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지리학과 교수로 생물지리학, 고기후학, 고생태학을 연구하는 지리학자다. 지리학 연구로 서울대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주립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반도의 홀로세 기후 변화와 선사시대 사회 변동], [홀로세 기후 최적기 한반도 남부 식생 및 환경] 등 외국 연구를 답습하지 않고 우리의 문제인 한반도 고기후를 현장에서 연구하는 대표적인 지리학자로 기후 변화가 인류 문명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그리고 과거 인간이 환경을 어떻게 교란했는지 연구해 왔다. 저자는 자신의 고기후 전문성을 바탕으로 고유전학과 고고학, 언어학의 최신 성과를 통합해 이 책...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교수로 생물지리학, 고기후학, 고생태학을 연구하는 지리학자다. 지리학 연구로 서울대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주립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반도의 홀로세 기후 변화와 선사시대 사회 변동], [홀로세 기후 최적기 한반도 남부 식생 및 환경] 등 외국 연구를 답습하지 않고 우리의 문제인 한반도 고기후를 현장에서 연구하는 대표적인 지리학자로 기후 변화가 인류 문명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그리고 과거 인간이 환경을 어떻게 교란했는지 연구해 왔다. 저자는 자신의 고기후 전문성을 바탕으로 고유전학과 고고학, 언어학의 최신 성과를 통합해 이 책에서 한국인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담대한 추론을 제시한다. 지은 책으로는 《기후의 힘》과 《기후 변화와 사회 변동》(공저)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