한국 인의 정체성』(2018), 『철학과 삶』(2020), 『가족커뮤니티의 개념들. 관계편2 - 나와 타자』(2023)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 「지구화 시대의 지역학에 관한 철학적 성찰」(2022), 「경계투쟁과 아장스망 - 광주 광산구 고려인마을의 횡단지역성」(2022), 「마을공동체의 공공성과 공감장」(2023), 「21세기 한국 사회에서 가족의 구조변동에 관한 사회철학적 의미와 전망」(2024) 등이 있다. 사회비판이론과 감성인문학의 연장선상에서 지구화 시대의 도시와 마을에 관한 비판적 지역학을 천착하고 있다.
저 : 이향준 (李向俊)
전남대학교 철학과 졸업, 동대학원 철학과 졸업(철학박사)하였으며 현재 전남대학교 학술교수이다. 저서로 『조선의 유학자들 켄타우로수를 상상하며 리와 기를 논하다』, 『인지유학의 철걸음』 등이 있다. 논문으로 「‘인승마(人乘馬)’ 은유의 형성과 변형」, 「이발설(理發說)과 은유: 체험주의적 분석의 필요성」 등이 있다. 전남대학교 철학과 졸업, 동대학원 철학과 졸업(철학박사)하였으며 현재 전남대학교 학술교수이다. 저서로 『조선의 유학자들 켄타우로수를 상상하며 리와 기를 논하다』, 『인지유학의 철걸음』 등이 있다. 논문으로 「‘인승마(人乘馬)’ 은유의 형성과 변형」, 「이발설(理發說)과 은유: 체험주의적 분석의 필요성」 등이 있다.
저 : 조우진 (曺芋珍)
전남대학교 철학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현재 전남대학교 철학연구교육센터 인문사회연구소 학술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호남의 유학자들』(전남대출판문화원, 2016), 『호남의 유학자들Ⅱ』(전남대출판문화원, 2018), 『유학의 개척자들』(전남대출판문화원, 2019) 등이 있고, 번역서로 『이정유서』Ⅰ·Ⅲ(발해, 2019)가 있다. 전남대학교 철학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현재 전남대학교 철학연구교육센터 인문사회연구소 학술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호남의 유학자들』(전남대출판문화원, 2016), 『호남의 유학자들Ⅱ』(전남대출판문화원, 2018), 『유학의 개척자들』(전남대출판문화원, 2019) 등이 있고, 번역서로 『이정유서』Ⅰ·Ⅲ(발해, 2019)가 있다.
전남대학교 철학과 졸업, 동대학원 철학박사 현재 전남대학교 철학연구교육센터 학술연구교수 전남대학교 철학과 졸업, 동대학원 철학박사
현재 전남대학교 철학연구교육센터 학술연구교수
저 : 정미라
전남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프랑크푸르트대학에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헤겔의 실천철학에 있어서 개별자와 보편자의 문제)를 받았다. 고려대학교 Post-doc.을 거쳐 현재 전남대학교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는 『헤겔의 “정신현상학” 읽기』, 『이성과 자유』, 『다원주의와 철학적 관점』(공저), 『우리와 헤겔철학』(공저), 『헤겔과 근대정신』(공저), 『철학의 이해』(공저) 등이 있고, 역서로는 『가족?』, 『니체, 인생을 말하다』, 『인권철학입문』(공역),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인륜적 공동체와 예술종교」, 「욕망에서 문명으로」, 「도야와 자유의 실현」 등 다수가 있다. 전남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프랑크푸르트대학에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헤겔의 실천철학에 있어서 개별자와 보편자의 문제)를 받았다. 고려대학교 Post-doc.을 거쳐 현재 전남대학교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는 『헤겔의 “정신현상학” 읽기』, 『이성과 자유』, 『다원주의와 철학적 관점』(공저), 『우리와 헤겔철학』(공저), 『헤겔과 근대정신』(공저), 『철학의 이해』(공저) 등이 있고, 역서로는 『가족?』, 『니체, 인생을 말하다』, 『인권철학입문』(공역),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인륜적 공동체와 예술종교」, 「욕망에서 문명으로」, 「도야와 자유의 실현」 등 다수가 있다.
저 : 김혜영
전남대학교 철학과 졸업, 동대학원 철학박사 현재 전남대학교 철학과 강사 전남대학교 철학과 졸업, 동대학원 철학박사
현재 전남대학교 철학과 강사
저 : 류근성
전남대학교 철학과 졸업, 동대학원 철학박사 전남대학교 철학과 졸업, 동대학원 철학박사
저 : 이경배
전남대학교 철학과 졸업, 동대학원 석사, 독일 카셀대학교 철학박사. 전남대학교 철학과 강사. 현재 전주대학교 HK 연구교수 . 독일 카셀대학 철학과에서 플릭킹어(H. G. Flickinger) 교수와 코바르지크(W. Schmied-Kowarzik) 교수의 지도를 받아 「대화를 통한 인정행위. 가다머 해석학에서 이해의 윤리적 토대에 관하여(Anerknnung durch Dialog. Zur ethischen Grundlage des Verstehens in Gadamers Hermeneutik)」라는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귀국 후 전남대학교와 순천대학교에서 학생들을 가... 전남대학교 철학과 졸업, 동대학원 석사, 독일 카셀대학교 철학박사. 전남대학교 철학과 강사. 현재 전주대학교 HK 연구교수 .

독일 카셀대학 철학과에서 플릭킹어(H. G. Flickinger) 교수와 코바르지크(W. Schmied-Kowarzik) 교수의 지도를 받아 「대화를 통한 인정행위. 가다머 해석학에서 이해의 윤리적 토대에 관하여(Anerknnung durch Dialog. Zur ethischen Grundlage des Verstehens in Gadamers Hermeneutik)」라는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귀국 후 전남대학교와 순천대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쳤으며, 현재 전주대학교 HK연구교수로 있다. 핵심 연구 방향은 하이데거와 가다머의 해석학과 횔덜린 낭만주의이며, 이와 더불어 해석학적 방법론을 토대로 바라본 한국 근대와 유교의 역할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출판사 리뷰

한줄평 (1건)

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