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분야 전체
크레마클럽 허브

마음의 문학, 문학의 마음

『심경』과 문학의 상관성

정우락,백운용,이난수,조유영,최은주 저 외 6명 정보 더 보기/감추기 | 역락 | 2025년 6월 16일 리뷰 총점 0.0 (0건)정보 더 보기/감추기
  •  종이책 리뷰 (0건)
  •  eBook 리뷰 (0건)
  •  종이책 한줄평 (0건)
  •  eBook 한줄평 (0건)
분야
인문 > 인문학산책
파일정보
PDF(DRM) 4.90MB
지원기기
크레마 PC(윈도우 - 4K 모니터 미지원) 아이폰 아이패드 안드로이드폰 안드로이드패드 전자책단말기(저사양 기기 사용 불가) PC(Mac)
이용안내
TTS 가능 TTS 안내

책 소개

목차

저자 소개 (11명)

저 : 정우락 (鄭羽洛)
경상북도 성주에서 태어나 경북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의 대학원에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중국 북경대학교 방문학자를 지낸 바 있으며, 현재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 하고 있다. 주로 한국문학사상에 대하여 공부하고 있으며, 최근 문화공간으로서의 영남이 갖는 의미에 주목하며 관련 글을 발표하고 있다. 저역서로는 『영남의 큰집, 안동 퇴계 이황 종가』, 『조선의 서정시인 퇴계 이황』, 『남명과 퇴계사이』, 『남명문학의 철학적 접근』, 『남명학파의 문학적 상상력』, 『삼국유사 원시와 문명 사이』, 『문화공간 팔공산과 대구』, 『모순의 힘, 한국문학과 ... 경상북도 성주에서 태어나 경북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의 대학원에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중국 북경대학교 방문학자를 지낸 바 있으며, 현재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 하고 있다. 주로 한국문학사상에 대하여 공부하고 있으며, 최근 문화공간으로서의 영남이 갖는 의미에 주목하며 관련 글을 발표하고 있다. 저역서로는 『영남의 큰집, 안동 퇴계 이황 종가』, 『조선의 서정시인 퇴계 이황』, 『남명과 퇴계사이』, 『남명문학의 철학적 접근』, 『남명학파의 문학적 상상력』, 『삼국유사 원시와 문명 사이』, 『문화공간 팔공산과 대구』, 『모순의 힘, 한국문학과 물에 관한 사상력』, 『국역 흑산일록』, 『후산졸언 시문선집』 등이 있다.
저 : 백운용 (白雲龍)
경상남도 영산에서 태어났으나 줄곧 대구에서 자랐다.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대학원에서 고전문학을 전공하여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현재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전임연구원으로 일하고 있으며, 대구교육대학 등에서 강의 하고 있다. 저서로는 『경북의 종가문화』, 『한국무형문화유산자원 ; 불천위제례』, 『경북의 유학과 선비정신』 (이상 공저), 『사천가에 핀 충효 쌍절, 청송 불훤재 신현 종가』 등이 있고, 논문으로는 「[강능추월전]의 구조와 만남의 의미」, 「[주생전]의 비극적 성격 연구」, 「‘사제담’의 구성과 의미 지향」, 「경북지역 민속놀이의 특징과... 경상남도 영산에서 태어났으나 줄곧 대구에서 자랐다.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대학원에서 고전문학을 전공하여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현재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전임연구원으로 일하고 있으며, 대구교육대학 등에서 강의 하고 있다.

