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분야 전체
크레마클럽 허브

중독의 설계(Addiction By Design)

슬롯머신은 도박 중독을 어떻게 디자인하는가

나타샤 다우 쉴 저/김세건,홍혜미 | 도서출판 한국문화사 | 2024년 6월 28일 리뷰 총점 10.0 (1건)정보 더 보기/감추기
  •  종이책 리뷰 (0건)
  •  eBook 리뷰 (0건)
  •  종이책 한줄평 (1건)
  •  eBook 한줄평 (0건)
분야
국어 외국어 > 국어
파일정보
PDF(DRM) 20.26MB
지원기기
크레마 PC(윈도우 - 4K 모니터 미지원) 아이폰 아이패드 안드로이드폰 안드로이드패드 전자책단말기(저사양 기기 사용 불가) PC(Mac)

중독의 설계(Addiction By Design)

책 소개

저자 소개 (3명)

저 : 나타샤 다우 쉴
문화인류학자 Natasha Dow Schll은 뉴욕대학교 Media, Culture, Communication 학과 부교수이다. Schll은 1993년 UC버클리의 인류학과를 졸업하고 2003년부터 박사학위 과정을 시작하였다. 그녀는 컬럼비아 대학교의 Institute for Social and Economic Research and Policy에서 박사후연구원을 지냈고, 뉴욕대학교의 International Center for Advanced Studies에서 선임연구원으로 있었다. 그녀는 2007년 MIT의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프로그램에 ... 문화인류학자 Natasha Dow Schll은 뉴욕대학교 Media, Culture, Communication 학과 부교수이다. Schll은 1993년 UC버클리의 인류학과를 졸업하고 2003년부터 박사학위 과정을 시작하였다. 그녀는 컬럼비아 대학교의 Institute for Social and Economic Research and Policy에서 박사후연구원을 지냈고, 뉴욕대학교의 International Center for Advanced Studies에서 선임연구원으로 있었다. 그녀는 2007년 MIT의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프로그램에 입사해 그곳에서 종신 재직권을 받았고, 2015년에는 뉴욕대학교로 이적하였다.
역 : 김세건
국립멕시코자치대학교에서 멕시코 농촌의 근대화와 생태 체계의 변화에 관한 연구로 인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강원대학교 문화인류학과에 재직 중이며,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남미연구소 HK+사업단 일반연구원으로 참여하고 있다. 강원도와 멕시코 지역의 전통 농법을 연구하며 생태적 삶의 지혜를 구하고 있다. 저서로는 『베팅하는 한국 사회: 강원랜드에 비낀 도박공화국의 그늘』, 『우리는 빠창게로!: 멕시코 사람들의 축제와 의례』, 『밭갈애비의 삶: 강원도 겨리연장과 밭갈애비』 등이 있다. 국립멕시코자치대학교에서 멕시코 농촌의 근대화와 생태 체계의 변화에 관한 연구로 인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강원대학교 문화인류학과에 재직 중이며,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남미연구소 HK+사업단 일반연구원으로 참여하고 있다. 강원도와 멕시코 지역의 전통 농법을 연구하며 생태적 삶의 지혜를 구하고 있다. 저서로는 『베팅하는 한국 사회: 강원랜드에 비낀 도박공화국의 그늘』, 『우리는 빠창게로!: 멕시코 사람들의 축제와 의례』, 『밭갈애비의 삶: 강원도 겨리연장과 밭갈애비』 등이 있다.
역 : 홍혜미
성균관대 사회복지연구소 선임연구원이며 성균관대에서 『카지노 도박자의 반복 체험: 병적 도박에 관한 들뢰즈 철학적 관점의 해석』으로 사회복지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논문으로 「여성 노인 도박자의 생애사 연구」 「도박문제 및 중독 예방을 위한 카지노 출입제한 제도의 탐색적 연구: 미국과 캐나다의 사례를 중심으로」 「결혼 이주 가정 및 중도 입국 청소년들의 민족 정체성 탐색과 형성」 등이 있다. 성균관대 사회복지연구소 선임연구원이며 성균관대에서 『카지노 도박자의 반복 체험: 병적 도박에 관한 들뢰즈 철학적 관점의 해석』으로 사회복지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논문으로 「여성 노인 도박자의 생애사 연구」 「도박문제 및 중독 예방을 위한 카지노 출입제한 제도의 탐색적 연구: 미국과 캐나다의 사례를 중심으로」 「결혼 이주 가정 및 중도 입국 청소년들의 민족 정체성 탐색과 형성」 등이 있다.

한줄평 (1건)

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