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분야 전체
크레마클럽 허브

정원 속 괴물 - 르네상스 경관디자인에 나타난 그로테스크하고 거대한 것에 관하여

르네상스 경관디자인에 나타난 그로테스크하고 거대한 것에 관하여

루크 모건 저/김예경 ,조일수 ,최다혜 ,황정현 역 외 1명 정보 더 보기/감추기 | 도서출판 역락 | 2025년 5월 2일 리뷰 총점 0.0 (0건)정보 더 보기/감추기
  •  종이책 리뷰 (0건)
  •  eBook 리뷰 (0건)
  •  종이책 한줄평 (0건)
  •  eBook 한줄평 (0건)
분야
예술 대중문화 > 예술일반/예술사
파일정보
PDF(DRM) 23.61MB
지원기기
크레마 PC(윈도우 - 4K 모니터 미지원) 아이폰 아이패드 안드로이드폰 안드로이드패드 전자책단말기(저사양 기기 사용 불가) PC(Mac)
이용안내
TTS 가능 TTS 안내

정원 속 괴물 - 르네상스 경관디자인에 나타난 그로테스크하고 거대한 것에 관하여

책 소개

저자 소개 (6명)

저 : 루크 모건
호주 모나쉬 대학의 “예술, 디자인 및 건축학”과 교수이며 미술사이자 이론가이다. 호주 연구위원회 소속의 미래 연구원이자 호주 인문학 아카데미의 선임 연구원으로도 일하고 있으며, 『정원과 경관디자인 역사연구』 학회지의 편집위원을 맡고 있다. 근대의 디자인된 역사적 경관디자인을 연구하며 이를 분석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론과 기술에 관해 지속적인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모델로서의 자연: 살로몽 드 코와 17세기 초 경관디자인』(2006)을 출판한 후 같은 펜실베이니아 대학 출판사에서 『정원 속 괴물, 르네상스 경관디자인에 나타난 그로테스크하고 거대한 것에 관하여』(2016)를 발표... 호주 모나쉬 대학의 “예술, 디자인 및 건축학”과 교수이며 미술사이자 이론가이다. 호주 연구위원회 소속의 미래 연구원이자 호주 인문학 아카데미의 선임 연구원으로도 일하고 있으며, 『정원과 경관디자인 역사연구』 학회지의 편집위원을 맡고 있다. 근대의 디자인된 역사적 경관디자인을 연구하며 이를 분석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론과 기술에 관해 지속적인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모델로서의 자연: 살로몽 드 코와 17세기 초 경관디자인』(2006)을 출판한 후 같은 펜실베이니아 대학 출판사에서 『정원 속 괴물, 르네상스 경관디자인에 나타난 그로테스크하고 거대한 것에 관하여』(2016)를 발표하였다. 현재는 코넬 대학의 캐서린 페리 롱과 함께 암스테르담 대학출판부에서 『괴물과 경이: 중세와 근대 초의 타자성』의 책 시리즈의 편집자를 맡아 출판을 진행하고 있다. 최근에는 식물문화에 관해서도 연구하며 엘리자베스 하이드와 함께 ?문화 속의 식물?(『근대 초의 식물 문화사』, 블룸베리 출판사, 2022)를 발표하였다. 이외에도 ?“거짓 예술의 무례한 연설”: 마법에 걸린 근대 초기의 시와 경관디자인?(『경관과 장소에 관한 시각적 해석학 1500-1700』, 브릴, 2021), ?빛에 방향감각을 잃은 야행성 새, 16세기 후반 그로테스키와 정원?(『르네상스 그로테스크의 패러다임』, CRRS, 2019), ?불협화음의 교향곡: 티볼리의 빌라 데스테와 그로테스크?(『장식과 괴물, 16세기 예술의 시각적 역설』, 암스테르담 대학출판부, 2019) 등을 발표하며 연구를 활발히 이어가고 있다.
역 : 김예경
파리1대학 미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홍익대 불어불문학과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학문적으로 학제간 연구, 융합 연구에 관심을 갖고 있다. 한국연구재단 지원을 받아 책임연구원으로서 “그로테스크 연구를 위한 학제적 통합 패러다임의 정립”(2019-2022)을 위한 학제간 공동연구를 진행했고, 최근에는 그로테스크 미학을 연구하며 「그로테스크, 파생성(破生性)의 미학」, 「그로테스크 미학: 공포와 웃음 사이에서」, 「현대 ‘공포스러운 광대’의 출현: 19세기 프랑스 팬터마임의 광대에서 ‘조커’까지」 등의 연구를 발표하였다. 파리1대학 단편영화제(Paris 1_Film tout ... 파리1대학 미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홍익대 불어불문학과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학문적으로 학제간 연구, 융합 연구에 관심을 갖고 있다. 한국연구재단 지원을 받아 책임연구원으로서 “그로테스크 연구를 위한 학제적 통합 패러다임의 정립”(2019-2022)을 위한 학제간 공동연구를 진행했고, 최근에는 그로테스크 미학을 연구하며 「그로테스크, 파생성(破生性)의 미학」, 「그로테스크 미학: 공포와 웃음 사이에서」, 「현대 ‘공포스러운 광대’의 출현: 19세기 프랑스 팬터마임의 광대에서 ‘조커’까지」 등의 연구를 발표하였다. 파리1대학 단편영화제(Paris 1_Film tout court)에서 다큐멘터리 부문 대상(2004)을 수상했으며, <진단적 정신: 파국(Catastrophe)>(2012)으로 동아미술제 전시기획상을 수상했다.
