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분야 전체
크레마클럽 허브

2025 미래 과학 트렌드

한 권으로 따라잡는 오늘의 과학, 내일의 기술

국립 과천 과학관 | 위즈덤하우스 | 2024년 12월 13일 리뷰 총점 10.0 (3건)정보 더 보기/감추기
  •  종이책 리뷰 (2건)
  •  eBook 리뷰 (0건)
  •  종이책 한줄평 (1건)
  •  eBook 한줄평 (0건)
분야
자연과학 > 과학일반
파일정보
EPUB(DRM) 44.66MB
지원기기
크레마 PC(윈도우 - 4K 모니터 미지원) 아이폰 아이패드 안드로이드폰 안드로이드패드 전자책단말기(저사양 기기 사용 불가) PC(Mac)
이용안내
TTS 가능 TTS 안내

책 소개

목차

상세 이미지

상세 이미지

저자 소개 (1명)

저 : 국립 과천 과학관
2008년에 설립된 국내 대표 과학 대중화 기관.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규모의 국립 과학관이다. 미래상상SF관을 비롯한 6개의 상설 전시관, 천체투영관 등 천문 시설, 야외 공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획전시, 축제, 교육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열리며, 누구나 과학을 즐기는 곳으로 만들고자 한다. 강민지 과학, 예술, 문화를 좋아하는 사람. 여러 분야의 주제를 융합하여, 쉽고 재미있게 콘텐츠로 녹여낼 방법에 대해 고민한다. 강주환 과학을 좋아하는 사람이 더 많아지기를 기대하는 공돌이. 유튜브 ‘요즘과학’의 진행자로 넓고 얕게 과학을 알아가며 과학문화 확산에 기여하고 있다. 고... 2008년에 설립된 국내 대표 과학 대중화 기관.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규모의 국립 과학관이다. 미래상상SF관을 비롯한 6개의 상설 전시관, 천체투영관 등 천문 시설, 야외 공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획전시, 축제, 교육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열리며, 누구나 과학을 즐기는 곳으로 만들고자 한다.
강민지 과학, 예술, 문화를 좋아하는 사람. 여러 분야의 주제를 융합하여, 쉽고 재미있게 콘텐츠로 녹여낼 방법에 대해 고민한다.
강주환 과학을 좋아하는 사람이 더 많아지기를 기대하는 공돌이. 유튜브 ‘요즘과학’의 진행자로 넓고 얕게 과학을 알아가며 과학문화 확산에 기여하고 있다.
고준현 과학을 좋아하는 ‘잡학다식’ 공무원. 경제학 전공 후 한양대에서 과학기술정책 전공으로 행정학 박사학위를 받고, 동 대학원에서 과학기술정책 강의를 하고
있다. 여러 국가 R&D 정책 및 사업을 기획했고 현재 과학관 전략기획을 맡고 있다.
김선자 생명과학 기술의 사회·윤리적 이슈에 관심 많은 식물생명공학자. 충북대 원예학과를 졸업하고, 국립산림과학원에서 박사후연구원을 지냈다. 과학관에서 생
명과학 분야 전시 및 프로그램을 담당한다.
김예은 과학관이 웃음꽃으로 가득하길 바라는 일명 ‘방글핑’. 경희대 우주과학과를 졸업하고, 천문 교육 기관에서 다년간 근무했다. 천체투영관에서 찬란한 하늘을 소개하는 프로그램을 기획한다.
김유진 자연사로 지식 콘텐츠를 만들고 싶어 하는 창작자. 쓰고, 그리고, 영상을 만든다. 동물에서 영감을 얻는 예술가가 되려고 노력하는 중이다.
남경욱 영국에서 과학사와 철학으로 석사과정을 밟았고, 박사과정에서 한국과학기술사와 한국천문학사를 전공했다. 한양대에서 과학과 인문학 융합교육과정 개발
에 참여했으며 과학관에서 한국과학기술사 분야 전시, 교육, 행사 등을 담당한다.
문희라 대중과 함께 일상을 과학으로 물들이고 싶은 과학교육 기획자. 과학관을 방문하는 사람들의 능동적 참여를 이끌어내고자 노력한다. 이화여대에서 과학교육을 전공하고 과학관교육으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박대영 밤하늘의 아름다움을 담아내는 천체사진가이자 과학문화 전문가. 대학원에서 관측천문학과 대중천문학을 공부했으며 《우주 대체험》 《별 그리고 우주》 《과학이 톡톡 쌓이다! 사이다 3: 태양계×어린왕자》 《과학은 지금》(공저) 등을 집필했다. 과학관 전시 기획 및 과학문화 업무를 총괄하고 있으며 저술과 강연을 통해 대중과 활발히 소통하고 있다.
