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농화학과 학부와 대학원을 졸업한 뒤 KBS 농업프로그램 FD와 구성작가를 거쳐, 2000년부터 경기지역 공중파 라디오방송인 경기방송(FM 99.9MHz) 프로듀서로 일하고 있다. 제38회 한국방송대상 작품상, 박지성 신화의 이면을 취재해 2005년 6월 한국 프로듀서연합회로부터 ‘이달의 피디상’을 받았으며, 2006년에는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에서 농업분야 저널리즘 관련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2009년 7월, 2013년 2월 이달의 좋은 프로그램상 수상했다.
그의 꿈은 영국 BBC 채널4의 'Farming Today'처럼 도시민과 농업인이 함께 듣는 농촌시사프...
서울대학교 농화학과 학부와 대학원을 졸업한 뒤 KBS 농업프로그램 FD와 구성작가를 거쳐, 2000년부터 경기지역 공중파 라디오방송인 경기방송(FM 99.9MHz) 프로듀서로 일하고 있다. 제38회 한국방송대상 작품상, 박지성 신화의 이면을 취재해 2005년 6월 한국 프로듀서연합회로부터 ‘이달의 피디상’을 받았으며, 2006년에는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에서 농업분야 저널리즘 관련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2009년 7월, 2013년 2월 이달의 좋은 프로그램상 수상했다.
그의 꿈은 영국 BBC 채널4의 'Farming Today'처럼 도시민과 농업인이 함께 듣는 농촌시사프로그램을 만드는 ‘시골전문피디’가 되는 것이다. 저서로는 2007년 『뉴스는 반만 믿어라』가 있다. 그리고 2009년 3월 현재 방송문화진흥회의 지원을 받아 ‘안전한 학교급식 먹을거리에 대한 해외사례’ 취재를 준비하였다.
이후 벼랑 끝에서 기후저널리스트의 길을 찾은 뒤 기후 관련 기사를 쓰고 뉴스레터를 발행하고 있다. 2023년 3월부터 OBS 피디로서 FM 99.9MHz OBS 라디오의 기후변화 프로그램 [오늘의 기후](매일 오전 11~12시) 연출을 맡고 있다. 별명은 자칭 ‘기후보좌관’. 독자와 청취자를 진심으로 보좌하는 정직한 길잡이가 되고자 한다.
전 TBS PD. 숏폼이 지배하는 요즘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큐멘터리 한 편이 세상을 바꿀 수 있다고, 여전히 믿고 있다. 어떻게 하면 콘텐츠로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을 수 있을까,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고군분투 중이다. 중앙대학교에서 교육학과 국문학을 전공하고, 2014년 KBS 〈시사기획 창〉 취재작가로 방송계에 발을 들였다. EBS 다큐프라임 〈대학입시의 진실〉(삼성언론상), KBS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특집 〈밀정〉 등에 참여했다. 2017년, 제임스 후퍼와 롭 건틀렛의 모험 여정을 담은 다큐멘터리 영화 〈원 마일 클로저〉의 감독을 맡았다. 〈원 마일 클...
전 TBS PD. 숏폼이 지배하는 요즘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큐멘터리 한 편이 세상을 바꿀 수 있다고, 여전히 믿고 있다. 어떻게 하면 콘텐츠로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을 수 있을까,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고군분투 중이다. 중앙대학교에서 교육학과 국문학을 전공하고, 2014년 KBS 〈시사기획 창〉 취재작가로 방송계에 발을 들였다. EBS 다큐프라임 〈대학입시의 진실〉(삼성언론상), KBS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특집 〈밀정〉 등에 참여했다. 2017년, 제임스 후퍼와 롭 건틀렛의 모험 여정을 담은 다큐멘터리 영화 〈원 마일 클로저〉의 감독을 맡았다. 〈원 마일 클로저〉 제작을 계기로 기후위기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TBS PD로 입사하여 기후위기 토크쇼 〈신박한 벙커〉, 〈기후 클래스〉, 기후위기 특별기획 다큐멘터리 〈사계2050, 서울〉 등을 제작했다. 한국PD연합회 ‘이달의 PD상’을 2회 수상했으며, 2022년 한국기후변화학회 선정 ‘올해의 기후변화언론인상’, 2023년 글로벌 기후위기 저널리즘 어워즈 ‘올해의 다큐멘터리상’ 등을 수상했다. 현재 세종대학교 기후변화특성화대학원에서 기후환경정책학 석사과정을 밟고 있다. 한국기후변화학회 홍보위원을 맡고 있으며, 저서로는 《밀정, 우리 안의 적》(공저), 《카메라로 지구를 구하는 법》(공저)이 있다.
KBS 교양 다큐멘터리 PD.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졸업 후 KBS에 PD로 입사, [걸어서 세계 속으로]를 연출했고, 지금은 [환경스페셜]을 만들고 있다. tvN [유 퀴즈 온 더 블록] ‘감독의 세계’ 편에 출연, 카메라 7대를 짊어지고 세계를 누비며 기획부터 대본, 촬영, 연출까지 모든 것을 하는 PD로 알려졌으며, KBS [정해인의 걸어보고서]에 여행 멘토로 출연했다. [6시 내 고향], [생로병사의 비밀], [TV 유치원], [누가누가 잘하나] 등 다수의 프로그램을 연출했으며, [환경스페셜] ‘옷을 위한 지구는 없다’ 편으로 방송통신위원회 방송대상 대상을 수상했다.
