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분야 전체
크레마클럽 허브

신어 연구, 그 성과와 전망

최형용,정한데로,남길임,이수진,권경녀 저 외 8명 정보 더 보기/감추기 | 한국문화사 | 2025년 1월 17일 리뷰 총점 0.0 (0건)정보 더 보기/감추기
  •  종이책 리뷰 (0건)
  •  eBook 리뷰 (0건)
  •  종이책 한줄평 (0건)
  •  eBook 한줄평 (0건)
분야
대학교재 >
파일정보
PDF(DRM) 4.90MB
지원기기
크레마 PC(윈도우 - 4K 모니터 미지원) 아이폰 아이패드 안드로이드폰 안드로이드패드 전자책단말기(저사양 기기 사용 불가) PC(Mac)

책 소개

목차

저자 소개 (13명)

저 : 최형용 (崔炯龍)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석사, 박사학위를 받음. 저서에 『국어 단어의 형태와 통사-통사적 결합어를 중심으로-』, 『발표와 토의』(공저), 『글쓰기의 전략과 실제』(공저), 『열린 세상을 향한 발표와 토론』(공저), 『주시경 국어문법의 교감과 현대화』(공저), 『한국어 형태론의 유형론』, 『한국어 연구와 유추』(공저), 『한국어 형태론』, 『한국어 분류사 연구』(공저), 『한국어 의미 관계 형태론』, 『표준 국어문법론』(전면개정판)(공저) 등이 있고 논문으로 「국어의 단어 구조에 대하여」, 「품사의 경계」, 「한국어 형태론의 현저성에 대하여」, 「형태론과 어...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석사, 박사학위를 받음. 저서에 『국어 단어의 형태와 통사-통사적 결합어를 중심으로-』, 『발표와 토의』(공저), 『글쓰기의 전략과 실제』(공저), 『열린 세상을 향한 발표와 토론』(공저), 『주시경 국어문법의 교감과 현대화』(공저), 『한국어 형태론의 유형론』, 『한국어 연구와 유추』(공저), 『한국어 형태론』, 『한국어 분류사 연구』(공저), 『한국어 의미 관계 형태론』, 『표준 국어문법론』(전면개정판)(공저) 등이 있고 논문으로 「국어의 단어 구조에 대하여」, 「품사의 경계」, 「한국어 형태론의 현저성에 대하여」, 「형태론과 어휘부」, 「복합어 구성 요소의 의미 관계에 대하여」, 「형태론의 융합과 유형」, 「문법에서 유추의 역할은 무엇인가」, 「반의 관계 형태론」 등이 있음. 공군사관학교 전임강사, 아주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 전공 조교수를 거쳐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인문과학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음.
저 : 정한데로
서강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한 후, 같은 대학원에서 국어학 전공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강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연구교수를 거쳐, 2015년부터 현재까지 가천대학교 한국어문학과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며 연구하고 있다. 제5회 일석 국어학 학위논문상(2014), 제12회 한국어문교육연구회 어문논문상(2014)을 수상하였다. 저역서로 『한국어 등재소의 형성과 변화』, 『단어와 어휘부』(공저), 『형태론의 이해』(공역) 등이 있으며, 「임시어의 형성과 등재」, 「단어의 공인화에 관한 고찰」, 「‘신어의 삶’에 관한 탐색」, 「통사론적 구성과 단어 형성」 등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 서강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한 후, 같은 대학원에서 국어학 전공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강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연구교수를 거쳐, 2015년부터 현재까지 가천대학교 한국어문학과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며 연구하고 있다. 제5회 일석 국어학 학위논문상(2014), 제12회 한국어문교육연구회 어문논문상(2014)을 수상하였다. 저역서로 『한국어 등재소의 형성과 변화』, 『단어와 어휘부』(공저), 『형태론의 이해』(공역) 등이 있으며, 「임시어의 형성과 등재」, 「단어의 공인화에 관한 고찰」, 「‘신어의 삶’에 관한 탐색」, 「통사론적 구성과 단어 형성」 등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단어 형성은 물론, 등재와 변화를 포함한 ‘단어의 삶’ 전반에 관심이 많다.
저 : 남길임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다. 연세대학교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연세한국어사전』(1998),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학습사전』(2006), ‘21세기 세종계획’(1998∼2007), ‘빅데이터 기반 안전·안심도시 구현을 위한 소셜플랫폼 구축’(2014) 사업 등 사전을 비롯한 언어 자료의 구축과 활용 사업에 참여했으며, 언어 수행의 유창성과 경향성을 밝히는 말뭉치언어학에 관심이 있다. 현재는 ‘개방형 한국어 지식 대사전 신어 조사’(2012∼ ) 사업, ‘어패럴 산업의 Customizing Marketing을 위한 데이터 사이언스 활용의 MISP(M...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다. 연세대학교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연세한국어사전』(1998),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학습사전』(2006), ‘21세기 세종계획’(1998∼2007), ‘빅데이터 기반 안전·안심도시 구현을 위한 소셜플랫폼 구축’(2014) 사업 등 사전을 비롯한 언어 자료의 구축과 활용 사업에 참여했으며, 언어 수행의 유창성과 경향성을 밝히는 말뭉치언어학에 관심이 있다. 현재는 ‘개방형 한국어 지식 대사전 신어 조사’(2012∼ ) 사업, ‘어패럴 산업의 Customizing Marketing을 위한 데이터 사이언스 활용의 MISP(Marketing Intelligence Service Platform) 개발’(2014∼2016) 사업에 참여하였다. 대표 논저로 『한국어 사전 편찬학 개론』(2008), 『현대 국어 ‘이다’ 구문 연구』(2004), “상풍평 텍스트에 나타난 감성 표현 연구: 감성 분석과 국어학 연구의 접점”(2016), “감정용언의 부정 구문에 대한 연구: 극성의 정도성과 의미 범주의 변화를 중심으로”(2015), “이론으로서의 말뭉치언어학에 대한 연구 현황과 쟁점”(2014) 등이 있다.
저 : 이수진
대구광역시에서 태어나 경북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의 대학원에서 문학석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경북대학교 국제교류처 강사로 재직하고 있다. 주로 한국어 형태론과 사전에 대하여 공부하고 있으며, 최근 신어에 관심을 두고 꾸준히 연구하며 글을 쓰고 있다. 저서로는 『신어』, 『신어 2020 : 코로나 팬데믹 시대의 새로운 언어』, 『현대 신어 연구』 등이 있다. 대구광역시에서 태어나 경북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의 대학원에서 문학석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경북대학교 국제교류처 강사로 재직하고 있다. 주로 한국어 형태론과 사전에 대하여 공부하고 있으며, 최근 신어에 관심을 두고 꾸준히 연구하며 글을 쓰고 있다. 저서로는 『신어』, 『신어 2020 : 코로나 팬데믹 시대의 새로운 언어』, 『현대 신어 연구』 등이 있다.
저 : 권경녀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
저 : 이정복
대구대학교 문화예술학부 교수 대구대학교 문화예술학부 교수
저 : 박혜진
인하대학교 국어교육과 조교수 인하대학교 국어교육과 조교수
저 : 조주연
고려대학교 언어학과 박사과정 고려대학교 언어학과 박사과정
저 : 정유진
고려대학교 언어학과 부교수 고려대학교 언어학과 부교수
저 : 조성원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 수료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 수료
저 : 정예은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 수료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 수료
저 : 이찬영
연세대학교 강사 연세대학교 강사
저 : 한수정
경상국립대학교 강사 경상국립대학교 강사

출판사 리뷰

한줄평 (0건)

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