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외국어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다. 한국외국어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Univ. of Texas at Austin에서 커뮤니케이션학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언론학회, 한국언론정보학회, 한국방송학회 연구이사를 역임했고, 현재 [언론과 사회]와 [한국언론정보학보] 편집위원이다. 저서로 『미디어와 공동체』(2018, 공저), 『1987년 민주화 이후 30년, 한국의 언론과 언론 운동 성찰』(2018, 공저), 『커뮤니티 미디어 이론과 실천』(2015), Understanding Journalism in Korea(2015, 공저)가 있고, 논문으로 “네이버·다...
한국외국어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다. 한국외국어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Univ. of Texas at Austin에서 커뮤니케이션학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언론학회, 한국언론정보학회, 한국방송학회 연구이사를 역임했고, 현재 [언론과 사회]와 [한국언론정보학보] 편집위원이다. 저서로 『미디어와 공동체』(2018, 공저), 『1987년 민주화 이후 30년, 한국의 언론과 언론 운동 성찰』(2018, 공저), 『커뮤니티 미디어 이론과 실천』(2015), Understanding Journalism in Korea(2015, 공저)가 있고, 논문으로 “네이버·다음 모바일 포털 뉴스 플랫폼의 19대 대통령 선거기사 분석”(2017), “마을미디어의 참여와 정치문화에 대한 비판적 검토”(2017), “서울시 마을공동체미디어와 공동체 공론장의 분화와 재구성”(2016), “SNS와 비전형적 정치(Unconventioal politics), 그리고 ‘다시 일상’”(2013) 등이 있다.
터키 앙카라 빌켄트대학교에서 국제관계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한국외대 터키·아제르바이잔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터키와 중앙아시아 그리고 중동관련 다양한 학술논문 및 저서를 발표했다. 30여 편 학술논문과 6편의 저서가 있으며 6편의 논문은 국제저명학술지(SSCI, A&HCI)에 게재되었다.
터키 앙카라 빌켄트대학교에서 국제관계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한국외대 터키·아제르바이잔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터키와 중앙아시아 그리고 중동관련 다양한 학술논문 및 저서를 발표했다. 30여 편 학술논문과 6편의 저서가 있으며 6편의 논문은 국제저명학술지(SSCI, A&HCI)에 게재되었다.
서울대학교 노어노문학과와 같은 대학원을 졸업 후 러시아학술원 문학연구소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러시아연구소 교수로 재직하며 러시아 문학과 예술을 연구하고 가르치고 있다. 러시아 모더니즘 문학과 아방가르드 예술로부터 러시아 영화, 포스트소비에트 문화 정체성, 현대 러시아 대중문화에 이르기까지 20세기 러시아 문화예술의 다양한 측면을 조명하는 논문들을 발표했으며 2020~2021년에는 고등과학원 초학제 프로그램을 맡아 진행했다.
서울대학교 노어노문학과와 같은 대학원을 졸업 후 러시아학술원 문학연구소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러시아연구소 교수로 재직하며 러시아 문학과 예술을 연구하고 가르치고 있다. 러시아 모더니즘 문학과 아방가르드 예술로부터 러시아 영화, 포스트소비에트 문화 정체성, 현대 러시아 대중문화에 이르기까지 20세기 러시아 문화예술의 다양한 측면을 조명하는 논문들을 발표했으며 2020~2021년에는 고등과학원 초학제 프로그램을 맡아 진행했다.
아프리카 현장과 학계를 오가는 문화연구자다. 고려대학교에서 「튀니지의 한류 팬덤 연구」로 언론학 박사학위를 받고 한국외국어대학교 미디어외교센터, 경인여자대학교 교양교육센터에서 연구와 강의를 겸했다. 아프리카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기 위한 에세이 「경계 밖의 아프리카 바라보기, 이제는 마주보기」로 2012년 외교부 장관상을 받았고, EBS <세계테마기행> 르완다 편에 출연하기도 했다. 현재 『시네 아프리카』 후속작을 집필하기 위해 짐바브웨에 머무르고 있다.
아프리카 현장과 학계를 오가는 문화연구자다. 고려대학교에서 「튀니지의 한류 팬덤 연구」로 언론학 박사학위를 받고 한국외국어대학교 미디어외교센터, 경인여자대학교 교양교육센터에서 연구와 강의를 겸했다. 아프리카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기 위한 에세이 「경계 밖의 아프리카 바라보기, 이제는 마주보기」로 2012년 외교부 장관상을 받았고, EBS <세계테마기행> 르완다 편에 출연하기도 했다. 현재 『시네 아프리카』 후속작을 집필하기 위해 짐바브웨에 머무르고 있다.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동연구소 전임 연구원 및 아랍통번역학과 중동 정치학 강사이다. 영국 더럼 대학교Durham University에서 국제관계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국립외교원 협력 교수 및 국가정보원 중동 자문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Nuclear Politics in Asia』(2018) 등이 있다.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동연구소 전임 연구원 및 아랍통번역학과 중동 정치학 강사이다. 영국 더럼 대학교Durham University에서 국제관계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국립외교원 협력 교수 및 국가정보원 중동 자문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Nuclear Politics in Asia』(2018) 등이 있다.
한국외국어대학교 태국어과 강사. 태국 탐마삿대학교에서 언어학 석사 및 인류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주요 연구 분야는 태국의 대중문화 및 국가정체성에 관한 것이며, 《글로컬 문화관광지식사전 태국편》, 《태국어 표준교재 B2》, 《세종통번역1 한국어-태국어》 등을 공저로 집필했다.
한국외국어대학교 태국어과 강사. 태국 탐마삿대학교에서 언어학 석사 및 인류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주요 연구 분야는 태국의 대중문화 및 국가정체성에 관한 것이며, 《글로컬 문화관광지식사전 태국편》, 《태국어 표준교재 B2》, 《세종통번역1 한국어-태국어》 등을 공저로 집필했다.
말레이시아 모나시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 교수. 뉴욕주립대학교 버펄로에서 문화인류학 석사와 오클라호마대학교에서 커뮤니케이션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체코 마사릭대학교 교수를 역임한 바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인구의 이동과 미디어 소비를 통한 문화 변화의 양상에 관한 것이다.
말레이시아 모나시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 교수. 뉴욕주립대학교 버펄로에서 문화인류학 석사와 오클라호마대학교에서 커뮤니케이션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체코 마사릭대학교 교수를 역임한 바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인구의 이동과 미디어 소비를 통한 문화 변화의 양상에 관한 것이다.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대학원 국제학과 교수. 남아프리카공화국 케이프타운에 위치한 케이프타운대학교와 웨스턴케이프 대학교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한국과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외교 관계를 주로 연구하며, 아프리카 건축 예술에 관한 공부를 즐긴다.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대학원 국제학과 교수. 남아프리카공화국 케이프타운에 위치한 케이프타운대학교와 웨스턴케이프 대학교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한국과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외교 관계를 주로 연구하며, 아프리카 건축 예술에 관한 공부를 즐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