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어 의미론, 형태론. 가천대학교 동양어문학과 부교수
復旦大學 中國語言文學系 박사대표 논문으로 「형태소 빈도를 기반으로 한 초급중국어 교재 어휘 선정의 특성 분석 및 교육적 제안」, 「한국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중국어 교수에 있어 한자 읽기 교육의 문제─중국 어린이의 한자 읽기 연구 결과가 보여주는 시사점을 중심으로」 등이 있으며, 대표 저역서로는 『대조분석과 중국어교육』, 『언어유형론: 중국어 연구를 위한 언어유형론 전문서』 등이 있다.
중국어 의미론, 형태론. 가천대학교 동양어문학과 부교수 復旦大學 中國語言文學系 박사대표 논문으로 「형태소 빈도를 기반으로 한 초급중국어 교재 어휘 선정의 특성 분석 및 교육적 제안」, 「한국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중국어 교수에 있어 한자 읽기 교육의 문제─중국 어린이의 한자 읽기 연구 결과가 보여주는 시사점을 중심으로」 등이 있으며, 대표 저역서로는 『대조분석과 중국어교육』, 『언어유형론: 중국어 연구를 위한 언어유형론 전문서』 등이 있다.
중국어 음운론, 언어접촉.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연구교수
北京大學 中國語言文學系 박사대표 논문으로 「중국어 데이터베이스 구축현황 분석과 프로그래밍 설계를 통한 데이터베이스 응용과 언어연구」, 「?泰 언어 접촉과 성조 수용 연구─태국 북부 방언을 중심으로」, 「非自然語言接觸與聲調制約?究?以漢韓語言接觸爲例」 등이 있다.
중국어 음운론, 언어접촉.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연구교수 北京大學 中國語言文學系 박사대표 논문으로 「중국어 데이터베이스 구축현황 분석과 프로그래밍 설계를 통한 데이터베이스 응용과 언어연구」, 「?泰 언어 접촉과 성조 수용 연구─태국 북부 방언을 중심으로」, 「非自然語言接觸與聲調制約?究?以漢韓語言接觸爲例」 등이 있다.
용인대학교 용오름대학 교수, 중국어 역사음운론을 전공하였고 서양인이 편찬한 중국어 교재, 동화, 민속학 저서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 관련 논문으로는 「淸末 民初 北京官話 교재에 나타난 웨이드식 표기의 특징 연구」, 「근현대 시기 서양 선교사가 편찬한 아동 표제의 중국 문화 저서에 대하여 : 『Tufts and Tails; or Walks and Talks with Chinese Children』을 중심으로」, 「선교를 위한 중국 문화 경험담의 기록: 『Tales From the Middle Kingdom』(1923)연구」 등이 있으며, 대표 저서로는 『디지털로 되살린 근대...
용인대학교 용오름대학 교수, 중국어 역사음운론을 전공하였고 서양인이 편찬한 중국어 교재, 동화, 민속학 저서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 관련 논문으로는 「淸末 民初 北京官話 교재에 나타난 웨이드식 표기의 특징 연구」, 「근현대 시기 서양 선교사가 편찬한 아동 표제의 중국 문화 저서에 대하여 : 『Tufts and Tails; or Walks and Talks with Chinese Children』을 중심으로」, 「선교를 위한 중국 문화 경험담의 기록: 『Tales From the Middle Kingdom』(1923)연구」 등이 있으며, 대표 저서로는 『디지털로 되살린 근대 중국어의 세계 : 조선 시대 중국어 유해류 역학서의 현대어 번역과 시맨틱 데이터 구축』, 『(중국어와 중국인의 관계를 이해할 수 있는) 중국 언어 알기』 등이 있다.