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분야 전체
크레마클럽 허브

나는 과학 교사입니다

과학 교사 10인이 전하는 감동 메시지!

전화영,노기종,신다인,권홍진,김요섭 저 외 5명 정보 더 보기/감추기 | 성안당 | 2025년 2월 19일 리뷰 총점 0.0 (0건)정보 더 보기/감추기
  •  종이책 리뷰 (0건)
  •  eBook 리뷰 (0건)
  •  종이책 한줄평 (0건)
  •  eBook 한줄평 (0건)
분야
사회 정치 > 교육/환경
파일정보
PDF(DRM) 54.53MB
지원기기
크레마 PC(윈도우 - 4K 모니터 미지원) 아이폰 아이패드 안드로이드폰 안드로이드패드 전자책단말기(저사양 기기 사용 불가) PC(Mac)
이용안내
TTS 가능 TTS 안내

책 소개

목차

상세 이미지

상세 이미지

저자 소개 (10명)

저 : 전화영
서울대학교 화학교육학과와 같은 학교 대학원을 졸업하였다. 지금은 청담고등학교에서 화학을 가르치고 있으며, ‘신나는 과학을 만드는 사람들’의 연구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고등학교 교과서-화학Ⅰ,Ⅱ』, 『신나는 화학』, 『알케미 동굴의 비밀 지도와 영원의 불꽃』, 『루이스가 들려주는 산, 염기 이야기』 등이 있다. 서울대학교 화학교육학과와 같은 학교 대학원을 졸업하였다. 지금은 청담고등학교에서 화학을 가르치고 있으며, ‘신나는 과학을 만드는 사람들’의 연구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고등학교 교과서-화학Ⅰ,Ⅱ』, 『신나는 화학』, 『알케미 동굴의 비밀 지도와 영원의 불꽃』, 『루이스가 들려주는 산, 염기 이야기』 등이 있다.
저 : 노기종
한국교원대학교 화학교육학과를 졸업했으며, 지금은 신림고등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습니다. ‘신나는 과학을 만드는 사람들’의 연구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어린이를 위한 과학책을 꾸준히 쓰고 있습니다. 지은 책으로는 《고등학교 교과서-화학Ⅰ,Ⅱ》《개념 잡는 초등 과학 사전》《에너지와 친해져요》 등이 있습니다. 한국교원대학교 화학교육학과를 졸업했으며, 지금은 신림고등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습니다. ‘신나는 과학을 만드는 사람들’의 연구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어린이를 위한 과학책을 꾸준히 쓰고 있습니다. 지은 책으로는 《고등학교 교과서-화학Ⅰ,Ⅱ》《개념 잡는 초등 과학 사전》《에너지와 친해져요》 등이 있습니다.
저 : 신다인
이화여자대학교에서 과학교육과 물리교육을 전공했다. 중·고등학교에서 11년째 물리를 가르치고 있다. 물리학이 일상의 문제 해결과 지속 가능한 삶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에 관심을 두고, 학생들과 함께 지구를 살리는 물리 수업을 실천하고자 이 책을 집필했다. 학교 밖에서는 과학 교사 모임인 ‘신나는 과학을 만드는 사람들’의 연구 회원으로 활동하며, 과학과 삶을 연결하는 수업을 꾸준히 연구하고 있다. 2022 개정 교육과정 과학 교과서 집필에 참여하였으며, 지은 책으로는 『나는 과학 교사입니다(공저)』, 『과제탐구 끝판왕(공저)』이 있고 『세상이 보이는 스팀사이언스 100』을 번역하였다. 이화여자대학교에서 과학교육과 물리교육을 전공했다. 중·고등학교에서 11년째 물리를 가르치고 있다. 물리학이 일상의 문제 해결과 지속 가능한 삶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에 관심을 두고, 학생들과 함께 지구를 살리는 물리 수업을 실천하고자 이 책을 집필했다. 학교 밖에서는 과학 교사 모임인 ‘신나는 과학을 만드는 사람들’의 연구 회원으로 활동하며, 과학과 삶을 연결하는 수업을 꾸준히 연구하고 있다. 2022 개정 교육과정 과학 교과서 집필에 참여하였으며, 지은 책으로는 『나는 과학 교사입니다(공저)』, 『과제탐구 끝판왕(공저)』이 있고 『세상이 보이는 스팀사이언스 100』을 번역하였다.