역 : 조일수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연구원, 동아방송예술대학교 영상제작과 강사. 학사와 석사과정에서 사진학을 전공했으며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영상문화학협동과정에서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현재는 대학에서 영상학 강의를 맡고 있으며, 전시 및 예술프로젝트의 총괄기획자로 일하고 있다. 최근 연구로는 「<골목안 풍경>, 김기찬 소론 ‘이야기꾼으로서 사진가’」가 있다. 기술복제 영상의 다층적인 해석 가능성에 대해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연구원, 동아방송예술대학교 영상제작과 강사. 학사와 석사과정에서 사진학을 전공했으며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영상문화학협동과정에서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현재는 대학에서 영상학 강의를 맡고 있으며, 전시 및 예술프로젝트의 총괄기획자로 일하고 있다. 최근 연구로는 「<골목안 풍경>, 김기찬 소론 ‘이야기꾼으로서 사진가’」가 있다. 기술복제 영상의 다층적인 해석 가능성에 대해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
역 : 최다혜
미술관 학예연구원. 학사에서 영상디자인을 전공했으며 홍익대 일반대학원 미술사학과에서 석사과정을 수료하였다. 미술관 학예사로 일하고 있으며, 주요 관심사는 후기구조주의 철학이며 그중에서도 라캉의 이론에 관심이 있다. 미술관 학예연구원. 학사에서 영상디자인을 전공했으며 홍익대 일반대학원 미술사학과에서 석사과정을 수료하였다. 미술관 학예사로 일하고 있으며, 주요 관심사는 후기구조주의 철학이며 그중에서도 라캉의 이론에 관심이 있다.
역 : 황정현
신구대학교 사진영상미디어과 조교수. 학사와 석사에서 광고홍보학, 영어영문학, 영화학을 전공했으며, 고려대 일반대학원 영상문화학협동과정에서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주요 경력으로는 장편영화 〈노마드〉(2017) 프로듀서(전주국제영화제 한국경쟁부문 진출작, 영화진흥위원회 독립영화제작 지원작), 단편영화 〈11월〉(2009) 감독(프랑스 리옹아시아영화제, 오프앤프리국제영화제, 시네마디지털서울 진출작)이 있으며 다수의 뮤직비디오, 홍보영상 등을 제작하였다. 현재는 신구대학에서 영상 제작에 관해 교육하고 있으며 익스트림 시네마(Extreme Cinema)에 관해 연구 중이다. 신구대학교 사진영상미디어과 조교수. 학사와 석사에서 광고홍보학, 영어영문학, 영화학을 전공했으며, 고려대 일반대학원 영상문화학협동과정에서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주요 경력으로는 장편영화 〈노마드〉(2017) 프로듀서(전주국제영화제 한국경쟁부문 진출작, 영화진흥위원회 독립영화제작 지원작), 단편영화 〈11월〉(2009) 감독(프랑스 리옹아시아영화제, 오프앤프리국제영화제, 시네마디지털서울 진출작)이 있으며 다수의 뮤직비디오, 홍보영상 등을 제작하였다. 현재는 신구대학에서 영상 제작에 관해 교육하고 있으며 익스트림 시네마(Extreme Cinema)에 관해 연구 중이다.
역 : 황하연
영문번역가. 학사와 석사에서 영미문화학, 독일어학을 전공했으며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미술사학과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서양현대미술을 연구하며 ?1960년대 독일 팝아트: 전후 서독 미술계의 미국화와 팝 아트 실험?의 논문을 발표했다. 현재는 뉴미디어 매체, 문화적 혼종성에 대한 관심으로 다양한 컨텐츠를 번역하고 있다. 영문번역가. 학사와 석사에서 영미문화학, 독일어학을 전공했으며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미술사학과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서양현대미술을 연구하며 ?1960년대 독일 팝아트: 전후 서독 미술계의 미국화와 팝 아트 실험?의 논문을 발표했다. 현재는 뉴미디어 매체, 문화적 혼종성에 대한 관심으로 다양한 컨텐츠를 번역하고 있다.

한줄평 (0건)

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