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분야 전체
크레마클럽 허브

한국 선원의 역사와 문화

바다로 간 사람들

김강식,이수열,현재열,김성준,권경선 저 외 5명 정보 더 보기/감추기 | 도서출판 역락 | 2025년 5월 2일 리뷰 총점 0.0 (0건)정보 더 보기/감추기
  •  종이책 리뷰 (0건)
  •  eBook 리뷰 (0건)
  •  종이책 한줄평 (0건)
  •  eBook 한줄평 (0건)
분야
사회 정치 > 여성/남성
파일정보
PDF(DRM) 10.05MB
지원기기
크레마 PC(윈도우 - 4K 모니터 미지원) 아이폰 아이패드 안드로이드폰 안드로이드패드 전자책단말기(저사양 기기 사용 불가) PC(Mac)

책 소개

저자 소개 (10명)

저 : 김강식 (金康植)
부산대학교 대학원 문학박사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인문한국교수(조선시대사, 한일문화교섭학, 임진왜란사 전공) -주요 논저 「《漂人領來謄錄》 속의 경상도 표류민과 해역 세계」, 「조선후기에 해항도시 부산에서의 문화교섭 양상: 초량왜관을 중심으로」, 「개항기 해항도시 부산의 절영도진 설치와 운영」, 「조선후기 동래부의 군사 조직과 운영」, 『문화교섭으로 본 임진왜란』, 『임진왜란과 경상우도의 의병운동』, 『문무를 갖춘 양반의 나라』, 『부산의 해양문화유산을 찾아서』(공저), 『해항도시 부산의 재발견』(공저) 등 부산대학교 대학원 문학박사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인문한국교수(조선시대사, 한일문화교섭학, 임진왜란사 전공)