KBS 교양 다큐멘터리 PD.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졸업 후 KBS에 PD로 입사, [걸어서 세계 속으로]를 연출했고, 지금은 [환경스페셜]을 만들고 있다. tvN [유 퀴즈 온 더 블록] ‘감독의 세계’ 편에 출연, 카메라 7대를 짊어지고 세계를 누비며 기획부터 대본, 촬영, 연출까지 모든 것을 하는 PD로 알려졌으며, KBS [정해인의 걸어보고서]에 여행 멘토로 출연했다. [6시 내 고향], [생로병사의 비밀], [TV 유치원], [누가누가 잘하나] 등 다수의 프로그램을 연출했으며, [환경스페셜] ‘옷을 위한 지구는 없다’ 편으로 방송통신위원회 방송대상 대상을 수상했다.
ubc 피디, 세상이 궁금해서 피디가 되고 싶었다. 오래된 것들에 담긴 기억과 시간을 상상하는 걸 좋아한다. 방송이 세상과 사람을 연결할 수 있다고 믿으며 그 힘으로 프로그램을 만든다. <필환경시대의 지구수다>를 5년째 연출하고 있다.
ubc 피디, 세상이 궁금해서 피디가 되고 싶었다. 오래된 것들에 담긴 기억과 시간을 상상하는 걸 좋아한다. 방송이 세상과 사람을 연결할 수 있다고 믿으며 그 힘으로 프로그램을 만든다. <필환경시대의 지구수다>를 5년째 연출하고 있다.
SBS 피디, 코미디 프로그램을 만들고 싶어 SBS 예능본부에 입사했다. 어쩌다 정글로 발령이 나서 10년간 오지를 다녔다. 자연과 사랑에 빠져 <정글의 법칙>, <공생의 법칙1,2>, <전설의 빅피쉬>, <녹색아버지회>를 연출했다.
SBS 피디, 코미디 프로그램을 만들고 싶어 SBS 예능본부에 입사했다. 어쩌다 정글로 발령이 나서 10년간 오지를 다녔다. 자연과 사랑에 빠져 <정글의 법칙>, <공생의 법칙1,2>, <전설의 빅피쉬>, <녹색아버지회>를 연출했다.
‘가치 있는 메시지를 재밌게 전하는 사람’이 되겠다는 일념으로 십이 년간 방송 콘텐츠를 만들어온 KBS PD. 〈1박 2일〉 〈슈퍼맨이 돌아왔다〉 〈배틀트립〉 〈불후의 명곡〉 〈위기탈출 넘버원〉의 예능 조연출을 거쳐, 환경 예능 〈오늘부터 무해하게〉 연출로 데뷔, SF 드라마와 음악 콘서트가 결합된 〈지구 위 블랙박스〉로 2024년 한국PD대상에서 TV 부문 실험정신상을 수상했다.
‘가치 있는 메시지를 재밌게 전하는 사람’이 되겠다는 일념으로 십이 년간 방송 콘텐츠를 만들어온 KBS PD. 〈1박 2일〉 〈슈퍼맨이 돌아왔다〉 〈배틀트립〉 〈불후의 명곡〉 〈위기탈출 넘버원〉의 예능 조연출을 거쳐, 환경 예능 〈오늘부터 무해하게〉 연출로 데뷔, SF 드라마와 음악 콘서트가 결합된 〈지구 위 블랙박스〉로 2024년 한국PD대상에서 TV 부문 실험정신상을 수상했다.
EBS 피디, 자연다큐멘터리를 좋아해서 방송국에 들어왔다. 물새를 찍다 보니 물고기를 찍게 되었고, 곤충을 찍다 보니 식물을 찍게 되었다. 모든 것이 연결되어 있다고 믿는다. <사냥의 기술>, <천국의 새>, <연애기계>, <커넥션> 등을 연출했다.
EBS 피디, 자연다큐멘터리를 좋아해서 방송국에 들어왔다. 물새를 찍다 보니 물고기를 찍게 되었고, 곤충을 찍다 보니 식물을 찍게 되었다. 모든 것이 연결되어 있다고 믿는다. <사냥의 기술>, <천국의 새>, <연애기계>, <커넥션> 등을 연출했다.
방송의 힘으로 ‘더 나은 세상’을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한다. ‘피디’의 자유로움에 매력을 느껴 KBS에 입사했다. 현재, DMZ 관련 생태·평화 기획을 준비 중이다. <세계는 지금>, <생로병사의 비밀> 등을 연출했다.
방송의 힘으로 ‘더 나은 세상’을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한다. ‘피디’의 자유로움에 매력을 느껴 KBS에 입사했다. 현재, DMZ 관련 생태·평화 기획을 준비 중이다. <세계는 지금>, <생로병사의 비밀> 등을 연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