저서로는 『경북의 종가문화』, 『한국무형문화유산자원 ; 불천위제례』, 『경북의 유학과 선비정신』 (이상 공저), 『사천가에 핀 충효 쌍절, 청송 불훤재 신현 종가』 등이 있고, 논문으로는 「[강능추월전]의 구조와 만남의 의미」, 「[주생전]의 비극적 성격 연구」, 「‘사제담’의 구성과 의미 지향」, 「경북지역 민속놀이의 특징과 계승 방안」, 「대구지역 구곡과 한강 정구」 등이 있다.
저 : 이난수 (李蘭洙)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한국철학연구소 학술연구교수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한국철학연구소 학술연구교수
저 : 조유영 (曺有泳)
경상남도 창원에서 태어나 경북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경북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글로벌시대의 지역 문화어문학 교육연구단에서 연구교수를 지낸 바 있으며, 현재 제주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로 조선시대 시가 문학에 관심을 가지고 꾸준히 공부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그 범위를 넓혀 근대 전환기 시가 문학의 가치와 의의를 규명하는 데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한국 고전문학과 문화어문학』(공저), 『대구 공간과 문화어문학』(공저), 『낙동강과 문화어문학』(공저) 등이 있다. 경상남도 창원에서 태어나 경북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경북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글로벌시대의 지역 문화어문학 교육연구단에서 연구교수를 지낸 바 있으며, 현재 제주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로 조선시대 시가 문학에 관심을 가지고 꾸준히 공부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그 범위를 넓혀 근대 전환기 시가 문학의 가치와 의의를 규명하는 데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한국 고전문학과 문화어문학』(공저), 『대구 공간과 문화어문학』(공저), 『낙동강과 문화어문학』(공저) 등이 있다.
저 : 최은주 (崔慇珠)
한국국학진흥원 책임연구위원 경북대학교에서 「17세기 시선집 편찬에 대한 연구」를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저서로 『인륜을 다져 온 500년의 시간, 성주 문절공 김용초 종가』, 공저서로 『일기로 본 조선시대 사회사』 등이 있고, 논문으로 「조선시대 임진왜란 일기자료의 현황과 전존(傳存) 양상」 「호고와 류휘문이 쓴 기행일기의 전존(傳存) 양상과 자료적 가치」 등이 있다. 한국국학진흥원 책임연구위원
경북대학교에서 「17세기 시선집 편찬에 대한 연구」를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저서로 『인륜을 다져 온 500년의 시간, 성주 문절공 김용초 종가』, 공저서로 『일기로 본 조선시대 사회사』 등이 있고, 논문으로 「조선시대 임진왜란 일기자료의 현황과 전존(傳存) 양상」 「호고와 류휘문이 쓴 기행일기의 전존(傳存) 양상과 자료적 가치」 등이 있다.
저 : 신소윤 (申所潤)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 과정 수료 경북대학교 교양교육센터 강사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 과정 수료
경북대학교 교양교육센터 강사
저 : 김선영 (金先英)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 과정 수료 한국국학진흥원 학예연구사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 과정 수료
한국국학진흥원 학예연구사
저 : 김종구 (金鍾求)
동국대학교 WISE캠퍼스 불교사회문화연구원 전임연구원 동국대학교 WISE캠퍼스 불교사회문화연구원 전임연구원
저 : 송현자 (宋賢子)
안동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 안동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
저 : 김소연 (金昭延)
경북대학교 국제교류처 국제교류과 강사 경북대학교 국제교류처 국제교류과 강사
편 : 한국문학사상연구실
한국문학사상연구실은 경북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한국문학사상을 연구하는 사람들로 구성되어 있다. 문학사상은 문학에 관한 사상, 문학에 나타난 사상, 문학에 작동하는 사상을 포괄한다. 문학과 철학을 넘나들며 문학의 본질을 탐구하는 것을 연구의 제일의(第一義)로 삼는다. 이 연구실에서는 『심경』과 『삼국유사』 등 동양고전을 두루 읽으며 한국문학 독해의 기반을 다지고, 여기서 더 나아가 문학 연구가 인문학에 기능하는 점을 심도 있게 다룬다. 한국문학사상연구실은 경북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한국문학사상을 연구하는 사람들로 구성되어 있다. 문학사상은 문학에 관한 사상, 문학에 나타난 사상, 문학에 작동하는 사상을 포괄한다. 문학과 철학을 넘나들며 문학의 본질을 탐구하는 것을 연구의 제일의(第一義)로 삼는다. 이 연구실에서는 『심경』과 『삼국유사』 등 동양고전을 두루 읽으며 한국문학 독해의 기반을 다지고, 여기서 더 나아가 문학 연구가 인문학에 기능하는 점을 심도 있게 다룬다.

한줄평 (0건)

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