-주요 논저
「《漂人領來謄錄》 속의 경상도 표류민과 해역 세계」, 「조선후기에 해항도시 부산에서의 문화교섭 양상: 초량왜관을 중심으로」, 「개항기 해항도시 부산의 절영도진 설치와 운영」, 「조선후기 동래부의 군사 조직과 운영」, 『문화교섭으로 본 임진왜란』, 『임진왜란과 경상우도의 의병운동』, 『문무를 갖춘 양반의 나라』, 『부산의 해양문화유산을 찾아서』(공저), 『해항도시 부산의 재발견』(공저) 등
저 : 이수열 (李秀烈)
와세다대학교 일본사학과를 졸업하였으며 현재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HK교수로 재직 중이다. 『일본지식인의 아시아 식민지도시 체험』, 『동아시아해역의 해항도시와 문화교섭 Ⅰ,Ⅱ』 등을 저술하였고, 『동인도회사와 아시아의 바다』, 『새로운 세계사』 등을 번역하였다. 일본 근현대사상사, 동아시아사, 글로벌 히스토리 등에 관심을 갖고 있다. 와세다대학교 일본사학과를 졸업하였으며 현재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HK교수로 재직 중이다. 『일본지식인의 아시아 식민지도시 체험』, 『동아시아해역의 해항도시와 문화교섭 Ⅰ,Ⅱ』 등을 저술하였고, 『동인도회사와 아시아의 바다』, 『새로운 세계사』 등을 번역하였다. 일본 근현대사상사, 동아시아사, 글로벌 히스토리 등에 관심을 갖고 있다.
저 : 현재열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부교수. 프랑스 근현대사 전공으로 2009년부터 한국해양대의 인문한국 프로젝트에 참여하면서 프랑스사 외에 도시사와 해양사 및 글로벌 역사로 관심의 폭을 넓여 연구를 수행하여 다수의 논저를 발행했다. 특히 글로벌 역사와 관련해서 폴 뷔텔의 『대서양』(2017)과 조너선 데일리의 『역사대논쟁: 서구의 흥기』(2020) 외에 여러 저서를 번역했고, 『해항도시문화교섭 연구방법론』(공저, 2014)과 『해역 속의 인간과 바다의 조우: 세계경제와 해역경제』(2021)를 비롯한 여러 연구서를 간행했다.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부교수. 프랑스 근현대사 전공으로 2009년부터 한국해양대의 인문한국 프로젝트에 참여하면서 프랑스사 외에 도시사와 해양사 및 글로벌 역사로 관심의 폭을 넓여 연구를 수행하여 다수의 논저를 발행했다. 특히 글로벌 역사와 관련해서 폴 뷔텔의 『대서양』(2017)과 조너선 데일리의 『역사대논쟁: 서구의 흥기』(2020) 외에 여러 저서를 번역했고, 『해항도시문화교섭 연구방법론』(공저, 2014)과 『해역 속의 인간과 바다의 조우: 세계경제와 해역경제』(2021)를 비롯한 여러 연구서를 간행했다.
저 : 김성준
한국해양대학교 항해융합학부 부교수, Master Mariner(STCW 95II/2) 저서:『서양항해선박사』(혜안, 2015), 『해사영어의 어원』(문현, 2015), 『유럽의 대항해시대』(문현, 2020), 『한국항해선박사』(혜안, 2021) 外 역서:J.H.Parry, 『약탈의 역사』(신서원, 1998), E.Fayle, 『서양해운사』(혜안, 2004), Richard Hugh, 『전함포템킨』(서해문집, 2005), Mike Dash, 『미친항해:바타비아호 좌초 사건』(혜안, 2012, 공역), 사와 센페이(佐波宣平), 『현대해사용어의 어원』(문현, 2017, 공역) 外 한국해양대학교 항해융합학부 부교수, Master Mariner(STCW 95II/2)
저서:『서양항해선박사』(혜안, 2015), 『해사영어의 어원』(문현, 2015), 『유럽의 대항해시대』(문현, 2020), 『한국항해선박사』(혜안, 2021) 外
역서:J.H.Parry, 『약탈의 역사』(신서원, 1998), E.Fayle, 『서양해운사』(혜안, 2004), Richard Hugh, 『전함포템킨』(서해문집, 2005), Mike Dash, 『미친항해:바타비아호 좌초 사건』(혜안, 2012, 공역), 사와 센페이(佐波宣平), 『현대해사용어의 어원』(문현, 2017, 공역) 外
저 : 권경선 (Kwon Kyungseon,權京仙)
부경대학교 HK연구교수. 연구 영역은 동아시아 도시사, 이주사, 노동이동이며, 주요 저서로는 『칭다오, 식민도시에서 초국경도시로』, 『다롄, 환황해권 해항도시 100여 년의 궤적』, 『단둥, 단절과 이음의 해항도시』 등이 있다. 부경대학교 HK연구교수. 연구 영역은 동아시아 도시사, 이주사, 노동이동이며, 주요 저서로는 『칭다오, 식민도시에서 초국경도시로』, 『다롄, 환황해권 해항도시 100여 년의 궤적』, 『단둥, 단절과 이음의 해항도시』 등이 있다.
저 : 최은순
한국해양대학교 항해융합학부 교수. 대표 논저로는 『발트해와 북해』(선인, 2017)를 공역하였으며, 「지중해 연안의 링구아 프랑카의 교류의 특징과 그 유형에 관한 고찰」(지중해지역연구, 2014), 「카리브해지역 프랑스 식민사회와 크레올어의 발명」(이베로아메리카, 2014), 「제주해녀들의 초국적 이동과 언어혼용의 양상」(해항도시문화교섭학, 2021) 등 언어 혼용에 관한 여러 편의 논문이 있다. 이외에도 「한국상선 해기사의 항해경험과 탈경계적 세계관」(해항도시문화교섭학, 2018) 등 한국 선원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크레올어, 링구아 프랑카, 간판언어 등 탈경계적 언어 혼... 한국해양대학교 항해융합학부 교수. 대표 논저로는 『발트해와 북해』(선인, 2017)를 공역하였으며, 「지중해 연안의 링구아 프랑카의 교류의 특징과 그 유형에 관한 고찰」(지중해지역연구, 2014), 「카리브해지역 프랑스 식민사회와 크레올어의 발명」(이베로아메리카, 2014), 「제주해녀들의 초국적 이동과 언어혼용의 양상」(해항도시문화교섭학, 2021) 등 언어 혼용에 관한 여러 편의 논문이 있다. 이외에도 「한국상선 해기사의 항해경험과 탈경계적 세계관」(해항도시문화교섭학, 2018) 등 한국 선원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크레올어, 링구아 프랑카, 간판언어 등 탈경계적 언어 혼종 현상과 한국 해기사의 직업과 삶의 지속가능성 등이 주요 관심 주제이다.
