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분야 전체
크레마클럽 허브

안시성, 기록과 기억

정호섭,김정배,백종오,조영광,이성제 저 외 1명 정보 더 보기/감추기 | 역사공간 | 2024년 10월 31일 리뷰 총점 0.0 (0건)정보 더 보기/감추기
  •  종이책 리뷰 (0건)
  •  eBook 리뷰 (0건)
  •  종이책 한줄평 (0건)
  •  eBook 한줄평 (0건)
분야
역사 > 한국사
파일정보
EPUB(DRM) 102.46MB
지원기기
크레마 PC(윈도우 - 4K 모니터 미지원) 아이폰 아이패드 안드로이드폰 안드로이드패드 전자책단말기(저사양 기기 사용 불가) PC(Mac)
이용안내
TTS 가능 TTS 안내

책 소개

저자 소개 (6명)

저 : 정호섭 (鄭好燮)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를 졸업하고 현재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저서로는 『한국고대사 관련 동아시아 사료의 연대기적 집성』(주류성, 2018), 『고구려사와 역사인식』(새문사, 2016), 『고구려 고분의 조영과 제의』(서경문화사, 2011) 등이 있다.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를 졸업하고 현재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저서로는 『한국고대사 관련 동아시아 사료의 연대기적 집성』(주류성, 2018), 『고구려사와 역사인식』(새문사, 2016), 『고구려 고분의 조영과 제의』(서경문화사, 2011) 등이 있다.
저 : 김정배
고려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 총장, 고구려연구재단 이사장, 한국학중앙연구원 원장, 국사편찬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하였다. 주요 저서로는 『한국과 중국의 북방사 인식』(세창출판사, 2018), 『고조선에 대한 새로운 해석』(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원, 2010), 『한국고대의 국가기원과 형성』(고려대학교출판부, 1986), 『한국 민족문화의 기원』(고려대학교출판부, 1973) 등이 있다. 고려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 총장, 고구려연구재단 이사장, 한국학중앙연구원 원장, 국사편찬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하였다. 주요 저서로는 『한국과 중국의 북방사 인식』(세창출판사, 2018), 『고조선에 대한 새로운 해석』(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원, 2010), 『한국고대의 국가기원과 형성』(고려대학교출판부, 1986), 『한국 민족문화의 기원』(고려대학교출판부, 1973) 등이 있다.
저 : 백종오 (白種伍)
단국대학교 역사학과를 졸업하고 현재 한국교통대학교 교양학부 한국사 전공 교수 및 박물관장으로 재직 중이며 한국고대학회 회장, 문화재청 문화재위원 등으로 활동 중이다. 주요 저서로는 『중국소재 고구려 유적과 유물 I~X』(공저, 동북아역사재단, 2020~2022), 『요하유역의 청동기문화와 고조선』(지식산업사, 2018), 『발해 유적 사전』(공저, 한국학중앙연구원, 2015), 『고구려 기와의 성립과 왕권』(주류성, 2006), THE HISTORY AND ARCHAEOLOGY OF THE KOGURYO KINGDOM(공저, HAVARDUNIVERSITY, 2018) 등이 있다. 단국대학교 역사학과를 졸업하고 현재 한국교통대학교 교양학부 한국사 전공 교수 및 박물관장으로 재직 중이며 한국고대학회 회장, 문화재청 문화재위원 등으로 활동 중이다. 주요 저서로는 『중국소재 고구려 유적과 유물 I~X』(공저, 동북아역사재단, 2020~2022), 『요하유역의 청동기문화와 고조선』(지식산업사, 2018), 『발해 유적 사전』(공저, 한국학중앙연구원, 2015), 『고구려 기와의 성립과 왕권』(주류성, 2006), THE HISTORY AND ARCHAEOLOGY OF THE KOGURYO KINGDOM(공저, HAVARDUNIVERSITY, 2018) 등이 있다.
저 : 조영광
경북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현재 전남대학교 역사교육과에 재직 중이다. 주요 저서로는 『고구려 초기 사회 연구』(전남대학교출판문화원, 2023), 『고구려 초기 국가체제와 대외관계』(공저, 동북아역사재단, 2022), 「고구려 시조 주몽의 출자지에 대한 시론적 검토」(『한국사연구』 186, 2019) 등이 있다. 경북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현재 전남대학교 역사교육과에 재직 중이다. 주요 저서로는 『고구려 초기 사회 연구』(전남대학교출판문화원, 2023), 『고구려 초기 국가체제와 대외관계』(공저, 동북아역사재단, 2022), 「고구려 시조 주몽의 출자지에 대한 시론적 검토」(『한국사연구』 186, 2019) 등이 있다.
저 : 이성제
서강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현재 동북아역사재단에 재직 중이다. 주요 저서로는 『고대 동아시아 석각자료 연구』 상·하(동북아역사재단, 2018), 『高句麗의 西方政策硏究』(국학자료원, 2005), 「新出 墓誌資料를 통해 본 遼西 豪族의 존재 양상과 隋·唐의 懷遠鎭鎭守」(『先史와 古代』 70, 2022), 「榮留王의 王權 强化와 淵蓋蘇文 政變-高乙德 일가의 官歷을 통해 본 영류왕대 政局-」(『韓國古代史硏究』 104, 2021) 등이 있다. 서강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현재 동북아역사재단에 재직 중이다. 주요 저서로는 『고대 동아시아 석각자료 연구』 상·하(동북아역사재단, 2018), 『高句麗의 西方政策硏究』(국학자료원, 2005), 「新出 墓誌資料를 통해 본 遼西 豪族의 존재 양상과 隋·唐의 懷遠鎭鎭守」(『先史와 古代』 70, 2022), 「榮留王의 王權 强化와 淵蓋蘇文 政變-高乙德 일가의 官歷을 통해 본 영류왕대 政局-」(『韓國古代史硏究』 104, 2021) 등이 있다.
저 : 이준성
경북대학교 사학과 조교수. 『안시성 기록과 기억』(공저, 역사공간, 2023), 『『한원』번이부의 세계』(공저, 학연문화사, 2022), 『경계를 넘어서는 고구려?발해사 연구』(공저, 혜안, 2020), 「2000년대 이후 한국의 고구려사 연구 동향」(『고구려발해연구』 79, 2024), 「동원과 연화, 통제와 교섭: 1~2세기 동아시아 국제관계와 전쟁」(『한국고대사연구』 112, 2023) 경북대학교 사학과 조교수. 『안시성 기록과 기억』(공저, 역사공간, 2023), 『『한원』번이부의 세계』(공저, 학연문화사, 2022), 『경계를 넘어서는 고구려?발해사 연구』(공저, 혜안, 2020), 「2000년대 이후 한국의 고구려사 연구 동향」(『고구려발해연구』 79, 2024), 「동원과 연화, 통제와 교섭: 1~2세기 동아시아 국제관계와 전쟁」(『한국고대사연구』 112, 2023)

한줄평 (0건)

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