저 : 권홍진
지구과학교사이자 아마추어 폰토그래퍼(Phonetographer). 스마트폰으로 아름다운 지구와 별 사진을 찍는다. 경기도융합과학교육원과 경기과학고등학교에서 근무했으며, 현재 판곡고등학교에서 지구과학을 가르치고 있다. 지구과학야외학습연구회 회장으로 주말마다 한탄강과 시화호에서 학생들의 지질체험학습을 진행하고 있으며, 평일에는 학교로 찾아가는 천체관측교실을 운영하면서 지구과학 대중화에 앞장서고 있다. 2018년 올해의 과학교사상을 수상했다. 판곡고에서 지구과학을 가르치고 있다. 『십 대를 위한 우주과학 콘서트_우주의 비밀을 찾아 떠나는 신나는 과학 이야기』를 함께 썼다. 지구과학교사이자 아마추어 폰토그래퍼(Phonetographer). 스마트폰으로 아름다운 지구와 별 사진을 찍는다. 경기도융합과학교육원과 경기과학고등학교에서 근무했으며, 현재 판곡고등학교에서 지구과학을 가르치고 있다. 지구과학야외학습연구회 회장으로 주말마다 한탄강과 시화호에서 학생들의 지질체험학습을 진행하고 있으며, 평일에는 학교로 찾아가는 천체관측교실을 운영하면서 지구과학 대중화에 앞장서고 있다. 2018년 올해의 과학교사상을 수상했다. 판곡고에서 지구과학을 가르치고 있다. 『십 대를 위한 우주과학 콘서트_우주의 비밀을 찾아 떠나는 신나는 과학 이야기』를 함께 썼다.
저 : 김요섭 (과학교사K)
도시공학과 지구과학교육을 전공하고 2019년부터 중학교에서 과학을 가르치고 있다. 중학교 과학 수업에 적합한 영상을 제작하여 공유하기 위해 유튜브 채널 ‘과학교사K’를 운영하고 있다. 현재는 AI와 디지털 도구, 질문과 성찰을 통한 깊이 있는 학습에 관심을 두고 있으며, 좋은 수업을 만들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다. 2021년과 2023년에는 수업 혁신 공로를 인정받아 교육부장관상 및 표창을 수상하였고, EBS 다큐멘터리에서 ‘게임보다 재미있는 과학수업’으로 소개되었다. 주요 저서로는 『나는 과학교사입니다』 등이 있다. 도시공학과 지구과학교육을 전공하고 2019년부터 중학교에서 과학을 가르치고 있다. 중학교 과학 수업에 적합한 영상을 제작하여 공유하기 위해 유튜브 채널 ‘과학교사K’를 운영하고 있다. 현재는 AI와 디지털 도구, 질문과 성찰을 통한 깊이 있는 학습에 관심을 두고 있으며, 좋은 수업을 만들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다. 2021년과 2023년에는 수업 혁신 공로를 인정받아 교육부장관상 및 표창을 수상하였고, EBS 다큐멘터리에서 ‘게임보다 재미있는 과학수업’으로 소개되었다. 주요 저서로는 『나는 과학교사입니다』 등이 있다.
저 : 정지수
2012년부터 학교에서 화학을 가르치고 있으며, 유사 과학에 관심이 많으며 과학적 사고를 키울 수 있는 수업에 대해 고민을 하고 있다. 인공지능에도 관심이 많아 관련 대학원을 졸업하였으며, 각종 에듀테크를 활용하는 것을 좋아한다. 새로운 것에 두려움이 적어 이런저런 시도를 해 보며 시행착오를 통해 배워 가는 중이다. 저서로는 『미래 과학 설명서(공저)』 등이 있으며, 『세상이 보이는 스팀사이언스 100』 번역에 참여하였다. 2012년부터 학교에서 화학을 가르치고 있으며, 유사 과학에 관심이 많으며 과학적 사고를 키울 수 있는 수업에 대해 고민을 하고 있다. 인공지능에도 관심이 많아 관련 대학원을 졸업하였으며, 각종 에듀테크를 활용하는 것을 좋아한다. 새로운 것에 두려움이 적어 이런저런 시도를 해 보며 시행착오를 통해 배워 가는 중이다. 저서로는 『미래 과학 설명서(공저)』 등이 있으며, 『세상이 보이는 스팀사이언스 100』 번역에 참여하였다.