저 : 최진이
저자는 해운/항만/물류 등 해사(海事) 관련 분야의 법과 정책을 주요 연구대상으로 교육·학술·연구활동을 해오고 있으며, 『물류법강의(2018)』, 『현대사회의 여성과 법률(제3판)』 등 다수의 저서와 연구논문이 있다. 아울러 성평등/여성친화도시/성별영향평가/성인지예산 등 젠더(gender) 분야에서도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주요 약력>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해사법학과, 법학박사) 한국해양대학교 초빙교수(2012.04~2014.12) (KMI-KMU국제물류학연공동연구센터) 부산여성가족개발원 성별영향분석평가 컨설턴트(2012.04~현재) 법원 전문심리위원(2014.0... 저자는 해운/항만/물류 등 해사(海事) 관련 분야의 법과 정책을 주요 연구대상으로 교육·학술·연구활동을 해오고 있으며, 『물류법강의(2018)』, 『현대사회의 여성과 법률(제3판)』 등 다수의 저서와 연구논문이 있다. 아울러 성평등/여성친화도시/성별영향평가/성인지예산 등 젠더(gender) 분야에서도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주요 약력>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해사법학과, 법학박사)
한국해양대학교 초빙교수(2012.04~2014.12) (KMI-KMU국제물류학연공동연구센터)
부산여성가족개발원 성별영향분석평가 컨설턴트(2012.04~현재)
법원 전문심리위원(2014.03~현재)
한국해양대학교 학술연구교수(2015.07~2018.06)
부산광역시 영도구 여성친화도시조성위원회 위원(2015.02~2018.03)
부산광역시 성별영향평가위원회 위원(2019.05~현재)
부산광역시 강서구 성별영향평가위원회 위원(2019.07~현재)
한국해양대학교 인문한국연구교수(2018.10~현재)
저 : 김윤미 (金潤美)
경북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연구교수 『일제 강제동원 Q&A 2』(공저,선인,2017),『강제동원의 역사와 현장-부산광역시편』(공저, 국립일제강제동원역사관,2017),『중일전쟁과 한반도 병참기지화』(편역, 역사공간, 2021),「아시아태평양전쟁기 일본 해군의 진해경비부 설치와 한반도 해역 작전 활동」(『한국민족운동사연구』110, 2022),「한국전쟁기 유엔군 군수사령부 편성과 부산항」(『동북아문화연구』70,2022) 등 경북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연구교수
『일제 강제동원 Q&A 2』(공저,선인,2017),『강제동원의 역사와 현장-부산광역시편』(공저, 국립일제강제동원역사관,2017),『중일전쟁과 한반도 병참기지화』(편역, 역사공간, 2021),「아시아태평양전쟁기 일본 해군의 진해경비부 설치와 한반도 해역 작전 활동」(『한국민족운동사연구』110, 2022),「한국전쟁기 유엔군 군수사령부 편성과 부산항」(『동북아문화연구』70,2022) 등
저 : 최성두
한국해양대학교 해양행정학전공 교수. 해양행정, 자치분권, 정책분석평가를 주요 연구분야로 활동 중에 있으며, 연구성과로 「한국의 신해양산업부흥론」, 「해양문화와 해양거버넌스」, 「부산의 도시혁신과 거버넌스」, 「해양과 행정」, 「해양경찰학개론」 등 다수의 저서와 학술논문이 있다. 그 외 대통령직속 정책기획위원회 자문위원, 국민권익위원회 자문위원, 행정안전부 지방자치단체 합동평가위원, 부산광역시 성과평가위원·규제개혁위원, 부산연구원 비상임이사로 활동해 왔다. 한국해양대학교 해양행정학전공 교수. 해양행정, 자치분권, 정책분석평가를 주요 연구분야로 활동 중에 있으며, 연구성과로 「한국의 신해양산업부흥론」, 「해양문화와 해양거버넌스」, 「부산의 도시혁신과 거버넌스」, 「해양과 행정」, 「해양경찰학개론」 등 다수의 저서와 학술논문이 있다. 그 외 대통령직속 정책기획위원회 자문위원, 국민권익위원회 자문위원, 행정안전부 지방자치단체 합동평가위원, 부산광역시 성과평가위원·규제개혁위원, 부산연구원 비상임이사로 활동해 왔다.
편 : 안미정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부교수로 재직 중이며 문화인류학을 전공하였다. 해양문화에 관심이 있어 바다와 인간, 사회의 관계를 탐색하고 있는 중이다. 저서로 [제주 잠수의 바다밭](2008), 번역서 [경계를 넘다: 술루해역세계의 사람들]( 2013, 2014년 대한민국우수학술도서 선정) 등이 있다. 이외에 경계를 넘어선 이주자들(재일한인, 부산화교 등)에 관한 여러 문들을 발표해 왔다. 최근 한국 선원에 대한 연구를 시작하였다.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부교수로 재직 중이며 문화인류학을 전공하였다. 해양문화에 관심이 있어 바다와 인간, 사회의 관계를 탐색하고 있는 중이다. 저서로 [제주 잠수의 바다밭](2008), 번역서 [경계를 넘다: 술루해역세계의 사람들]( 2013, 2014년 대한민국우수학술도서 선정) 등이 있다. 이외에 경계를 넘어선 이주자들(재일한인, 부산화교 등)에 관한 여러 문들을 발표해 왔다. 최근 한국 선원에 대한 연구를 시작하였다.

한줄평 (0건)

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