박은지 과학과 배움을 즐기는 사람들에게 관심이 많은 교육연구자. 과학 교사를 거쳐 서울대 사범대학원에서 ‘학교 밖 과학 학습’으로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지구과학을 중심으로 유아부터 성인까지 전 연령 대상 과학관교육을 담당하고 있다.
손석준 남다른 관점을 가지려고 노력하는 과학자. 카네기멜런대 재료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반도체 개발, 과학기술사업 및 연구기관 평가, 연구 정보 관리, 인터넷 인프라 보급, 정보 보안, 국제기구 과학 외교 등 다양한 분야에서 근무했다.
안인선 우주와 사랑에 빠진 천문학자. 서울대에서 천문학으로 석사학위를 받고,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과학관에서 별과 우주로의 환상적인 여행을 어떻게 펼쳐 보일지 늘 고민 중이다.
이양복 인간과 컴퓨터의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컴퓨터공학자. 세종대에서 얼굴 표정 인식을 주제로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과학관에서 정보화 업무를 담당한다.
이영주 과학 알려주는 것을 좋아하는 과학 에듀케이터. 과학관에서 다양한 주제와 형태의 교육 프로그램을 기획, 개발하여 대중에게 과학의 즐거움을 알리기 위해 노력한다.
이재형 과학관에 서식하는 은하수 여행자. 천문학을 전공하여 은하를 연구했으며 과학 커뮤니케이터의 길을 걷고 있다.
이춘호 글자보다는 숫자가 익숙한 과학자. 통계학을 전공하면서 절대로 도박과 ‘로또’는 하지 말아야겠다는 삶의 지혜를 배웠고, AI를 공부하면서 우리 인생에 등장할 또 다른 친구를 기다리고 있다.
전성윤 예술과 철학을 좋아하는 기획자. 성균관대에서 나노공학으로 석사학위를 받고 한화석유화학 중앙연구소에서 근무했다. 과학관에서 ‘과학의 실패’와 ‘심연, 눈과 마음의 관계’ 등을 기획, 연출했다.
정광훈 물리학자. 부산대 물리학과를 졸업했고 통계물리, 전산단백질, 생물리학으로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과학관에서 기초과학 분야 전시 및 프로그램 개발을 총괄하며 50여 종의 ‘과학원리체험콘텐츠’를 개발, 보급하고 있다.
정원영 지구를 사랑하는 교육연구자. 서울대에서 지구과학교육을 전공하고 환경 교육으로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교육과 전시기획자로서 모두의 미래를 위한 과학관을 꿈꾸며 일한다.
정훈 아직은 배울 것이 많은 과학관 막내. 기계, 작동 모형, ‘공간 경험’ 디자인에 관심이 많다. 삼성전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등을 거쳐 2024년 4월부터 과학관에 근무 중이다.
조춘익 의심 많은 공학자. 홍익대와 동 대학원에서 산업공학을 전공했으며 인간공학에 관심이 많다. 과학관에서 창작체험장 기획 및 운영을 담당한다.
최정원 건프라 키덜트. 행정학 박사, 기계공학 학·석사, 기술경영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현대자동차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에서 근무했고, 과학관에서 첨단기술 분야 전시 기획자로 일하고 있다.
한명희 다양한 이들에게 별을 보여주며 이야기하는 것을 좋아하는 과학 커뮤니케이터. 연세대 천문우주학과를 졸업하고 KVN(한국우주전파관측망) 오퍼레이터를 거쳐 현재 과학관 천문대에서 소통한다.

출판사 리뷰

회원 리뷰 (2건)

한줄평 (1건)

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