저 : 김태영
잘 가르치고 싶어 교사가 되었기에 수업 준비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있고, 직접 만든 암기법을 학생들이 좋아해 줄 때 가장 보람을 느낀다. 2019년 ‘올해의 과학교사상’을 수상하였고, 교과서 검토 및 다수의 EBS 교재 집필에 참여하였다. 현재는 인공지능에 관심을 갖고 교육 현장과 접목하기 위한 다양한 아이디어를 고민하고 있다. 잘 가르치고 싶어 교사가 되었기에 수업 준비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있고, 직접 만든 암기법을 학생들이 좋아해 줄 때 가장 보람을 느낀다. 2019년 ‘올해의 과학교사상’을 수상하였고, 교과서 검토 및 다수의 EBS 교재 집필에 참여하였다. 현재는 인공지능에 관심을 갖고 교육 현장과 접목하기 위한 다양한 아이디어를 고민하고 있다.
저 : 신배완
익산함열여자고등학교에서 과학을 가르쳤고, 현재는 함열여자중학교 교감으로서 근무하고 있다. 다양한 과학수업 및 영재수업 자료를 개발하였고 1999년에 전북 지역 과학 교사들이 모여 만든 전북과학교사교육 연합회 회장을 역임하여 과학 문화 확산에 기여하였다. 그리고 2019년 17회 ‘올해의 과학교사상’과 2022년 ‘올해의 스승상’을 수상하였다. 익산함열여자고등학교에서 과학을 가르쳤고, 현재는 함열여자중학교 교감으로서 근무하고 있다. 다양한 과학수업 및 영재수업 자료를 개발하였고 1999년에 전북 지역 과학 교사들이 모여 만든 전북과학교사교육 연합회 회장을 역임하여 과학 문화 확산에 기여하였다. 그리고 2019년 17회 ‘올해의 과학교사상’과 2022년 ‘올해의 스승상’을 수상하였다.
저 : 안필헌
발령 때부터 강의보다 실험하는 것이 서로에게 좋은 시간이라는 생각이 들어 꾸준하게 체험 중심의 수업을 하고 있다. 반복하는 것만이 내 것이 될 수 있다는 생각에 실험이나 모형을 꾸준히 다듬고 발전하여 완성한 것들을 나누는 일을 즐거운 마음으로 하고 있다. 혼자보다는 함께하는 것이 성장에 도움이 된다는 생각에 동료 선생님들과 함께 ’한국과학문화협회‘ 모임을 만들어 나눔과 봉사활동을 지속하고 있다. 발령 때부터 강의보다 실험하는 것이 서로에게 좋은 시간이라는 생각이 들어 꾸준하게 체험 중심의 수업을 하고 있다. 반복하는 것만이 내 것이 될 수 있다는 생각에 실험이나 모형을 꾸준히 다듬고 발전하여 완성한 것들을 나누는 일을 즐거운 마음으로 하고 있다. 혼자보다는 함께하는 것이 성장에 도움이 된다는 생각에 동료 선생님들과 함께 ’한국과학문화협회‘ 모임을 만들어 나눔과 봉사활동을 지속하고 있다.
저 : 최현주
학생들이 호기심에서 시작한 탐구로부터 과학의 본질을 배우고, 과학적 사고를 지닌 시민으로 성장하는 길을 안내해 주고 싶은 ‘가이드’를 꿈꾼다. 지역 사회를 넘어 글로벌 무대에서 자신의 꿈을 펼칠 수 있도록 지도해 오고자 했으며, 2011년 제9회 ‘올해의 과학 교사상’ 등 다수의 수상과 표창을 받았다. 학생들이 호기심에서 시작한 탐구로부터 과학의 본질을 배우고, 과학적 사고를 지닌 시민으로 성장하는 길을 안내해 주고 싶은 ‘가이드’를 꿈꾼다. 지역 사회를 넘어 글로벌 무대에서 자신의 꿈을 펼칠 수 있도록 지도해 오고자 했으며, 2011년 제9회 ‘올해의 과학 교사상’ 등 다수의 수상과 표창을 받았다.

출판사 리뷰

한줄평 (0건)

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